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her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dc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술개발 과제)
(서론)
26번째 줄: 26번째 줄: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 요약====
내용
+
◇ 고령화 시대의 진입으로 노년층의 인구가 점차 늘어날 것을 예상하고, 그에 맞춰 노인들을 위한 어플을 제작한다.
 +
 
 +
◇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지능력이 부족해진 노년층을 위해 스마트폰의 UI를 간결하고 보기 편하게 만든다.
 +
 
 +
◇ 스마트폰의 사용이 익숙치 않아, 노인들이 광고나 잘못된 터치로 설치한 필요하지 않은 어플들을 자동으로 삭제한다.
 +
 
 +
◇ 대한민국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소외된 독거노인들을 위하여, AI 말동무 기능을 추가한다.
 +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
 
 +
 
 +
◇ 최근 대한민국은 낮은 출산율과 인구의 고령화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가 인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령화현상은 점점 더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실버케어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 기능상태,수발실태와 정책솨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노인실태조사의 일환으로 전국 65세 이상 노인 1만 665명의 인지 기능을 검사한 결과 응답자 8851명 가운데 28.5%가 ‘인지 기능 저하 의심’ 판정을 받았다. 통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세가 높아질수록 인지능력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인지 기능이 부족해진 노인들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뒤처지기 마련이다. 그 중, 가장 우리의 삶과 맞닿아 있는 스마트폰 이용에도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다. 한 팀원도 조부모님들을 모시는 중, 어르신들이 스마트폰의 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계신 것을 경험했다. 따라서 노인분들을 위한 어플의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
 
 +
◇ 젊은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빠르게 때문에 스마트폰의 여러 기능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지 않지만, 신지식을 배우는 것이 느린 노인들은 여러기능들이 나열되어있는 스마트폰의 배경화면조차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인계층에서 많이 사용하는 어플들이나 기능들을 파악해 간단한 UI에 넣는다면 노인들이 더 쉽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
 
 +
◇ 팀원의 경험에 의하면, 노인분들은 수전증등과 같은 질병을 앓고 있거나, 몸을 거동하시기 불편하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유튜브 광고나 뉴스 광고 팝업을 잘못 터치해 쓰지않는 앱을 깔거나 광고사이트에서 벗어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프로세스들을 완전히 종료하지 않고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해, 프로세스들이 겹겹이 쌓여 스마트폰이 느려지기도 한다. 따라서 광고를 잘못 터치해 광고사이트에 진입하게 되었을 때, 사이트탈출을 도와줄 수 있는 기능과, 필요없는 어플들을 삭제하고 쓰고 있지 않은 프로세스를 종료시켜주는 기능을 포함한 어플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
 
 +
◇ 대한민국이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접어 들면서, 홀로 살아가는 노인가구의 수도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챗GPT를 활용해 독거노인들에게 말동무가 되어줄 수 있는 기능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를 활용한다면, 고독사와 같은 사회문제도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내용

2023년 6월 19일 (월) 23:52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AI손주 - 노인용 스마트폰 UI 및 AI 채팅 서비스

영문 : AIGrandChildren

과제 팀명

Others

지도교수

안*현 교수님

개발기간

2023년 3월 ~ 2023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79200** 이*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79200** 이*철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209200** 정*윗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79200** 최*우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고령화 시대의 진입으로 노년층의 인구가 점차 늘어날 것을 예상하고, 그에 맞춰 노인들을 위한 어플을 제작한다.

◇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지능력이 부족해진 노년층을 위해 스마트폰의 UI를 간결하고 보기 편하게 만든다.

◇ 스마트폰의 사용이 익숙치 않아, 노인들이 광고나 잘못된 터치로 설치한 필요하지 않은 어플들을 자동으로 삭제한다.

◇ 대한민국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소외된 독거노인들을 위하여, AI 말동무 기능을 추가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 최근 대한민국은 낮은 출산율과 인구의 고령화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가 인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령화현상은 점점 더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실버케어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 기능상태,수발실태와 정책솨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노인실태조사의 일환으로 전국 65세 이상 노인 1만 665명의 인지 기능을 검사한 결과 응답자 8851명 가운데 28.5%가 ‘인지 기능 저하 의심’ 판정을 받았다. 통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세가 높아질수록 인지능력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인지 기능이 부족해진 노인들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뒤처지기 마련이다. 그 중, 가장 우리의 삶과 맞닿아 있는 스마트폰 이용에도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다. 한 팀원도 조부모님들을 모시는 중, 어르신들이 스마트폰의 사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계신 것을 경험했다. 따라서 노인분들을 위한 어플의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 젊은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빠르게 때문에 스마트폰의 여러 기능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지 않지만, 신지식을 배우는 것이 느린 노인들은 여러기능들이 나열되어있는 스마트폰의 배경화면조차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인계층에서 많이 사용하는 어플들이나 기능들을 파악해 간단한 UI에 넣는다면 노인들이 더 쉽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 팀원의 경험에 의하면, 노인분들은 수전증등과 같은 질병을 앓고 있거나, 몸을 거동하시기 불편하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유튜브 광고나 뉴스 광고 팝업을 잘못 터치해 쓰지않는 앱을 깔거나 광고사이트에서 벗어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프로세스들을 완전히 종료하지 않고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해, 프로세스들이 겹겹이 쌓여 스마트폰이 느려지기도 한다. 따라서 광고를 잘못 터치해 광고사이트에 진입하게 되었을 때, 사이트탈출을 도와줄 수 있는 기능과, 필요없는 어플들을 삭제하고 쓰고 있지 않은 프로세스를 종료시켜주는 기능을 포함한 어플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 대한민국이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접어 들면서, 홀로 살아가는 노인가구의 수도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챗GPT를 활용해 독거노인들에게 말동무가 되어줄 수 있는 기능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를 활용한다면, 고독사와 같은 사회문제도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