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emake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E_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건축계획)
(건축구조설계)
118번째 줄: 118번째 줄:
  
 
===건축구조설계===
 
===건축구조설계===
심장은 펌프질 하는 역할, 뼈는 심장을 지지하는 역할
+
====설계목표====
구조체는 Pacemaker를 실현해주는 Supporter의 역할
+
건축물이 심장으로서 순환을 펌프질 하는 역할을 한다면, 구조체는 심장을 지지하는 뼈처럼 Pacemaker를 실현해주는 Supporter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건축계획설계를 만족시키는 구조 시스템
+
====주거동====
Supporter의 컨셉을 살리는 구조 시스템
 
안정성과 사용성을 만족하는 구조 시스템
 
  
주거동
 
대학생들의 주거복지를 실현시켜주는 주거동 구조 설계
 
주 구조체를 밖으로 드러내는
 
주거동 인장구조시스템 선택
 
  
드림동
+
====드림동====
 
도시의 순환 및 사람의 순환의 설계 목표에 맞춘 편의 시설 구조 설계
 
도시의 순환 및 사람의 순환의 설계 목표에 맞춘 편의 시설 구조 설계
 
RC조의 캔틸레버 면적을 가장 적게
 
RC조의 캔틸레버 면적을 가장 적게
 
차지하는 공통된 영역의 기둥 배치
 
차지하는 공통된 영역의 기둥 배치
  
램프
+
====램프====
 
드림동 4층과 주거동 5층을 연결해주는 램프 설계
 
드림동 4층과 주거동 5층을 연결해주는 램프 설계
 
  철골 트러스로 대경간 32m 램프 설계
 
  철골 트러스로 대경간 32m 램프 설계

2020년 6월 29일 (월) 11:48 판

프로젝트 개요

과제명

국문 : 페이스메이커

영문 : Pacemaker


팀명

국문 : 하트

영문 : Heart


지도교수

건축계획 및 총괄: 이주나

건축구조설계: 유혜란

환경설비설계: 허정호

건설사업관리 및 시공계획: 현창택, 이현종


개발기간

2020년 3월 ~ 2020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7871046 손석준(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7871048 이서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5871034 이형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5871033 이종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6871022 이영훈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7871026 이유진

과제의 개요

과제의 배경

저지용 도심지역은 사람들 사이의 문화 교류나 공동 활동과 같은 역동성이 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법으로 심박동기(Pacemaker)로 정상적으로 피를 순환시켜 사람을 되살리는 것처럼, 이 프로젝트에서는 단순한 청년중심 행복주택이라는 건축물의 일차적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Pacemaker의 역할을 통한 사회의 선순환을 이끌어 내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과제목표의 세부 분류

대목표인 '순환'은 중목표인 '사람의 순환', '도시의 순환', '자원의 순환'으로 구성된다.

사람의 순환

청년층의 공부, 취업, 인간 관계 등으로부터 받는 많은 스트레스를 행복주택안에서 해결하도록 하여, 다시 에너지 넘치게 사회로 돌아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의 순환

주변 지역 사람들을 유입하게 하여 사람들이 서로 교류, 연결하도록 하여, 도심지역을 발전시키고 사람들을 더욱 끌어들이는 것을 말한다.

자원의 순환

지구온난화 및 온실가스 문제로 인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환경·제로에너지 건축물을 통한 자원의 순환을 의미한다.


일정 및 추진체계

일정

2020.03 ~ 2020.06의 기간 중의 건축계획, 건축구조설계, 환경설비설계, 건설사업관리 및 시공계획의 4가지 분야로 나누어 각 분야별로 4주(28일)의 시간 동안 과제를 수행하였다.

구성원 및 추진체계

팀장의 조율과 각 구성원의 역량에 맞추어 업무를 분배하였고, 분배되어 수행된 결과물은 최종적으로 팀장의 조율아래 팀원 모두가 추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완성되었다.

설계

건축 개요

최소 연면적 9,000㎡ (지상)

주거(약 5,000㎡ 내외)

  - 행복주택: 수용인원 최소 200인(※세대 수 조정 가능)
  - 주택유형:
     ① 1인 주택(원룸형, 전용 20㎡), 100인
     ② 공유주택, 100인
  - 부대복리시설

편의시설(약 3,000㎡ 내외)

  - 지역 공공성을 위한 프로그램

빗물펌프장(약 1,000㎡)

  - 공모지침서 참고도서에 제공된 빗물펌프장 계획안에 따름


건축계획

설계 목표

역동성이 사라진 저이용 도심지역에 새로운 피를 수혈하여 되살리는 프로젝트로서 신체에서의 심장의 역할처럼 본 공간이 지역사회에 선순환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Zoning
Space Program

내용


Mass Process

내용


주거유닛 설계

내용

건축구조설계

설계목표

건축물이 심장으로서 순환을 펌프질 하는 역할을 한다면, 구조체는 심장을 지지하는 뼈처럼 Pacemaker를 실현해주는 Supporter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주거동

드림동

도시의 순환 및 사람의 순환의 설계 목표에 맞춘 편의 시설 구조 설계 RC조의 캔틸레버 면적을 가장 적게 차지하는 공통된 영역의 기둥 배치

램프

드림동 4층과 주거동 5층을 연결해주는 램프 설계

철골 트러스로 대경간 32m 램프 설계

환경설비설계

심장은 피가 순환하는 중심, PaceMaker가 빗물펌프장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친환경적 랜드마크 달성 및 Nearly Zero Enery Building 실현하는 Circulation Hub

빛의 순환, 열의 순환, 공기의 순환, 물의 순환 , 사람의 순환 하부 컨셉으로 유지 에코텍을 활용하여 상시 음영지역을 분석하여 광덕트를 시공함으로써 빛의 순환을 실현...


건설사업관리 및 시공계획

‘Pacemaker’, ‘Supporter’, ‘Circulation’을 보완하고 발전시켜주는 ‘DeVElopment’를 통해 효율적이고 원하고자 하는 설계를 달성 시킬 것

프로젝트의 설계 키워드인 심장에 맞춰 도시의 순환 및 사람의 순환을 바탕으로 한 사회 활력 증대 목표

어른이 놀이터는 조닝단계에서 존의 핵심적인 공간으로 의도적으로 구획

결과

판넬

건축계획
건축구조설계
환경설비
건설관리 및 시공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