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반-슈팅스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념설계안) |
잔글 |
||
76번째 줄: | 76번째 줄: | ||
Unreal Engine 5는 에픽게임즈(Epic Games)에서 개발한 차세대 실시간 3D 콘텐츠 제작 엔진으로, 고품질 그래픽과 고성능 게임 개발을 동시에 지원하는 대표적인 게임 엔진이다. | Unreal Engine 5는 에픽게임즈(Epic Games)에서 개발한 차세대 실시간 3D 콘텐츠 제작 엔진으로, 고품질 그래픽과 고성능 게임 개발을 동시에 지원하는 대표적인 게임 엔진이다. | ||
UE5는 이전 버전 대비 사실적인 디테일과 표현력을 대폭 향상시킨 나나이트(Nanite)와 루멘(Lumen)이라는 두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 UE5는 이전 버전 대비 사실적인 디테일과 표현력을 대폭 향상시킨 나나이트(Nanite)와 루멘(Lumen)이라는 두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 ||
− | 나나이트(Nanite)는 수십억 개의 폴리곤으로 이루어진 고해상도 메시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고 렌더링할 수 있는 가상화 지오메트리 기술로, | + | 나나이트(Nanite)는 수십억 개의 폴리곤으로 이루어진 고해상도 메시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고 렌더링할 수 있는 가상화 지오메트리 기술로, |
− | + | 고사양 모델을 따로 최적화하지 않아도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 |
루멘(Lumen)은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및 반사 시스템으로, 별도의 라이트 베이킹 없이도 사실적인 조명 변화와 반사 표현이 가능하다. | 루멘(Lumen)은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및 반사 시스템으로, 별도의 라이트 베이킹 없이도 사실적인 조명 변화와 반사 표현이 가능하다. | ||
또한 UE5는 World Partition, Control Rig, MetaHuman,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PCG) | 또한 UE5는 World Partition, Control Rig, MetaHuman,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PCG) | ||
124번째 줄: | 124번째 줄: | ||
매치메이킹 없이도 손쉽게 팀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브롤스타즈와 달리, 반복성에서 벗어나 | 매치메이킹 없이도 손쉽게 팀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브롤스타즈와 달리, 반복성에서 벗어나 | ||
기 위해 매판마다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맵과 자원을 통해 유저마다 매번 새로운 전략을 구성 | 기 위해 매판마다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맵과 자원을 통해 유저마다 매번 새로운 전략을 구성 | ||
− | 하게 만들며, 전략적 깊이와 몰입도를 더한다. | + | 하게 만들며, 전략적 깊이와 몰입도를 더한다. |
+ | |||
2. PUBG: BLINDSPOT | 2. PUBG: BLINDSPOT | ||
크래프톤의 ‘PUBG: BLINDSPOT’은 2025년 2월에 공개된 5:5 팀 기반 탑다운 전술 슈팅 게임이 | 크래프톤의 ‘PUBG: BLINDSPOT’은 2025년 2월에 공개된 5:5 팀 기반 탑다운 전술 슈팅 게임이 | ||
136번째 줄: | 137번째 줄: | ||
채집하고,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무기를 제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반복되지 | 채집하고,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무기를 제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반복되지 | ||
않는 전투 흐름 속에서 유동적인 전략을 구성하며, 매번 색다른 플레이 경험을 누릴 수 있다. | 않는 전투 흐름 속에서 유동적인 전략을 구성하며, 매번 색다른 플레이 경험을 누릴 수 있다. | ||
+ | |||
*마케팅 전략 제시 | *마케팅 전략 제시 | ||
※ SWOT 분석 | ※ SWOT 분석 | ||
+ | |||
강점 (Strength) | 강점 (Strength) | ||
+ | |||
1) 이 프로젝트의 경쟁 우위는 무엇인가? | 1) 이 프로젝트의 경쟁 우위는 무엇인가? | ||
· Wi-Fi Direct를 활용한 인터넷 없이 즉시 가능한 멀티플레이는 뚜렷한 차별점이다. | · Wi-Fi Direct를 활용한 인터넷 없이 즉시 가능한 멀티플레이는 뚜렷한 차별점이다. | ||
145번째 줄: | 149번째 줄: | ||
·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달라지는 무기 제작 시스템은 유저에게 반복 플레이 동기를 제공한 | ·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달라지는 무기 제작 시스템은 유저에게 반복 플레이 동기를 제공한 | ||
다. | 다. | ||
+ | |||
2) 이 프로젝트의 특별한 점은 무엇인가? | 2) 이 프로젝트의 특별한 점은 무엇인가? | ||
· 인터넷 없이 주변 친구와 즉석에서 함께 플레이할 수 있어, 빠르고 간편한 오프라인 게임 환 | · 인터넷 없이 주변 친구와 즉석에서 함께 플레이할 수 있어, 빠르고 간편한 오프라인 게임 환 | ||
153번째 줄: | 158번째 줄: | ||
과 실시간으로 게임을 즐기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 과 실시간으로 게임을 즐기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 ||
따라서, 해당 사용자층의 이용 패턴에 최적화된 콘텐츠 설계와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 따라서, 해당 사용자층의 이용 패턴에 최적화된 콘텐츠 설계와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 ||
+ | |||
