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회비빔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d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iv>__TOC__</div> ==프로젝트 개요== === 기술개발 과제 === ''' 국문 : ''' 00000000.. ''' 영문 : ''' 00000000.. ===과제 팀명=== 육회비빔밥 ===지도교수=...)
 
3번째 줄: 3번째 줄: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개요==
 
=== 기술개발 과제 ===
 
=== 기술개발 과제 ===
''' 국문 : ''' 00000000..
+
''' 국문 : ''' 서울특별시 폐수거함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
''' 영문 : ''' Huemap
''' 영문 : ''' 00000000..
 
  
 
===과제 팀명===
 
===과제 팀명===
17번째 줄: 16번째 줄:
  
 
===구성원 소개===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팀장)
+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팀장)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
+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
+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이**
+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남**
 
  
 
==서론==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 요약====
내용
+
◇ 대다수의 서울시민이 현재 서울시내에 설치된 폐수거함을 찾는 것을 어려워하고 폐수거함이 충분하지 않게 설치됐다고 여긴다.
 +
 
 +
◇ 무단투기를 방지하고 폐수거함을 찾고자하는 서울시민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서울특별시 폐수거함 위치 정보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
 
 +
◇ 서울특별시에 설치된 쓰레기통, 의류수거함, 폐건전지 수거함 등 여러 폐수거함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
 
 +
◇ 사용자는 폐수거함에 대한 제보를 통해 서울시내 폐수거함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
 
 +
◇ 공공기관에게 API를 통한 폐수거함 정보를 제공한다.
 +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
 
 +
◇ 지난 1995년 서울시 쓰레기통 종량제 시행된 개수는 약 7607개였다. 하지만 가정과 사업장 등 쓰레기를 길거리 쓰레기에 배출하는 일이 잇따르면서 서울시는 2007년 3707개로 줄였다. 하지만 대중교통 이용시 뚜껑이 없는 음료나 음식이 승차거부 되면서 쓰레기통을 찾지 못하는 시민들의 불편과 민원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
 
 +
◇ 가정에서 복용하지 않고 남은 폐의약품, 수명을 다한 폐형광등, 폐건전지, 입지 않은 의류 등을 종량제 봉투, 하수 등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 유해 성분이 토양이나 하천에 유입돼 수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인체 건강을 위협할 수 있기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
 
 +
◇ 폐수거함 위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시민들이 지차체로 문의하거나 찾아 버리기 귀찮다는 것을 이유로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
 
 +
◇ 서울시민에게 근처에 있는 폐수거함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
 
 +
◇ 폐수거함을 찾지 못하는 대상에게 근처에 있는 폐수거함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제보를 통하여 폐수거함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
 
 +
◇ 사용자 제보를 공공기관에게 제공함으로써 폐수거함 청결 문제 해결, 폐수거함 추가 설치 등을 기대할 수 있다.
 +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
 
 +
◇ 서울특별시에 설치된 쓰레기통, 의류수거함, 폐건전지, 폐형광등 수거함, 폐의약품 수거함의 위치 정보를 지도 형태로 제공한다.
 +
 
 +
◇ 사용자는 폐수거함에 대한 제보를 할 수 있다.
 +
 
 +
:● 서비스에는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은 폐수거함을 제보할 수 있다.
 +
 
 +
:● 서비스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폐수거함을 제보할 수 있다.
 +
 
 +
:● 서비스에 존재하는 폐수거함의 훼손, 더러움, 가득 찬 정도의 현재 상태를 제보할 수 있다.
 +
 
 +
:● 적절한 폐수거함의 위치를 건의할 수 있다.
 +
 
 +
◇ 공공기관에게 폐수거함 상태, 폐수거함 설치 건의 현황을 API 형태로 제공한다.
 +
 
 +
:● 사용자가 수거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위치를 제보하면 제보량이 많은 지역을 공공기관에게 제공
 +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특허 전략 분석
+
◇ Clustering
내용
+
유사한 성격의 객체들을 같은 그룹으로 묶어 그룹화하고, 서로 유사하지 않은 성격의 객체들은 다른 그룹으로 분리하는 것을 클러스터링이라고 한다.
 +
 
