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농

cdc wiki
다농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21일 (월) 06:05 판 (구성원 및 추진체계)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농수축산물 직거래 웹 플랫폼

영문 : Direct trading web platform for agricultural products

과제 팀명

다농

지도교수

이동희 교수님

개발기간

2020년 9월 ~ 2020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2920038 오광석(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2920030 송경원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2920058 최대은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2920046 이창용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온라인 사이트를 활용해 농축수산물 직거래 기능을 구현한다. 
◇ 불투명했던 산지정보를 소비자에게 알려주어 산지 신뢰성을 보장한다. 
◇ 산지정보를 제공하기위해 흙토람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API로 활용한다. 
◇ 복잡한 유통과정을 최소화시켜서 유통시간과 비용을 줄인다. 
◇ 소비자에게 농산물의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 위치정보를 이용한 농산물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 재배환경에 따른 상품정보 필터링 기능을 구현한다. 
◇ 거래 및 결제기능을 개발한다. 
◇ 웹 사이트로 구현하여 모바일에서도, pc에서도 접근할 수 있게 한다. 
◇ 회원가입은 카카오톡 등과 연계하여 회원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 
◇ 농가 데이터베이스를 정보화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배경]

기존의 농수산물 거래환경은 복잡한 유통구조로 인해 가격이 비싸고, 불투명한 산지정보로 신뢰성이 부족하다.

[효과]

◇ 중간 유통비용 절감

◇ 산지 신뢰성 보장

◇ 공공데이터를 통한 자세하고 투명한 서비스 제공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번거로운 회원가입절차의 간소화를 위해 카톡연계 가입기능을 구현한다. GPS동의, 본인인증, 산지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 위치기반서비스(핵심목표1) : 산지 직접 선택하여 상품정보/상세필터, 지도화면, 품목분류 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 농가 DB 정보화(핵심목표2) : 산지/상품정보 외부 api 사용한다.

◇ 결제모듈을 구현한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이미 다양한 분야의 거래플랫폼이 존재하므로 필요기술 자체는 고급 기술은 아님.

◇ 다만, 현재 농산물 직거래에 관한 경쟁력 있는 다른 제품이 없다고 판단.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특허조사]

◇ 특허정보사이트 이용 http://www.kipris.or.kr/khome/main.jsp

◇ 유사한 등록특허 여러 개 발견

◇ 레시피 콘텐츠 기반 농산물 직거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0-1816878), 농작물 직거래 방법(10-1753995) 등 다수.


[특허전략]

◇ 특허 등록공고문에 위치/지도 api, 산지정보 api 등을 활용한다는 문구 검색 불가

◇ API활용을 근거로 특허등록문제 해결


  • 기술 로드맵

◇ 네이버 맵 개발자API / 농촌진흥청 '흙토람' 정보시스템 API 이용

◇ 서버운영, 프레임워크 적용 (Python, Django)

◇ 웹페이지 프로그래밍 (Javascript)

◇ 배포 (AWS)

◇ Github 사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 농수야 https://www.nongsooya.com/ - 산지 불명확 - 농가 정보 없음 (상품상세정보 미제공) - 지도기반 서비스 없음

◇ 오아시스 https://www.oasis.co.kr/product/list?categoryId=1 - 산지 불명확 - 농가 정보 부족 (상품상세정보 탭 있으나 데이터 입력X) - 지도기반 서비스 없음

◇ 바로정보 https://www.baroinfo.com/front/M000000000/index.do#homePage - 산지 정보 자세히 제공 - 농가 정보 제공 - 지도기반 서비스 제공 - 산지/농사/상품목록/지도기반 서비스 모두 있으나 온라인 거래 기능 없음


  • 마케팅 전략 제시

◇ 타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경쟁력을 홍보한다.

◇ vs 농수야, 오아시스 - 판매자(농가) 회원가입시 농가/산지정보 입력을 통한 농가 신뢰성 향상 (+농가평점기능) - 농촌진흥청 api (토양적성도, 지하수등급) DB제공을 통한 산지 신뢰성 향상 - 지도기반서비스를 통한 구매자 편의 제공

◇ vs 바로정보 - 온라인 거래 기능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 지도와 판매 기능을 결합한 공간정보의 활용. 
◇ sns를 활용한 로그인 기능으로 접근성 향상. 
◇ 결제 모듈 구현으로, 직접 서비스 가능. 
◇ 농가 DB 정보화로 빅 데이터로도 활용 가능. 
◇ 외부 사이트에서 API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크롤링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Naver map API를 활용해 지도정보를 불러들어와 검색 가능하다. 
◇ 로그인 및 회원가입 시 에러체크 기능으로 보안성 및 편의성이 강화되었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중간 유통비용 절감

◇ 산지 신뢰성 보장

◇ 공공데이터를 통한 자세하고 투명한 서비스 제공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 송경원: Server, DB, 설계

◇ 오광석: 보고서작성 및 정리, Front End, 설계

◇ 이창용: 프로젝트 제안, 프로토타입

◇ 최대은: Web Page Design, Front end, 설계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 R1: 실제 결제까지 가능해야 한다. 
◇ R2: SNS 로그인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R3: 농가의 토지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R4: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