3) 이 프로젝트가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 3) 이 프로젝트가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 ||
· 캐주얼하면서도 전략적인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 라이트 유저와 코어 유저 모두가 쉽게 접근 | · 캐주얼하면서도 전략적인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 라이트 유저와 코어 유저 모두가 쉽게 접근 | ||
159번째 줄: | 165번째 줄: | ||
· 가입이나 서버 매칭 등의 복잡한 과정 없이, 단말기만 있으면 바로 플레이가 가능한 접근성 | · 가입이나 서버 매칭 등의 복잡한 과정 없이, 단말기만 있으면 바로 플레이가 가능한 접근성 | ||
이 큰 장점이다. | 이 큰 장점이다. | ||
+ | |||
약점 (Weakness) | 약점 (Weakness) | ||
+ | |||
1) 업계 내 다른 게임사 혹은 프로젝트와 비교했을 때 이 팀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 1) 업계 내 다른 게임사 혹은 프로젝트와 비교했을 때 이 팀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 ||
· 비교적 소규모 팀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콘텐츠 양이나 비주얼 퀄리티 면에서 대형 프 | · 비교적 소규모 팀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콘텐츠 양이나 비주얼 퀄리티 면에서 대형 프 | ||
168번째 줄: | 176번째 줄: | ||
· 자본금의 부족으로 인해, 출시 이후 유저 확보를 위한 마케팅 활동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 | · 자본금의 부족으로 인해, 출시 이후 유저 확보를 위한 마케팅 활동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 | ||
이 있다. | 이 있다. | ||
+ | |||
기회 (Opportunity) | 기회 (Opportunity) | ||
+ | |||
1) 최근 게임 트렌드는 무엇인가? | 1) 최근 게임 트렌드는 무엇인가? | ||
· 글로벌 시장 기준으로 모바일 게임은 2023년 767억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팬데믹 이전 | · 글로벌 시장 기준으로 모바일 게임은 2023년 767억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팬데믹 이전 | ||
175번째 줄: | 185번째 줄: | ||
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된 우리 게임은 더욱 빠르게 사용자층을 확 | 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된 우리 게임은 더욱 빠르게 사용자층을 확 | ||
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 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 ||
+ | |||
위협 (Threat) | 위협 (Threat) | ||
+ | |||
1) 경쟁 게임들이 더 잘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1) 경쟁 게임들이 더 잘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
· 브롤스타즈와 같은 대형 게임은 캐릭터성, 라이브 서비스, 마케팅 측면에서 절대적 우위를 가 | · 브롤스타즈와 같은 대형 게임은 캐릭터성, 라이브 서비스, 마케팅 측면에서 절대적 우위를 가 | ||
185번째 줄: | 197번째 줄: | ||
BLINDSPOT처럼 복잡하거나 경쟁 중심인 게임과 달리, 접근성과 간편함을 무기로 내세운 전략 | BLINDSPOT처럼 복잡하거나 경쟁 중심인 게임과 달리, 접근성과 간편함을 무기로 내세운 전략 | ||
적 차별화를 해야한다. | 적 차별화를 해야한다. | ||
+ | |||
※ 마케팅 전략 | ※ 마케팅 전략 | ||
+ | |||
· 우리 게임의 주요 장점인 인터넷 없이 친구와 바로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점을 강조하여, SNS(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에서 짧은 영상 콘텐츠(릴스/쇼츠) 형태로 홍보한다. | · 우리 게임의 주요 장점인 인터넷 없이 친구와 바로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점을 강조하여, SNS(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에서 짧은 영상 콘텐츠(릴스/쇼츠) 형태로 홍보한다. | ||
· 대학교 커뮤니티(에브리타임), 게임 중심 커뮤니티(인벤, 스팀 등)에 게임 소개글과 체험판 플 | · 대학교 커뮤니티(에브리타임), 게임 중심 커뮤니티(인벤, 스팀 등)에 게임 소개글과 체험판 플 | ||
195번째 줄: | 209번째 줄: | ||
· 출시 이후에는 앱 스토어 최적화(ASO)를 적용하여 "로컬 멀티", "친구와 하는 슈팅 게임" 등 | · 출시 이후에는 앱 스토어 최적화(ASO)를 적용하여 "로컬 멀티", "친구와 하는 슈팅 게임" 등 | ||
의 키워드로 검색 노출을 유도한다. | 의 키워드로 검색 노출을 유도한다. | ||
+ | |||
※ 수익 구조 | ※ 수익 구조 | ||
+ | |||
· 초기부터 유료로 판매되는 게임으로, 한 번의 구매를 통해 모든 기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 | · 초기부터 유료로 판매되는 게임으로, 한 번의 구매를 통해 모든 기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 | ||
다. | 다. | ||
206번째 줄: | 222번째 줄: | ||
◇ 사용자는 별도의 로그인이나 인터넷 접속 없이, Wi-Fi Direct 기반의 빠른 멀티플레이 환경 | ◇ 사용자는 별도의 로그인이나 인터넷 접속 없이, Wi-Fi Direct 기반의 빠른 멀티플레이 환경 | ||
을 통해 즉시 게임에 참여할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낮고, 접근성이 높다. | 을 통해 즉시 게임에 참여할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낮고, 접근성이 높다. | ||
+ | |||