 +
:● K-means Clustering
 +
::○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화하는 알고리즘
 +
::○ 그룹간 비유사도(dissimilarity)와 같은 비용 함수(cost function)을 최소화하는 방식
 +
::○ 표준적으로 각 클러스터와 거리 차이의 분산을 최소화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
:● DBSCAN Clustering
 +
::○ 가까운 데이터끼리 그룹화하는 알고리즘
 +
::○ 이웃(neighbor)이 많은 점을 그룹화하고 저밀도 지역에 떨어진 점을 outlier로 마킹한다.
 +
::○ 특정 분포를 따르지 않는 데이터에 더 유연한 장점이 있다.
 +
 
 +
◇ Open API
 +
:● Open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Open API, 공개 API) 또는 공개 API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하며, 개발자에게 사유 응용 소프트웨어나 웹 서비스의 프로그래밍 적인 권한을 제공한다.
 +
:● 구글, 카카오, 네이버 등의 여러 기업들은 개발자들을 위한 API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도로명 주소 조회 서비스, 동네예보정보조회서비스 등 Open API를 현재 운영 및 제공하고 있다.
 +
 
 +
 
 +
*특허조사  
 +
 
 +
◇ 쓰레기통 위치전송 시스템 - 1020170145657
 +
 
 +
야외 쓰레기통에 쓰레기통 위치 전송 칩을 부착하고, 쓰레기 소지자들이 모바일 앱을 설치해 이를 실행하면 근거리 반경 50-70m내의 쓰레기통에 부착된 쓰레기통의 위치를 모바일 앱에 표시한다.
 +
 
 +
◇ 쓰레기통 GPS 위치관리와 자동수거요청을 통한 스마트 쓰레기 자동 수거 서비스 시스템 - 1020170145657
 +
쓰레기통용 센싱노드부, 자동수거용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자동수거 중계모듈을 통해 쓰레기통에 내용물이 꽉 찼을시, 사용자가 직접 나서지 않아도, 자동 수거 요청을 통해 자동수거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새로운 스마트 쓰레기 자동수거 중계시스템을 구축시킬 수 있다
 +
 
 +
 
 +
*특허 전략 분석
 +
 
 +
◇ 쓰레기통에 위치 전송 칩을 부착하지 않아도 앱으로 쓰레기통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를 통해 최신 정보가 업데이트 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현실적이다.
 +
 
 +
◇ 쓰레기통 자동수거를 위해 3개의 장치가 필요했던 기존 특허와 달리 모바일 앱 하나만으로 쓰레기통의 자동수거가 가능하다.
 +
 
 +
 
 
*기술 로드맵
 
*기술 로드맵
내용
+
 
 +
◇ 수거함 위치정보 데이터 수집 -> 수거함에 쓰레기를 버리도록 참여 유도
 +
 
 +
◇ 수거함 상태, 수요 데이터 수집 -> 공공기관의 수요에 맞는 형태로 데이터 제공
 +
 
 +
◇ 클러스터링 -> 시민들의 수요에 맞는 수거함 위치 제안
 +
 
 +
◇ Open API 제공 -> 공공기관에 api를 통해 수거함 관련 정보 제공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2022년 12월 19일 (월) 23:04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서울특별시 폐수거함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영문 : Huemap

과제 팀명

육회비빔밥

지도교수

최* 교수님

개발기간

2022년 9월 ~ 2022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강**(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김**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류**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79200** 손**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대다수의 서울시민이 현재 서울시내에 설치된 폐수거함을 찾는 것을 어려워하고 폐수거함이 충분하지 않게 설치됐다고 여긴다.

◇ 무단투기를 방지하고 폐수거함을 찾고자하는 서울시민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서울특별시 폐수거함 위치 정보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 서울특별시에 설치된 쓰레기통, 의류수거함, 폐건전지 수거함 등 여러 폐수거함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 사용자는 폐수거함에 대한 제보를 통해 서울시내 폐수거함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 공공기관에게 API를 통한 폐수거함 정보를 제공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 지난 1995년 서울시 쓰레기통 종량제 시행된 개수는 약 7607개였다. 하지만 가정과 사업장 등 쓰레기를 길거리 쓰레기에 배출하는 일이 잇따르면서 서울시는 2007년 3707개로 줄였다. 하지만 대중교통 이용시 뚜껑이 없는 음료나 음식이 승차거부 되면서 쓰레기통을 찾지 못하는 시민들의 불편과 민원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 가정에서 복용하지 않고 남은 폐의약품, 수명을 다한 폐형광등, 폐건전지, 입지 않은 의류 등을 종량제 봉투, 하수 등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 유해 성분이 토양이나 하천에 유입돼 수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인체 건강을 위협할 수 있기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 폐수거함 위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시민들이 지차체로 문의하거나 찾아 버리기 귀찮다는 것을 이유로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 서울시민에게 근처에 있는 폐수거함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 폐수거함을 찾지 못하는 대상에게 근처에 있는 폐수거함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제보를 통하여 폐수거함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 사용자 제보를 공공기관에게 제공함으로써 폐수거함 청결 문제 해결, 폐수거함 추가 설치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서울특별시에 설치된 쓰레기통, 의류수거함, 폐건전지, 폐형광등 수거함, 폐의약품 수거함의 위치 정보를 지도 형태로 제공한다.

