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berPunk 202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d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집을 꾸미고자 하는 수요 증가)
(개발 과제의 배경)
34번째 줄: 34번째 줄: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집을 꾸미고자 하는 수요 증가=====
 
=====집을 꾸미고자 하는 수요 증가=====
 +
최근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집 밖을 함부로 나가지 못하고, 사람들은 오랜 기간 집에 머무는 상황이다. 사람들은 외출하지 못해 집 안의 모습을 계속 보게 되어 답답하고 지루한 감정을 갖게 되고, 이 때문에 인테리어와 관련된 서비스, 자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
 +
계속 늘어나는 꾸미기 수요층이 만족할 수 있도록 여러 신생기업이 다양한 인테리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구를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ex. 오늘의집, 집꾸미기 등), 집의 인테리어 견적을 내는 서비스 플랫폼(ex. 집닥) 등이 있다. 이 서비스들은 사람들이 어떻게 집을 꾸몄는지 글과 사진을 남길 수 있는 게시판을 만들었단 공통점이 있다. 사용자는 게시글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꾸민 방을 구경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공간을 꾸미고자 하는 욕구를 대리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
 +
=====AR 기술의 발전 가능성=====
 +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공간에서 가상의 정보를 합성해 기존의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두기 때문에, 현실의 다양한 문제와 접목해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미래에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꼽히고 있다.
 +
그러나 AR이 가지는 가능성에 비해, 한때 시장에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AR 기술을 이용해 즐길 만한 콘텐츠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
 +
그 당시엔 AR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와 통신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환경이었고, 이 때문에 컨텐츠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AR 컨텐츠 개발이 지지부진했고, 사람들의 관심에서도 멀어졌다. 가장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AR 콘텐츠로 ‘포켓몬GO’라는 게임이 있었지만, 그 후로 대중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만한 AR 콘텐츠는 나오지 않았다.
 +
 +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언택트 문화가 퍼지고, 동시에 5G 통신이 개시되고 있는 시기와 맞물리면서 다시 가상현실과 관련된 기술과 콘텐츠의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뜨기 시작했다. 일례로 외출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온라인 쇼핑 수요가 늘어나면서, 해당 서비스를 AR과 접목해 물품을 증강현실을 통해 확인하고 구매하는 플랫폼이 생겼다. 또 집에 머물면서 즐겼던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방식을 넘어, 증강현실을 통한 새로운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생기고 있다.
 +
 +
현재 AR 기술은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뿐만 아니라, 패션, 교육, 군수, 건설 등 다방면으로 AR 기능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직 하드웨어 생산설비의 문제와 제품 가격, 기술 활용도, 법적 문제 등의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지만, 만약 미래에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가 널리 상용화가 되고 기술을 사용에 관련된 인프라가 잘 다져진다면 AR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할 것으로 보인다.
 +
 +
=====SNS와 미니홈피=====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란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인맥 확대 등으로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오늘날, SNS는 다른 사람과 멀리서 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에게 거의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았다.
 +
 +
2000년대 후반 대한민국은 ‘내가 꾸밀 수 있는 나만의 미니홈피’라는 개념을 SNS에 결합한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열풍이 불었다. 자그마한 캐릭터인 미니미와 자기만의 공간인 미니룸을 직접 사용자가 꾸며 개성과 취향을 표현할 수 있었고, 일촌 파도타기를 통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미니홈피에 찾아가 일촌평과 방명록을 남기며 소통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이전에 자신이 꾸몄던 미니룸의 사진을 저장하거나 글과 사용자의 사진을 미니홈피에 남길 수 있어 일기장이나 앨범으로 사용하는 풍경도 보여주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등장하게 되면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비해 뒤늦은 모바일 대응과 불편한 사용성으로 인하여 싸이월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지만, 미니홈피 기능을 최신 트렌드가 반영된 새로운 모습으로 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이 많아 수요층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2021년 6월 19일 (토) 03:36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다락 : AR로 가상의 내 방 꾸미기