◇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맵과 자원 배치, 장애물 구조를 통해 매 판마다 새로운 전략적 경험을 | ◇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맵과 자원 배치, 장애물 구조를 통해 매 판마다 새로운 전략적 경험을 | ||
제공하며, 플레이어는 매번 다른 전장을 탐색하고 대응해야 하는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 제공하며, 플레이어는 매번 다른 전장을 탐색하고 대응해야 하는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 ||
+ | |||
◇ 수집한 자원을 기반으로 랜덤한 무기 성능이 부여되는 시스템은 예측 불가능성과 리플레이 | ◇ 수집한 자원을 기반으로 랜덤한 무기 성능이 부여되는 시스템은 예측 불가능성과 리플레이 | ||
가치를 높이며, 유저의 전략적 선택을 유도한다. | 가치를 높이며, 유저의 전략적 선택을 유도한다. | ||
+ | |||
◇ UI는 모바일 터치 기반의 직관적인 조작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누구나 쉽게 컨트롤할 수 있 | ◇ UI는 모바일 터치 기반의 직관적인 조작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누구나 쉽게 컨트롤할 수 있 | ||
으며, 다양한 디바이스 해상도에 대응하는 크로스 플랫폼 UI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 으며, 다양한 디바이스 해상도에 대응하는 크로스 플랫폼 UI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 ||
+ | |||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
◇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 P2P 멀티플레이 구조를 통해 인디 개발팀도 낮은 인프라 비용으로 | ◇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 P2P 멀티플레이 구조를 통해 인디 개발팀도 낮은 인프라 비용으로 | ||
멀티플레이 게임을 개발할 수 있어 개발·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멀티플레이 게임을 개발할 수 있어 개발·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
+ | |||
◇ 기존의 데이터 기반 매치메이킹 구조 대신, 근거리 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온라인 매칭 없이 | ◇ 기존의 데이터 기반 매치메이킹 구조 대신, 근거리 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온라인 매칭 없이 | ||
도 현장 중심의 이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도 현장 중심의 이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
+ | |||
◇ 고정된 콘텐츠 소비에서 벗어나, 매번 달라지는 전장 구성과 무기 조합을 통해 플레이어는 | ◇ 고정된 콘텐츠 소비에서 벗어나, 매번 달라지는 전장 구성과 무기 조합을 통해 플레이어는 | ||
반복 플레이에도 피로감 없이 지속적인 몰입과 플레이를 유도할 수 있다. | 반복 플레이에도 피로감 없이 지속적인 몰입과 플레이를 유도할 수 있다. | ||
+ | |||
◇ Wi-Fi Direct 환경 기반의 실시간 협동 게임은 네트워크가 제한적인 지역이나 네트워크 비용 | ◇ Wi-Fi Direct 환경 기반의 실시간 협동 게임은 네트워크가 제한적인 지역이나 네트워크 비용 | ||
이 부담스러운 사용자에게도 적합해, 더 폭넓은 사용자층을 확보할 수 있다. | 이 부담스러운 사용자에게도 적합해, 더 폭넓은 사용자층을 확보할 수 있다. | ||
+ | |||
◇ 절차적 콘텐츠 구성 방식은 개발자가 수작업으로 맵을 디자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콘 | ◇ 절차적 콘텐츠 구성 방식은 개발자가 수작업으로 맵을 디자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콘 | ||
텐츠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라이프 사이클이 긴 게임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 텐츠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라이프 사이클이 긴 게임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 ||
230번째 줄: | 254번째 줄: | ||
====구성원 및 추진체계==== | ====구성원 및 추진체계==== | ||
※ 구성원 | ※ 구성원 | ||
+ | |||
◇ 한규만: 팀장, UI/UX 시스템 구현 및 인벤토리·HUD·로비 UI 개발 | ◇ 한규만: 팀장, UI/UX 시스템 구현 및 인벤토리·HUD·로비 UI 개발 | ||
+ | |||
◇ 정진원: 절차적 맵 생성 알고리즘, 자원 및 지형지물 배치 시스템 개발 | ◇ 정진원: 절차적 맵 생성 알고리즘, 자원 및 지형지물 배치 시스템 개발 | ||
+ | |||
◇ 박하빈: 게임 라운드 시스템 및 서버 연동, RPC 및 클라이언트 동기화 처리 | ◇ 박하빈: 게임 라운드 시스템 및 서버 연동, RPC 및 클라이언트 동기화 처리 | ||
+ | |||
◇ 임정현: 플레이어 입력 및 전투 조작 시스템 구현, 무기 사용 및 피격 처리 담당 | ◇ 임정현: 플레이어 입력 및 전투 조작 시스템 구현, 무기 사용 및 피격 처리 담당 | ||
+ | |||
※ 추진 체계 | ※ 추진 체계 | ||
− | ◇ 매주 수요일 정기 회의를 통해 진행 상황을 공유하며, 회의록은 한규만(팀장)이 작성한다. | + | |
+ | ◇ 매주 수요일 정기 회의를 통해 진행 상황을 공유하며, 회의록은 한규만(팀장)이 작성한다. | ||
+ | |||
◇ 회의는 모든 팀원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주요 결정사항은 회의록에 기록하여 투 | ◇ 회의는 모든 팀원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주요 결정사항은 회의록에 기록하여 투 | ||
명하게 공유한다. | 명하게 공유한다. | ||
+ | |||
◇ 전체 개발 일정은 상단에 기술된 월별 목표를 기준으로 진행하며, 일정 내 기능 구현을 우 | ◇ 전체 개발 일정은 상단에 기술된 월별 목표를 기준으로 진행하며, 일정 내 기능 구현을 우 | ||
선하고 이후 테스트 및 밸런싱에 집중한다. | 선하고 이후 테스트 및 밸런싱에 집중한다. | ||
+ | |||