◇ 사용자는 폐수거함에 대한 제보를 할 수 있다.

● 서비스에는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은 폐수거함을 제보할 수 있다.
● 서비스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폐수거함을 제보할 수 있다.
● 서비스에 존재하는 폐수거함의 훼손, 더러움, 가득 찬 정도의 현재 상태를 제보할 수 있다.
● 적절한 폐수거함의 위치를 건의할 수 있다.

◇ 공공기관에게 폐수거함 상태, 폐수거함 설치 건의 현황을 API 형태로 제공한다.

● 사용자가 수거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위치를 제보하면 제보량이 많은 지역을 공공기관에게 제공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Clustering 유사한 성격의 객체들을 같은 그룹으로 묶어 그룹화하고, 서로 유사하지 않은 성격의 객체들은 다른 그룹으로 분리하는 것을 클러스터링이라고 한다.

● K-means Clustering
○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화하는 알고리즘
○ 그룹간 비유사도(dissimilarity)와 같은 비용 함수(cost function)을 최소화하는 방식
○ 표준적으로 각 클러스터와 거리 차이의 분산을 최소화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DBSCAN Clustering
○ 가까운 데이터끼리 그룹화하는 알고리즘
○ 이웃(neighbor)이 많은 점을 그룹화하고 저밀도 지역에 떨어진 점을 outlier로 마킹한다.
○ 특정 분포를 따르지 않는 데이터에 더 유연한 장점이 있다.

◇ Open API

● Open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Open API, 공개 API) 또는 공개 API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하며, 개발자에게 사유 응용 소프트웨어나 웹 서비스의 프로그래밍 적인 권한을 제공한다.
● 구글, 카카오, 네이버 등의 여러 기업들은 개발자들을 위한 API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도로명 주소 조회 서비스, 동네예보정보조회서비스 등 Open API를 현재 운영 및 제공하고 있다.


  • 특허조사

◇ 쓰레기통 위치전송 시스템 - 1020170145657

야외 쓰레기통에 쓰레기통 위치 전송 칩을 부착하고, 쓰레기 소지자들이 모바일 앱을 설치해 이를 실행하면 근거리 반경 50-70m내의 쓰레기통에 부착된 쓰레기통의 위치를 모바일 앱에 표시한다.

◇ 쓰레기통 GPS 위치관리와 자동수거요청을 통한 스마트 쓰레기 자동 수거 서비스 시스템 - 1020170145657

쓰레기통용 센싱노드부, 자동수거용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자동수거 중계모듈을 통해 쓰레기통에 내용물이 꽉 찼을시, 사용자가 직접 나서지 않아도, 자동 수거 요청을 통해 자동수거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새로운 스마트 쓰레기 자동수거 중계시스템을 구축시킬 수 있다


  • 특허 전략 분석

◇ 쓰레기통에 위치 전송 칩을 부착하지 않아도 앱으로 쓰레기통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사용자를 통해 최신 정보가 업데이트 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현실적이다.

◇ 쓰레기통 자동수거를 위해 3개의 장치가 필요했던 기존 특허와 달리 모바일 앱 하나만으로 쓰레기통의 자동수거가 가능하다.


  • 기술 로드맵

◇ 수거함 위치정보 데이터 수집 -> 수거함에 쓰레기를 버리도록 참여 유도

◇ 수거함 상태, 수요 데이터 수집 -> 공공기관의 수요에 맞는 형태로 데이터 제공

◇ 클러스터링 -> 시민들의 수요에 맞는 수거함 위치 제안

◇ Open API 제공 -> 공공기관에 api를 통해 수거함 관련 정보 제공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