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erg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E_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개발 과제의 배경)
38번째 줄: 38번째 줄:
 
밀레니얼의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행복주택
 
밀레니얼의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행복주택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저이용 도시 공간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연희 공공주택지구’ 내 도로 및 광장 부지fmf 활용하여 ‘지역편의시설’, ‘청년주택(행복주택), ‘망원배수구역 빗물펌프장’의 복합시설 건립
+
저이용 도시 공간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연희 공공주택지구’ 내 도로 및 광장 부지를 활용하여 ‘지역편의시설', '청년주택(행복주택)', '망원배수구역 빗물펌프장'의 복합시설 건립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2020년 7월 1일 (수) 03:22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연 . 플 . 리 (연희 / Flex-Able / Refresh)

과제 팀명

Synergy (시너지)

지도교수

건축계획 : 이주나 교수님

건축구조 : 유혜란 교수님

건축환경 : 허정호 교수님

건설사업및시공 : 현창택, 이현종 교수님

개발기간

2020년 3월 ~ 2020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58710** 안*석 (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38720** 이*훈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58710** 권*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58710** 양*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58710** 한*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부·과 20179710** 유*훈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밀레니얼의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할 수 있는 행복주택

개발 과제의 배경

저이용 도시 공간 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연희 공공주택지구’ 내 도로 및 광장 부지를 활용하여 ‘지역편의시설', '청년주택(행복주택)', '망원배수구역 빗물펌프장'의 복합시설 건립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오픈블라인드’를 선택적인 자기표현이라고 해석하여, ‘공유의 정도’에 따라 여러 라이프스타일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의 구성을 설계 목표로 한다.

밀레니얼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는 하나의 키워드로 ‘오픈블라인드’가 있다.

오픈블라인드- 남들에게 보여 지는 공간은 멋있게 꾸미고 싶고 휴식공간은 시선에서 벗어나 효율을 찾고 싶어 하는 특성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팀명

Synergy : 팀원 개인의 능력을모으고, 같이 힘을 합쳐 시너지효과를 내보자!

구성원 및 추진체계

6명의 구성원이 각자의 생각을 공유하며, 연희 혁신거점의 청년임대주택 설계를 위해 협력 및 분담을 진행한다.

설계

건축계획설계

연플리 계획1.png 연플리 계획2.png


건축구조설계

연플리 구조2.png


환경설비설계

연플리 환경2.png파일:연플리 환경3.png



건설사업관리

연플리 시공1.png연플리 시공2.png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연플리1.png 연플리2.png 연플리4.png

완료작품의 평가

수상실적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