◇ 1주일 단위 스프린트를 기준으로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애자일(Agile) 프로세스에 따라 유연 | ◇ 1주일 단위 스프린트를 기준으로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애자일(Agile) 프로세스에 따라 유연 | ||
하게 계획을 점검하고 조정한다. | 하게 계획을 점검하고 조정한다. | ||
+ | |||
◇ GitHub를 통해 형상 관리를 수행하며, 모든 기능은 Pull Request(PR) 단위로 리뷰 및 반영한 | ◇ GitHub를 통해 형상 관리를 수행하며, 모든 기능은 Pull Request(PR) 단위로 리뷰 및 반영한 | ||
다. | 다. | ||
+ | |||
◇ 메시지 컨벤션 | ◇ 메시지 컨벤션 | ||
+ | |||
기본 형식: 분류:제목 | 기본 형식: 분류:제목 | ||
+ | |||
필요 시 본문은 한 줄 띄운 뒤 작성 | 필요 시 본문은 한 줄 띄운 뒤 작성 | ||
+ | |||
분류 예시: 문서추가, 기능구현, 코드삭제 | 분류 예시: 문서추가, 기능구현, 코드삭제 | ||
+ | |||
◇ 코딩 컨벤션 | ◇ 코딩 컨벤션 | ||
+ | |||
Epic Games에서 권장하는 Unreal Engine C++ 코딩 표준을 따름 | Epic Games에서 권장하는 Unreal Engine C++ 코딩 표준을 따름 | ||
+ | |||
◇ 에셋 네이밍 컨벤션 | ◇ 에셋 네이밍 컨벤션 | ||
− | 애셋 이름은 Unreal Engine의 권장 네이밍 규칙을 | + | |
− | 접두어를 통해 애셋 종류를 명확하게 구분함. | + | 애셋 이름은 Unreal Engine의 권장 네이밍 규칙을 따르며, 접두어를 통해 애셋 종류를 명확하게 구분함. |
+ | |||
예시: SM_, BP_, FX_, UI_, MAT_ | 예시: SM_, BP_, FX_, UI_, MAT_ | ||
321번째 줄: | 363번째 줄: | ||
* 게임 플레이 로그 수집 및 자원/무기 관련 밸런스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게임 내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가? | * 게임 플레이 로그 수집 및 자원/무기 관련 밸런스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게임 내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가? | ||
===개념설계안=== | ===개념설계안=== | ||
− | + | * 1. 순서도 | |
− | + | ** MainMenu 레벨 순서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세설계 내용=== | ===상세설계 내용=== | ||
내용 | 내용 |
2025년 6월 18일 (수) 23:33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00000000..
영문 : 00000000..
과제 팀명
슈팅스타
지도교수
안상현 교수님
개발기간
2025년 3월 ~ 2025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XXXXX0** 한규만(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XXXXX0** 정진원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XXXXX0** 박하빈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XXXXX0** 임정현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전략적 팀플레이를 핵심으로 하는 탑다운 슈팅 게임 개발
◇ 자원의 위치와 장애물이 매 판마다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전장 환경에서 전술적 협동이 가능 한 멀티플레이 시스템 구축
◇ 수집한 자원에 따라 무기에 랜덤한 성능이 부여되는 무기 제작 시스템 개발
◇ 슈팅 액션과 전략적 요소를 융합한 신개념 게임 콘텐츠 구현
개발 과제의 배경
1) 복잡한 접속 절차 기존의 모바일 멀티플레이 게임은 대부분 인터넷 접속, 로그인, 서버 매치메이킹 등의 복잡한 절차를 요구한다. 이러한 과정은 짧은 시간 동안 빠르게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본 게임은 Wi-Fi Direct 기술을 활용하여, 로그인이나 인터넷 연결 없이도 주변 플레이어와 바로 연결되어 즉시 멀티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은 ‘빠르고 간편한 게임 경험’이라는 핵심 가치를 실현한다.
2) 온라인 환경 제약 외부 환경에서 모바일 게임을 즐기려 할 때, 데이터 소모는 제약이 될 수 있다. Wi-Fi Direct 기반의 본 게임은 이러한 제약을 뛰어넘어, 인터넷이 없는 상황에서도 근거리 유저 간의 직접 연결로 언제 어디서나 함께 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멀티플레이를 가능하게 하여, 실외나 일상 속에서도 쉽게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3) 반복적인 콘텐츠 구조와 제한된 전략 선택지 기존 탑다운 슈팅 게임은 고정된 맵과 자원 구조로 인해 플레이의 반복성이 강하고 전략적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게임은 맵과 자원을 절차적으로 생성하여, 매 경기 마다 새로운 환경을 제공한다. 플레이어는 그 안에서 자원을 채집하고, 채집한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양한 무기를 제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예측 불가능한 플레이 흐름과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하였으며, 반복 플레이에서도 지속적인 신선함과 몰입감을 유지할 수 있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플레이어는 절차적으로 생성된 맵에서 자원을 자유롭게 탐색하고 채집할 수 있다.
◇ 플레이어는 채집한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다양한 무기와 장비를 제작하거나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 Wi-Fi Direct 기반의 P2P 연결을 통해 별도의 로그인이나 인터넷 접속 없이 주변 유저와 즉시 멀티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다.
