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ing조

cdc wiki
Thinking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15일 (토) 07:07 판 (개발 과제 요약)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3D 객체 추적과 무마커 추적 기능을 활용한 교내 건물 인식 및 정보 제공 증강 현실

영문 : Augmented Reality of Building Recogni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using 3D Object Tracking and Non-marker Tracking

과제 팀명

thinking

지도교수

김민호 교수님

개발기간

2019년 3월 ~ 2019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4XXX0** 김**(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과 2014XXX0** 배**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01.PNG 3D 객체 인식을 통한 건물에 대한 정보 제공(예상도 1) 무마커 기반 추적 기능을 이용한 네비게이션(예상도 2)


OpenCV를 통한 건물 인식(예상도 3) SLAM기술을 활용한 건물 내부 지도화(예상도 4)


◇ 포터블(Portable) 디바이스 운영체제(OS)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는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특별한 매개체가 아닌 개인이 갖고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토대로 마커 기반 추적을 이용하여 이미지 인식 기능을 구현하여 우리 학교 만의 건물을 카메라로 비추면 어느 건물인지 인식하며, 디바이스 기기 속 화면에 나타난 건물에서 각층에 어느 부서가 있는지 등 건물마다 특징을 살려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무마커 추적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검색하면 거리와 길의 방향을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또한 제작하여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 방법은 Vuforia라는 AR 플랫폼과 통합개발환경 Unity를 이용하여 우리 학교(서울시립대학교)내에서 증강 현실을 개발한다.
◇ OpenCV를 이용하여 건물 외부면의 특징점을 구분하여 해당 건물이 어떤 건물인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접목하여 해당 건물에 대한 부서에 대해 층 및 위치에 대해 아래 표에서의 예상도 1처럼 나타내도록 한다. 
◇ SLAM기술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들어갔을 때 건물 내부의 정보를 화면에 띄워 복도에서 서있어도 어디에 어떤 것이 위치하고 있는지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