영문 : dARak : Decorate your virtual room with AR

과제 팀명

CyberPunk 2021

지도교수

최혁 교수님

개발기간

2021년 3월 ~ 2021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5920005 김대현(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4920056 최주영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5920035 이정석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6920050 정진용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다락(dARak)은 AR과 SNS 기능을 접목시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메타버스 서비스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 새로운 가상의 방을 만들고 기호에 맞게 방을 꾸밀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꾸민 가상의 방을 AR 기능을 통해 보여주고, 사용자에게 실제 방에 들어간다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사용자가 꾸민 가상의 방도 AR을 통해 구경할 수 있다. 추가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끼리 팔로잉 개념의 관계를 맺어 서로 교류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다락방을 꾸민다는 것에 착안하였다. 나만의 또 다른 공간을 만든다는 것이 마치 새로운 ‘다락방’을 만들고 꾸민다는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AR이란 핵심 기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중간에 AR이란 글자를 부각해 ‘dARak’이라는 영문명을 만들었다.

개발 과제의 배경

집을 꾸미고자 하는 수요 증가

최근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집 밖을 함부로 나가지 못하고, 사람들은 오랜 기간 집에 머무는 상황이다. 사람들은 외출하지 못해 집 안의 모습을 계속 보게 되어 답답하고 지루한 감정을 갖게 되고, 이 때문에 인테리어와 관련된 서비스, 자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계속 늘어나는 꾸미기 수요층이 만족할 수 있도록 여러 신생기업이 다양한 인테리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구를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ex. 오늘의집, 집꾸미기 등), 집의 인테리어 견적을 내는 서비스 플랫폼(ex. 집닥) 등이 있다. 이 서비스들은 사람들이 어떻게 집을 꾸몄는지 글과 사진을 남길 수 있는 게시판을 만들었단 공통점이 있다. 사용자는 게시글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꾸민 방을 구경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공간을 꾸미고자 하는 욕구를 대리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AR 기술의 발전 가능성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공간에서 가상의 정보를 합성해 기존의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두기 때문에, 현실의 다양한 문제와 접목해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미래에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AR이 가지는 가능성에 비해, 한때 시장에서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AR 기술을 이용해 즐길 만한 콘텐츠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 당시엔 AR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와 통신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환경이었고, 이 때문에 컨텐츠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AR 컨텐츠 개발이 지지부진했고, 사람들의 관심에서도 멀어졌다. 가장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AR 콘텐츠로 ‘포켓몬GO’라는 게임이 있었지만, 그 후로 대중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만한 AR 콘텐츠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언택트 문화가 퍼지고, 동시에 5G 통신이 개시되고 있는 시기와 맞물리면서 다시 가상현실과 관련된 기술과 콘텐츠의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뜨기 시작했다. 일례로 외출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온라인 쇼핑 수요가 늘어나면서, 해당 서비스를 AR과 접목해 물품을 증강현실을 통해 확인하고 구매하는 플랫폼이 생겼다. 또 집에 머물면서 즐겼던 기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방식을 넘어, 증강현실을 통한 새로운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생기고 있다.

현재 AR 기술은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뿐만 아니라, 패션, 교육, 군수, 건설 등 다방면으로 AR 기능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직 하드웨어 생산설비의 문제와 제품 가격, 기술 활용도, 법적 문제 등의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지만, 만약 미래에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가 널리 상용화가 되고 기술을 사용에 관련된 인프라가 잘 다져진다면 AR의 활용도는 무궁무진할 것으로 보인다.

SNS와 미니홈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란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인맥 확대 등으로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오늘날, SNS는 다른 사람과 멀리서 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에게 거의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았다.

2000년대 후반 대한민국은 ‘내가 꾸밀 수 있는 나만의 미니홈피’라는 개념을 SNS에 결합한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열풍이 불었다. 자그마한 캐릭터인 미니미와 자기만의 공간인 미니룸을 직접 사용자가 꾸며 개성과 취향을 표현할 수 있었고, 일촌 파도타기를 통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미니홈피에 찾아가 일촌평과 방명록을 남기며 소통할 수 있었다. 사용자는 이전에 자신이 꾸몄던 미니룸의 사진을 저장하거나 글과 사용자의 사진을 미니홈피에 남길 수 있어 일기장이나 앨범으로 사용하는 풍경도 보여주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등장하게 되면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비해 뒤늦은 모바일 대응과 불편한 사용성으로 인하여 싸이월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지만, 미니홈피 기능을 최신 트렌드가 반영된 새로운 모습으로 출시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이 많아 수요층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