◇ 멀티플레이 시, 플레이어들은 협동 또는 경쟁을 통해 자원을 공유하거나 탈취하며 전략적으로 전투를 전개할 수 있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Wi-Fi Direct Wi-Fi Direct는 별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없이도 Wi-Fi 기능이 있는 두 기기 간에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기존 Wi-Fi 인프라 없이도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며, 블루투스보다 높은 전송 대역폭과 더 넓은 통신 범위를 지원한다. Android OS와 Windows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공식적으로 지원되며, 파일 공유, 사진 전송, 실시간 스트리밍, 로컬 멀티플레이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절차적 생성 절차적 생성은 알고리즘과 규칙 기반 로직을 활용해 맵, 지형, 아이템, 캐릭터 등 게임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는 기술이다. 개발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제작하지 않아도 콘텐츠를 다양하게 생성할 수 있어, 게임의 반복성을 줄이고 플레이 경험의 다양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로그라이크, 샌드박스, 오픈월드 장르에서 널리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Minecraft》, 《No Man's Sky》, 《Hades》 등에서 그 활용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절차적 생성은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플레이어마다 매번 다른 환경을 제공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 Unreal Engine5 Unreal Engine 5는 에픽게임즈(Epic Games)에서 개발한 차세대 실시간 3D 콘텐츠 제작 엔진으로, 고품질 그래픽과 고성능 게임 개발을 동시에 지원하는 대표적인 게임 엔진이다. UE5는 이전 버전 대비 사실적인 디테일과 표현력을 대폭 향상시킨 나나이트(Nanite)와 루멘(Lumen)이라는 두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나나이트(Nanite)는 수십억 개의 폴리곤으로 이루어진 고해상도 메시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고 렌더링할 수 있는 가상화 지오메트리 기술로, 고사양 모델을 따로 최적화하지 않아도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루멘(Lumen)은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및 반사 시스템으로, 별도의 라이트 베이킹 없이도 사실적인 조명 변화와 반사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UE5는 World Partition, Control Rig, MetaHuman,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PCG) 등의 기능도 제공하여, 대규모 오픈월드 개발, 애니메이션 제작, 캐릭터 생성, 절차적 콘텐츠 구현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게임 외에도 영화, 방송, 건축 시각화, 자동차 시뮬레이션, 메타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Blueprint 비주얼 스크립팅을 통해 프로그래밍 지식이 적은 사용자도 직관적으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게임 산업은 기술 특허보다는 콘텐츠의 창의성, 사용자 경험(UX), 그리고 운영 전략이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분야이다. 특허 조사 및 전략 수립보다는 안정적 서비스 구현과 게임성 확보에 중점을 두는 것이 더 실질적이라고 판단된다.
- 기술 로드맵
◇ 게임 진입 및 플레이어 매칭 · 근처 기기를 검색하고, 게임 방을 개설하거나 접속 가능한 방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 로비 및 파티 구성 · 2:2 팀 구성을 위한 간단한 로비 시스템을 제공한다.
◇ 절차적 맵 생성 및 전투 진입 · 절차적 생성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게임 시작 시 맵, 자원, 장애물이 자동 생성될 수 있게 한다.
◇ 무기 제작 및 자원 채집 시스템 · 수집한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랜덤성이 가미된 무기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 플레이어 조작 및 전투 시스템 모바일 터치 UI 기반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동, 공격, 회피 등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 HUD · 플레이어의 체력, 무기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 결과 처리 · 라운드 종료 후 승패를 판단하고 결과 화면을 출력한다.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1. 브롤스타즈 슈퍼셀의 ‘브롤스타즈’는 2018년 12월 출시된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모바 일 팀 기반 슈팅 게임이다. 특히 2023년 하반기부터 다운로드 수가 꾸준히 증가해 2024년 2월 에는 약 25만 건으로 2020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월 다운로드 수를 기록했고, 월 매출도 약 750만 달러(약 101억 원)로 50개월 만에 최고치를 달성하는 등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게임 모드와 개성 있는 캐릭터, 빠른 템포의 전투 등으로 많은 유저층을 확보하고 있지만, 경쟁전 중심의 콘텐츠 구조는 높은 랭크 구간에 집중된 설계로 인해 일반 유저들이 쉽게 접근하 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일부 플레이어들은 경쟁전에서 오는 피로도와 진입 장벽을 주요 불만 요소로 꼽는다. 이에 비해 우리 게임은 보다 진입 장벽을 낮추고 즉각적으로 플레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특히 Wi-Fi Direct 기반 멀티플레이를 통해 인터넷 연결이나 로그인 없이도 주변 사람들과 빠르게 게임을 시작할 수 있어, 복잡한 매치메이킹 없이도 손쉽게 팀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브롤스타즈와 달리, 반복성에서 벗어나 기 위해 매판마다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맵과 자원을 통해 유저마다 매번 새로운 전략을 구성 하게 만들며, 전략적 깊이와 몰입도를 더한다.
2. PUBG: BLINDSPOT 크래프톤의 ‘PUBG: BLINDSPOT’은 2025년 2월에 공개된 5:5 팀 기반 탑다운 전술 슈팅 게임이 다. PUBG IP를 활용해 제작된 이 작품은 현실적인 슈팅 감각과 탑다운 시점의 전략적 플레이 를 결합하며, 기존 배틀로얄 장르와는 차별화된 방향을 제시한다. 다만 시야 제한이 뚜렷하고, 적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전체적인 게임 난이도를 높게 느끼는 유 저들도 존재한다. 이에 반해 우리 게임은 탑다운 시점이 주는 전략적 장점은 살리되, 플레이어의 불편함을 줄이 고 협동의 재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BLINDSPOT이 고정된 전장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반면, 우리 게임은 매 경기마다 맵이 절차적으로 생성되어 매번 새로운 환경에서 자원을 채집하고,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무기를 제작하게 된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반복되지 않는 전투 흐름 속에서 유동적인 전략을 구성하며, 매번 색다른 플레이 경험을 누릴 수 있다.
