"6SHARED"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E_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 구조설계)
(3. 구조설계)
106번째 줄: 106번째 줄:
 
빗물펌프장 위 상부 구조물의 안전한 지지를 위해 전이슬라브를 사용
 
빗물펌프장 위 상부 구조물의 안전한 지지를 위해 전이슬라브를 사용
  
- 빗물펌프장 내부로 기둥을 세울 수 없다는 한계점 극복
+
  - 빗물펌프장 내부로 기둥을 세울 수 없다는 한계점 극복
  
- 상부 주거동 건물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 및 구조적 분리를 통해 소음 진동 방지
+
  - 상부 주거동 건물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 및 구조적 분리를 통해 소음 진동 방지
  
- 오픈스페이스의 형성 가능
+
  - 오픈스페이스의 형성 가능
  
 
필로티를 사용하여 Square존의 접근성 향상
 
필로티를 사용하여 Square존의 접근성 향상
  
 
켄틸레버 보를 사용하여 Triangle존의 방향성 및 성장의 이미지 표현
 
켄틸레버 보를 사용하여 Triangle존의 방향성 및 성장의 이미지 표현
 +
 +
[[파일:구조오.PNG]]
  
 
===4. 환경/설비계획===
 
===4. 환경/설비계획===

2020년 6월 29일 (월) 05:07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연희 혁신거점 설계공모

과제 팀명

6SHARED

지도교수

이주나 교수님, 유혜란 교수님, 허정호 교수님, 현창택 교수님, 이현종 교수님

개발기간

2020년 3월 ~ 2020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건축공학과 2015871002 구자빈(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건축공학과 2015871007 김석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건축공학과 2015871001 구본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건축공학과 2016871036 최서녕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건축공학과 2017871028 이진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건축공학과 2017871020 오주희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도시공간의 혁신을 위한 건축공학적 문제해결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금번 2020년 건축공학전공의 설계주제는 지난 2019년 5월 서울시 설계공모 주제였던 “연희 혁신거점 설계 공모안”을 다뤘다. ‘연희 공공주택지구’ 내의 도로 및 광장부지를 활용하여 지역편의시설과 청년주택(행복주택) 그리고 망원배수구역 빗물펌프장을 한 번에 담아내는 계획안 및 구축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서울시의 기반시설을 재조명해 청년주거모델을 제시하고 도시의 단절을 극복하며 에너지의 재생산을 기대하는, 이른바 서울시의 미래모델을 기대하는 공공건축 프로젝트이다. 서울시립대 건축공학전공의 6개 팀이 여기에 각기 다른 그들의 진보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미래서울의 주인공들이 제시하는 청년 도시공간 연희 혁신거점에서 도시의 미래와 건축공학기술의 미래가 어떠한 모습일지 예측해보는 일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구성원 및 추진체계

위의 6명의 구성원이 각자의 생각을 공유하며, 연희 혁신거점의 청년임대주택 설계를 위해 협력 및 분담을 진행한다.

설계 개요

팀명

공유라는 주된 컨셉을 통해, 6명의 생각을 공유한다는 의미에서 "6SHARED"라는 팀명을 선정

건물명

공유의 컨셉을 연장하여, 각각의 공유의 컨셉에 맞는 조닝을 도형의 모향을 형성화하여 입면을 구현하였기 때문에 "SHAPE"라는 건물명을 선정

건물 개요

-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446-27

- 지역/지구: 연희 공공주택지구

- 면적: 3,661.1m2

- 용도: 청년임대주택

- 건축면적: 1,960m2

- 연면적: 8200m2

- 건폐율: 53.5%

- 용적률: 223.7%

- 층수: 지상 7층

- 구죄 철근 콘크리트조

설계안

1. 컨셉

쉐어-라이프 & SHAPE

공유하는 삶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공간 형성 + 공간 속 밀레니얼 세대들의 공감대와 교류감 형성

공간의 확장

- 공유 공간: 청년 임대 주택에서 입주자간의 공유

- 공유 지대: 청년 임대 주택과 SITE의 연결을 통한 주민과 청년의 공유

- 공유 도시: 서울시 주택공급 5대 혁신 방안의 일환으로, 유휴부지에 임대주택을 조성함으로써 서대문구의 콤팩트시티화

2. 기본설계

조닝

"어떠한 경함을 공유한다"를 중심으로 메인 조닝을 진행하고, 동적/정적으로 세부조닝을 진행. 각 존은 각 조닝의 컨셉을 대표하는 공간을 형성.

- 휴식: 포용, 화합, 편안함 = Circle 존

   다이닝룸, 주거지역, 편의점, 약국 
   코리빙 스페이스 - 일상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 

- 취미: 높은 공간 활용도와 접근성 = Square 존

   빔프로젝트실, 연습실, 보드게임방, 헬스장, 음악작업실, 스타일링룸, 공방
   코스타 스페이스 - 비디오, 전시, 부스등을 통해 타인의 취미를 체험하는 공간

- 정보: 방향성과 성장의 이미지 = Triangle 존

   독서실, 문헌정보실, 취창업센터, 스터디룸
   
   코워킹 스페이스 -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각각의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의견을 나누는 공간 

- 오픈스페이스: 빗물펌프장의 전이슬라브 상부 = 각각의 컨셉을 이어주는 연결 공유 공간

매스 스터디

야.PNG

유닛

유닛.PNG

3. 구조설계

빗물펌프장 위 상부 구조물의 안전한 지지를 위해 전이슬라브를 사용

  - 빗물펌프장 내부로 기둥을 세울 수 없다는 한계점 극복
  - 상부 주거동 건물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 및 구조적 분리를 통해 소음 진동 방지
  - 오픈스페이스의 형성 가능

필로티를 사용하여 Square존의 접근성 향상

켄틸레버 보를 사용하여 Triangle존의 방향성 및 성장의 이미지 표현

구조오.PNG

4. 환경/설비계획

3. 시공계획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건물 소개영상

렌더링

내용

도면

내용


수상 실적

1. 교수 크리틱 장려상 2. 동창회 크리틱 최우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