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E_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기술의 현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48번째 줄: 48번째 줄:
 
내용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내용
  

2020년 6월 30일 (화) 23:05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저이용 도시공간 혁신사업 - 연희 혁신거점 설계공모

과제 팀명

우연희(히) - 우연히 만나 인연이 되다.

지도교수

건축계획 & 총괄 - 이주나

건축구조설계 - 유혜란

환경설비계획 - 허정호

건설사업관리 및 시공계획 - 현창택, 이현종

개발기간

2020년 3월 ~ 2020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7871054 홍정민(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5871013 김채연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5871028 이건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6871035 차수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6871046 박세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6871044 김세엽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6872039 홍성은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본 과제는 서울시의 기반시설을 재조명해 도시공간을 재창조하는 저이용 도시공간 혁신 선도사업의 일환이다. 이번 선도사업은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시작으로 '도시공간 재창조 및 주택공급 혁신'을 서울 전역에 점차 확대하여 추진하는데 의마가 있다. 그러므로 연희 혁신거점은 증산 혁신거점과 공간 및 운영 프로그램과 사인 및 색채(color code) 등이 연계되며, 추후 진행될 타 저이용 도시공간 혁신사업에도 공동으로 적용함으로써 사업의 동질감과 의미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사업의 내용은 공공주택과 함께 생활 SOC 등 도시적으로 주변을 포옹하는 공공시설을 도입하여 주택 공급 뿐만 아니라 도시의 단절을 회복하는 등 공공성 또한 확보하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도시공간 및 주택공급 혁신을 위한 중요한 첫 걸음으로, 이번 사업을 통해 서울시가 나아가고자 하는 미래도시에 가까워지기를 기대하며, 도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한 시기에 본 사업이 그 단초가 될 것이다. 따라서, 서울시의 저이용 도시공간을 활성화하면서 청년들의 주택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한 청년주택, 지역편의시설의 확장을 목표로 저이용 도시공간 혁신사업을 진행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遇(만날 우)延(이을 연)禧(행복 희) : 우연히 만나서 서로의 행복을 잇다. 연희동 지명에서 아이디어를 도출한 것으로 청년과 청년 / 청년과 지역주민간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인연이 되고자 하는 바램이며, 공론장으로서의 플랫폼 공간과 밀레니얼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플랫폼 공간, 청년임대 공동주택으로서의 청년의 주거공간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경제 모델의 제안을 요청하고자하는 혁신의 추구이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