- 마케팅 전략 제시
※ SWOT 분석
강점 (Strength)
1) 이 프로젝트의 경쟁 우위는 무엇인가? · Wi-Fi Direct를 활용한 인터넷 없이 즉시 가능한 멀티플레이는 뚜렷한 차별점이다. · 로그인, 서버 매치메이킹 없이 빠른 2:2 로컬 플레이가 가능해, 접근성과 편의성이 탁월하다. ·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맵과 자원을 통해, 매 경기 새로운 전략 구성이 가능하다. · 자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달라지는 무기 제작 시스템은 유저에게 반복 플레이 동기를 제공한 다.
2) 이 프로젝트의 특별한 점은 무엇인가? · 인터넷 없이 주변 친구와 즉석에서 함께 플레이할 수 있어, 빠르고 간편한 오프라인 게임 환 경을 제공한다. · 매 경기 다른 환경에서 자원을 채집하고 무기를 제작하는 방식은, 고착화되고 반복되는 전투 가 아닌, 전략성과 유동성이 높은 전투 경험을 제공한다. · 게임의 주요 타겟층 중 하나인 10대 남성들은 학교 등 물리적으로 가까운 공간에서 친구들 과 실시간으로 게임을 즐기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층의 이용 패턴에 최적화된 콘텐츠 설계와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3) 이 프로젝트가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 캐주얼하면서도 전략적인 요소가 결합되어 있어, 라이트 유저와 코어 유저 모두가 쉽게 접근 가능하다. · 기존 모바일 슈팅 게임보다 더 깊이 있는 전략성과 자유도 제공 · 가입이나 서버 매칭 등의 복잡한 과정 없이, 단말기만 있으면 바로 플레이가 가능한 접근성 이 큰 장점이다.
약점 (Weakness)
1) 업계 내 다른 게임사 혹은 프로젝트와 비교했을 때 이 팀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 비교적 소규모 팀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콘텐츠 양이나 비주얼 퀄리티 면에서 대형 프 로젝트 대비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실제 기기를 활용한 테스트 환경이 부족하다. · Wi-Fi Direct 기술의 물리적 거리 제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플레이어 간의 근접성이 전제된 구조에서만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 자본금의 부족으로 인해, 출시 이후 유저 확보를 위한 마케팅 활동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 이 있다.
기회 (Opportunity)
1) 최근 게임 트렌드는 무엇인가? · 글로벌 시장 기준으로 모바일 게임은 2023년 767억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팬데믹 이전 대비 22% 상승하였다. 2028년에는 1,000억 달러 돌파가 예상될 만큼 성장 속도가 빠르며, 특 히 미국 시장에서도 2024년 19억 6천만 달러, 2027년에는 23억 8천만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 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된 우리 게임은 더욱 빠르게 사용자층을 확 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위협 (Threat)
1) 경쟁 게임들이 더 잘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 브롤스타즈와 같은 대형 게임은 캐릭터성, 라이브 서비스, 마케팅 측면에서 절대적 우위를 가 진다. 대형 게임이 커버하지 못하는 오프라인 로컬 멀티 중심 유저층(예: 학교, 학원에서 친구들과 즉 시 플레이하려는 10대)을 정조준하여 차별화를 해야한다. · BLINDSPOT은 배틀그라운드라는 유명 게임을 개발한 PUBG 스튜디오의 차기작으로 유저들의 관심을 선점할 수 있다. BLINDSPOT처럼 복잡하거나 경쟁 중심인 게임과 달리, 접근성과 간편함을 무기로 내세운 전략 적 차별화를 해야한다.
※ 마케팅 전략
· 우리 게임의 주요 장점인 인터넷 없이 친구와 바로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점을 강조하여, SNS(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에서 짧은 영상 콘텐츠(릴스/쇼츠) 형태로 홍보한다. · 대학교 커뮤니티(에브리타임), 게임 중심 커뮤니티(인벤, 스팀 등)에 게임 소개글과 체험판 플 레이 링크를 공유하여 타깃 유저층에게 자연스럽게 노출시킨다. · “지금 바로 친구와 플레이 가능”이라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무과금-무가입-즉시 멀티를 강조 한 광고 문구를 제작한다. · 타겟층인 10-20대 남성 유저들이 밀집된 지역(예: 대학가, 기숙사, 고등학교 주변) 중심으로 소규모 오프라인 체험 행사 또는 포스터 마케팅도 고려해볼 수 있다. · 출시 이후에는 앱 스토어 최적화(ASO)를 적용하여 "로컬 멀티", "친구와 하는 슈팅 게임" 등 의 키워드로 검색 노출을 유도한다.
※ 수익 구조
· 초기부터 유료로 판매되는 게임으로, 한 번의 구매를 통해 모든 기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 다. · 출시 이후에는 스킨, UI 테마, 총기 이펙트 등 커스터마이징 요소를 추가 업데이트하고, 이를 유료 인앱 상품으로 제공하여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 사용자는 별도의 로그인이나 인터넷 접속 없이, Wi-Fi Direct 기반의 빠른 멀티플레이 환경 을 통해 즉시 게임에 참여할 수 있어 진입 장벽이 낮고, 접근성이 높다.
