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1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d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 요약)
26번째 줄: 26번째 줄: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 요약====
많은 사람들의 귀에 익숙하고, 찾아 듣기 쉬운 클래식에 비해 국악은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이 과제는 국악의 접근장벽을 낮추기 위해  베토벤의 운명교향곡과 같은 서양 악기를 이용한 클래식 음악을  한국의 전통악기를 이용한 국악으로 변환하여 국악풍의 클래식 음악을 만들어내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한다.  여기에 더불어, 클래식 음악의 연주영상을 한국의 전통적인 민화의 style을 가지는 영상으로 변환하고, 생성된 국악풍의 클래식 음악과 합성하여 클래식 음악의 국악 버전 뮤직비디오를 만든다. 이 제작된 뮤직비디오를 유튜브에 업로드하여 한국의 전통 예술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Video Style Transfer와 Audio Style Transfer의 오픈소스를 사용하여 영상 내 이미지의 스타일을 변환해주는 Real-Time Style Transfer을 활용해, 음악과 영상을 모두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이다.
+
많은 사람들의 귀에 익숙하고, 찾아 듣기 쉬운 클래식에 비해 국악은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이 과제는 국악의 접근장벽을 낮추기 위해  베토벤의 운명교향곡과 같은 서양 악기를 이용한 클래식 음악을  한국의 전통악기를 이용한 국악으로 변환하여 국악풍의 클래식 음악을 만들어내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한다.  여기에 더불어, 클래식 음악의 연주영상을 한국의 전통적인 민화의 style을 가지는 영상으로 변환하고, 생성된 국악풍의 클래식 음악과 합성하여 클래식 음악의 국악 버전 뮤직비디오를 만든다. 이 제작된 뮤직비디오를 유튜브에 업로드하여 한국의 전통 예술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Video Style Transfer와 Audio Style Transfer의 오픈소스를 사용하여 영상 내 이미지의 스타일을 변환해주는 Real-Time Style Transfer을 활용해, 음악과 영상을 모두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이다.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2019년 12월 26일 (목) 06:17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궁중st 운명교향곡 뮤직비디오

(영문 Beethoven Symphony No.5 Korean Court Music Style Video)

과제 팀명

4조(1조)

지도교수

김민호 교수님

개발기간

2019년 9월 ~ 2019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5920061 현아연(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4920007 김지영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5920060 현민지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많은 사람들의 귀에 익숙하고, 찾아 듣기 쉬운 클래식에 비해 국악은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이 과제는 국악의 접근장벽을 낮추기 위해 베토벤의 운명교향곡과 같은 서양 악기를 이용한 클래식 음악을 한국의 전통악기를 이용한 국악으로 변환하여 국악풍의 클래식 음악을 만들어내는 것을 1차적인 목표로 한다. 여기에 더불어, 클래식 음악의 연주영상을 한국의 전통적인 민화의 style을 가지는 영상으로 변환하고, 생성된 국악풍의 클래식 음악과 합성하여 클래식 음악의 국악 버전 뮤직비디오를 만든다. 이 제작된 뮤직비디오를 유튜브에 업로드하여 한국의 전통 예술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Video Style Transfer와 Audio Style Transfer의 오픈소스를 사용하여 영상 내 이미지의 스타일을 변환해주는 Real-Time Style Transfer을 활용해, 음악과 영상을 모두 변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이다.

개발 과제의 배경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더불어 주목 받고 있는 VR, AR 기술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전문성을 쌓아 관련 시스템을 구현 및 개발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VR, AR에 대한 전문성을 함양하고 이해를 더해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여 개발 및 구현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더불어 각광받고 있는 AI, CLOUD, IoT 등의 기술 중 VR, AR에 관련된 기술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Practical Augmented Reality: A Guide to the Technologies, Applications, and Human Factors for AR and VR Motion sick in cyberspace Review on cybersickness inapplications and visual displays Prevention of Visually Induced Motion Sickness Based on Dynamic Real-timeContent-aware Non-salient Area Blurring

등의 논문 참조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VR, AR 관련된 제품들이 시장에 많이 나와 있음을 감안해 더 깊은 이해도와 참신함이 요구됨

  • 마케팅 전략 제시

참시함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을 바탕으로 VR, AR 관련 게임 및 시스템을 구현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발맞춰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기대효과를 만족시킴 현재 각광 받는 기술에 대한 시스템, 게임 등의 친숙한 소재의 활용으로 이해도를 더하고 접근성을 높임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실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 외에 비용이 들지 않음을 고려해 경제적이고 또한, 기대효과가 큰 기술임을 감안해 큰 파급효과를 예상함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2019년 9월 ~ 2019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및 추진체계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3920021 남영우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5920033 이연우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Vuforia나 Unity 등 대중성 있는 도구를 활용함으로서 VR, AR 관련 시스템을 개발

설계 사양

프로세서 : Intel(R) Core(TM) i5-8250U CPU @ 1.60GHz 1.80GHz 설치된 메모리(RAM) : 8.00GB 시스템 종류 : 64비트 운영 체제, x64 기반 프로세서

개념설계안

참조된 논문들의 내용 즉, VR, AR에 대해 인간이 받아들이는 정도, 기술 전문성, 부작용 등에 대한 이해도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관련된 시스템을 개발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VR : 총을 이용한 가상 게임 구현 AR : 만원 짜리 지폐를 인식해 주변에 행성 모양을 띄워주는 시스템 구현

상세설계 내용

내용 각 논문에 대한 이해와 추가 정보를 찾아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배경 지식 습득 Unity 개발 도구를 이용한 VR 게임 구현 Vuforia 개발 도구를 이용한 AR 시스템 구현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0원

완료작품의 평가

아쉬운 부분과 부족한 부분이 많았지만 VR, AR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전문성을 길러 관련 시스템을 구현, 개발했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둠

향후계획

부족했던 부분, 아쉬웠던 부분을 피드백해 기존에 구현했던 시스템을 재공학하고, 더 나아가 더 실용적이고 독창적인 시스템 개발에 주력

특허 출원 내용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