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량제

cdc wiki
종량제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9일 (토) 03:50 판 (개발 과제의 배경 및 효과)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생활 폐기물 배출 정보 제공 어플

영문 : Recycling

과제 팀명

종량제

지도교수

안상현 교수님

개발기간

2021년 3월 ~ 2021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49200** 신*동(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69200** 정*찬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89200** 박*현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89200** 방*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일상생활 중 배출되는 생활 폐기물의 배출 방법을 안내하는 앱

  • 생활 폐기물 사진 분석 후 배출 방법 제안
- 카메라를 통해 물체를 인식시킴으로써 분리배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간편한 기능을 제공
  • 커뮤니티 기능 (질문 게시판)
- 해당 어플 기능만으로 제공되지 않는 정보에 대해 사용자들 간에 질문을 할 수 있다.
  • 사진 분석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않는 폐기물을 챗봇 기능을 통해 배출 방법 제안
- 사진 분석 기능만으로 모든 분리배출 품목의 분류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러한 배출 품목에 한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의 도움을 받아 최종적으로 배출 방법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챗봇 기능을 제공

개발 과제의 배경 및 효과

  • 정확한 분리수거의 중요성
국내에서 버려지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속 50% 이상의 폐기물이 재활용품으로 분리 배출 할 수 있는 자원이다. (재활용품 분리배출 가이드라인 _ 2018 ) 재활용품으로 선별되지 않은 물건은 일반쓰레기로 배출되기 때문에 재활용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 분리배출의 어려움
재활용품과 일반쓰레기의 경계가 모호한 물건들이 많다. 이러한 물건들의 분리수거 가능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물건마다 분리수거 규정을 자세히 찾아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 코로나 19 사태 영향으로 생활 폐기물의 사용량이 급증하였다. 일반 가정에서 환경 보호를 위해 재활용에 동참하는 분위기는 형성되고 있지만, 실제로 재활용 비율은 절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분리배출 이후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위와 같은 상황에 맞춰, 1인 가구를 포함한 일반 가정에서 개인이 핸드폰을 이용하여 재활용품의 분리배출 방법을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어플의 개발을 진행한다. 각 가정에서 재활용 비율을 증가시키고 이는 최종적으로 국민 전체 재활용 비율의 상승으로 이어져 이를 통해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와 환경적 효과를 얻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