◇ 절차적으로 생성되는 맵과 자원 배치, 장애물 구조를 통해 매 판마다 새로운 전략적 경험을 제공하며, 플레이어는 매번 다른 전장을 탐색하고 대응해야 하는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 수집한 자원을 기반으로 랜덤한 무기 성능이 부여되는 시스템은 예측 불가능성과 리플레이 가치를 높이며, 유저의 전략적 선택을 유도한다.
◇ UI는 모바일 터치 기반의 직관적인 조작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누구나 쉽게 컨트롤할 수 있 으며, 다양한 디바이스 해상도에 대응하는 크로스 플랫폼 UI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 P2P 멀티플레이 구조를 통해 인디 개발팀도 낮은 인프라 비용으로 멀티플레이 게임을 개발할 수 있어 개발·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기존의 데이터 기반 매치메이킹 구조 대신, 근거리 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온라인 매칭 없이 도 현장 중심의 이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고정된 콘텐츠 소비에서 벗어나, 매번 달라지는 전장 구성과 무기 조합을 통해 플레이어는 반복 플레이에도 피로감 없이 지속적인 몰입과 플레이를 유도할 수 있다.
◇ Wi-Fi Direct 환경 기반의 실시간 협동 게임은 네트워크가 제한적인 지역이나 네트워크 비용 이 부담스러운 사용자에게도 적합해, 더 폭넓은 사용자층을 확보할 수 있다.
◇ 절차적 콘텐츠 구성 방식은 개발자가 수작업으로 맵을 디자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콘 텐츠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라이프 사이클이 긴 게임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구성원 및 추진체계
※ 구성원
◇ 한규만: 팀장, UI/UX 시스템 구현 및 인벤토리·HUD·로비 UI 개발
◇ 정진원: 절차적 맵 생성 알고리즘, 자원 및 지형지물 배치 시스템 개발
◇ 박하빈: 게임 라운드 시스템 및 서버 연동, RPC 및 클라이언트 동기화 처리
◇ 임정현: 플레이어 입력 및 전투 조작 시스템 구현, 무기 사용 및 피격 처리 담당
※ 추진 체계
◇ 매주 수요일 정기 회의를 통해 진행 상황을 공유하며, 회의록은 한규만(팀장)이 작성한다.
◇ 회의는 모든 팀원이 참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주요 결정사항은 회의록에 기록하여 투 명하게 공유한다.
◇ 전체 개발 일정은 상단에 기술된 월별 목표를 기준으로 진행하며, 일정 내 기능 구현을 우 선하고 이후 테스트 및 밸런싱에 집중한다.
◇ 1주일 단위 스프린트를 기준으로 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애자일(Agile) 프로세스에 따라 유연 하게 계획을 점검하고 조정한다.
◇ GitHub를 통해 형상 관리를 수행하며, 모든 기능은 Pull Request(PR) 단위로 리뷰 및 반영한 다.
◇ 메시지 컨벤션
기본 형식: 분류:제목
필요 시 본문은 한 줄 띄운 뒤 작성
분류 예시: 문서추가, 기능구현, 코드삭제
◇ 코딩 컨벤션
Epic Games에서 권장하는 Unreal Engine C++ 코딩 표준을 따름
◇ 에셋 네이밍 컨벤션
애셋 이름은 Unreal Engine의 권장 네이밍 규칙을 따르며, 접두어를 통해 애셋 종류를 명확하게 구분함.
예시: SM_, BP_, FX_, UI_, MAT_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번호 | 요구사항 | D or W | 비고(중요도) |
---|---|---|---|
1 | Wi-Fi Direct 기반의 로컬 멀티플레이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 D | 대 |
2 | 절차적 방식으로 맵과 자원이 배치 되어야 한다 | D | 대 |
3 | 자원을 채집하고 조합하여 무기를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 D | 대 |
4 | 자원 조합 결과에 따라 무기의 성능이 다양하게 변화해야 한다. | W | 중 |
5 | 플레이어 간 전투가 가능하고, 공격, 피격, 사망 등의 상태 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 D | 대 |
6 |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조작 UI/UX 구성을 지원해야 한다. | D | 대 |
7 | 플레이어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UI를 지원해야 한다. | D | 중 |
8 | 라운드 방식의 게임 진행과 승리 조건 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 D | 대 |
9 | 게임 밸런스를 조절하여 원활한 게임 환경을 제공해야한다. | W | 소 |
평가 내용
- Wi-Fi Direct를 이용해 별도의 로그인이나 서버 접속 없이 주변 사용자가 멀티플레이에 참여할 수 있는가?
- 플레이어가 게임 방을 생성하고, 주변 사용자가 해당 방에 정상적으로 접속 및 참가할 수 있는가?
- 게임 시작 시, 맵과 자원이 절차적으로 랜덤 생성되어 새로운 플레이 환경이 제공되는가?
- 플레이어가 맵 내 자원을 채집하고, 자원 획득 시 정상적으로 인벤토리에 추가되는가?
- 플레이어가 수집한 자원을 이용해 무기를 제작할 수 있으며, 조합된 자원에 따라 무기의 성능이 변화하는가?
-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와 전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공격, 피격, 사망 등의 전투 로직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
- 플레이가 진행되는 동안 라운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며, 승리 및 패배 조건 충족 시 게임 결과가 처리되는가?
