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임박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d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의 배경)
31번째 줄: 31번째 줄:
 
* 위험하거나 협소해 사람이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드론을 이용해 지형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해당 지역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한다.
 
* 위험하거나 협소해 사람이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드론을 이용해 지형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해당 지역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
====개발 과제의 배경 및 효과====
내용
+
* 기존 드론의 경우 저가형은 GPS 센서나 카메라 등이 없어 조종자가 직접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곳에서만 비행이 가능했으며, GPS 센서가 있다고 하더라도 신호의 정밀도 문제로 일정 정도 이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
* 드론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촬영한 영상을 Wi-Fi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해 드론 주위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어 조종에 도움을 주는 시도가 드물었다.
 +
* 즉, 지금까지는 영상 없이 GPS 정보만 보고 파악하거나, 영상이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더라도 조종자가 직접 보고 판단해야 하는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경우 조종자가 정확한 위치 정보(거리, 고도 등)를 파악하지 못해 불편함이 따른다.
 +
* 따라서 전송된 영상으로부터 거리 정보를 얻고, 조종자가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UI/UX 시스템을 만들어 보다 정밀한 비행이 가능하게 한다.
 +
* 또한, 영상 처리 기술을 활용해 조종자가 없는 자율 비행 드론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GPS 신호가 잘 수신되지 않는 협소한 공간 등에서는 주위 영상으로부터 구체적인 위치 정보를 얻어 드론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내용

2019년 12월 16일 (월) 07:03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드론 조종을 위한 UI/UX 개발(스트리밍, 가상/실공간 매핑을 통한 거리 산출)

영문 : UI/UX for Controlling Drones Using FPV Streaming and SLAM

과제 팀명

김임박조(5조)

지도교수

이동희 교수님

개발기간

2019년 9월 ~ 2019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49200** 김*우(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49200** 박*수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49200** 임*일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드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있는 조종자가 드론 주위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조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UI/UX를 개발한다.
  • 기존 GPS 센서를 이용한 대략적인 위치 정보 파악 이상으로, 카메라를 통한 드론 주위 영상을 전송 및 처리하여 도심지와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드론 조종을 기존보다 용이하게 한다.
  •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처리해 지형 측량 등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
  • 위험하거나 협소해 사람이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장소에 드론을 이용해 지형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고, 해당 지역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및 효과

  • 기존 드론의 경우 저가형은 GPS 센서나 카메라 등이 없어 조종자가 직접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곳에서만 비행이 가능했으며, GPS 센서가 있다고 하더라도 신호의 정밀도 문제로 일정 정도 이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 드론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촬영한 영상을 Wi-Fi 또는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해 드론 주위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어 조종에 도움을 주는 시도가 드물었다.
  • 즉, 지금까지는 영상 없이 GPS 정보만 보고 파악하거나, 영상이 드론으로부터 전송되더라도 조종자가 직접 보고 판단해야 하는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경우 조종자가 정확한 위치 정보(거리, 고도 등)를 파악하지 못해 불편함이 따른다.
  • 따라서 전송된 영상으로부터 거리 정보를 얻고, 조종자가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UI/UX 시스템을 만들어 보다 정밀한 비행이 가능하게 한다.
  • 또한, 영상 처리 기술을 활용해 조종자가 없는 자율 비행 드론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GPS 신호가 잘 수신되지 않는 협소한 공간 등에서는 주위 영상으로부터 구체적인 위치 정보를 얻어 드론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