- 플레이어의 상태 정보(HP, 무기 상태 등)가 HUD를 통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가?
- 게임 플레이 로그 수집 및 자원/무기 관련 밸런스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게임 내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가?
개념설계안
- 1. 순서도
- MainMenu 레벨 순서도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가. 프로토타입 사진
MainMenu Level
IP 주소로 직접 플레이 팝업
우측 상단 도움말 버튼 팝업
Lobby Level
닉네임 변경 버튼 팝업
Wifi Direct Discover Level
절차적 맵 생성
플레이어 모바일 조작
자원 채집 1단계, 2단계, 3단계 - 돌
스코어 보드 UI
인벤토리 UI
킬로그 UI
게임 상태 표시 UI - 전투 시작
게임 상태 표시 UI - Round 승리
게임 상태 표시 UI - Game 패배/승리
트레일러 및 설치 방법
◇ itch.io
https://ripepixel.itch.io/shootingstar
위 링크 접속 후, Download Now 버튼 클릭, zip 파일 다운로드 후 실행.
관련사업비 내역서
구분 | 항목 (품명, 규격) |
수량 | 단가 | 금액(단위: 천원) | 비고 | |
---|---|---|---|---|---|---|
계 | 현금 | |||||
직접개발비 | Location 2 Western - Low Poly 3D Models Pack | 1 | 14.5 | 14.5 | 14.5 | |
Toon Soldiers | 1 | 40.3 | 40.3 | 40.3 | ||
Lowpoly Mine Assets | 1 | 96.9 | 96.9 | 96.9 | ||
C++ 소프트웨어 디자인 | 1 | 28.8 | 28.8 | 28.8 | ||
Effective Modern C++ | 2 | 25.2 | 50.4 | 50.4 | ||
게임 서버 프로그래밍 교과서 | 1 | 31.5 | 31.5 | 31.5 | ||
게임 프로그래밍 패턴 | 2 | 31.5 | 63.0 | 63.0 | ||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C++ 코딩의 기술 | 2 | 27.0 | 54.0 | 54.0 | ||
언리얼 엔진 5로 개발하는 멀티플레이어 게임 | 1 | 38.0 | 38.0 | 38.0 | ||
유니티로 배우는 AI 프로그래밍 콕북 2/e | 1 | 29.7 | 29.7 | 29.7 | ||
이득우의 언리얼 C++ 게임 개발의 정석 | 2 | 47.0 | 94.0 | 94.0 | ||
합계 | 541.1 |
완료작품의 평가
평가 항목 | 평가방법 | 적용기준 | 개발 목표치 | 비중 (%) | 평가결과 |
---|---|---|---|---|---|
1. 로컬 멀티플레이어 연결 | 애플리케이션 시연 | Wi-Fi Direct 연결 성공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2. 절차적 맵 생성 | 애플리케이션 시연 | 맵 생성 성공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3. 자원 채집 기능 | 애플리케이션 시연 | 자원 수집 성공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4. 무기 제작 시스템 | 애플리케이션 시연 | 제작에 따른 무기 생성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5. 무기 성능 다양화 | 애플리케이션 시연 | 무기별 성능 차이 구현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6. 유저간 상호작용 | 애플리케이션 시연 | 유저간 충돌 및 상호작용 구현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7. 플레이어간 전투 시스템 구현 | 애플리케이션 시연 | 타격 동작 여부 및 사망 로직 구현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8. 라운드 및 승리 조건 처리 | 애플리케이션 시연 | 라운드 종료 및 승리팀 판단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9. UI/UX 구성 | 애플리케이션 시연 | 아이템창, 자원 현황 여부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10. 팀 플레이 및 밸런스 조정 | 애플리케이션 시연 | 내부 시뮬에 의한 승률 분석 | 완전 구현 | 10% | 구현 완료 |
향후계획
가. 어려웠던 내용들
◇ Wi-Fi Direct 기반 멀티플레이 연결 시 기기 간 호환성 문제로 안정적인 세션 유지
◇ 절차적 맵 생성 알고리즘에서 맵의 연결성과 균형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시간 소요
◇ 전투 시스템에서 공격 판정과 피격 판정 간의 동기화 오류 발생 및 반복 디버깅
◇ 다양한 해상도/화면비율을 지원하는 UI 배치 및 스케일 조정
◇ 자원 수집 → 무기 제작 → 전투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UX 구성에 반복적인 수정
◇ 테스트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버그가 다수 발견되어 디버깅 및 코드 리팩터링에 어려움을 겪음
나. 차후 구현할 내용
◇ 싱글플레이 전용 PvE 콘텐츠 강화
→ 혼자서도 충분히 몰입 가능한 웨이브 방어 모드, 보스 사냥 모드 등을 설계 → 플레이어 실력을 기반으로 적 난이도 자동 조절 (Dynamic Difficulty Adjustment)
◇ 로컬 멀티플레이 전용 PvE 협동 모드 추가
→ Vampire Survivors 스타일의 쏟아지는 적을 함께 막는 생존형 모드 구현 → 무기 시너지 조합 및 역할 분담 (ex. 범위 공격 / 회복 / 방어 등) 도입
◇ 게임 모드 확장: 아케이드/스토리/챌린지 모드 분기 구현
→ 기본 루프 외에 짧고 명확한 목표가 있는 미션 기반 싱글/멀티 모드 도입 → 적 AI와 환경이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미션형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