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째 달걀초밥

cdc wiki
Com231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6월 26일 (월) 05:52 판 (개발 과제의 배경)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중동 기반 피부 타입과 K-뷰티 스킨케어 매칭 서비스

영문 : K-Skin Type Matching Service for UAE Market

과제 팀명

15년째 달걀초밥

지도교수

황*수 교수님

개발기간

2023년 3월 ~ 2023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59200** 조*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79200** 이*재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89200** 이*민

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20189200** 최*휘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내용

◇ 중동 시장을 타깃으로 한 K-스킨케어 매칭 서비스
◇ 바우만 테스트를 활용해 16가지로 분류된 피부 타입 정보 제공
◇ 본인의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 매칭 서비스와 맞지 않는 화장품에 대한 인지 서비스
◇ CF(Collaborative Filtering) 원리를 이용한 사용자 친화적 화장품 추천 서비스
◇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을 이용한 화장품 매칭 서비스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 낮은 피부 타입 인지 수준

커머스 플랫폼 Shopify의 22년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의 뷰티 산업계에서 $100 B가 소비되고 있으며, 유럽 사람들의 화장품에 대한 23년 예상 소비액은 $24.5 B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화장품 산업이 증가하고 있음을 뒷받침한다. 반면 뷰티 마켓 기업인 Professional Beauty는 22년 기준, 63%의 미국 여성들이 본인들의 피부 타입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고 이로 인해 부적절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손상을 가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본인의 피부 타입에 대한 인지 수준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뷰티 시장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보인다.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MBTI와 같이 16가지 피부 타입 분류 정보를 제공하는 바우만 테스트를 이용하기로 계획했다. 바우만 테스트를 이용했을 때의 효과는 MBTI로 얻어진 효과로 예상할 수 있다. CMG(COLOSSUS MEDIA GROUP) 에이전시는 쉽고 분류된 정보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며 본인의 타입과 강점, 장점들에 대한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 MBTI의 긍정적 효과라고 밝혔다. 본 개발 과제 역시 바우만 테스트의 결과를 활용해 피부 타입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피부 타입에 대한 인지 수준의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 성분 기반 화장품 매칭 서비스의 진입장벽 및 중동을 타겟팅한 서비스의 부재 한국의 유명한 화장품 플랫폼 서비스로는 ‘화해’가 있다. 하지만, 화해에서는 본인의 피부 타입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인지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본인의 피부 타입이 어떠한지, 어떠한 성분이 필요할지를 고객이 알고 접근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17년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60%가 본인의 피부가 민감성이라 평가했다고 밝혔다. 즉 본인의 피부 타입에 대해 막연히 민감성 타입이라고 판단하고 화해와 같은 앱에서 민감성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구매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본 개발 과제는 중동 시장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중동 시장에 대한 화장품 플랫폼 서비스의 존재 유무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확인 결과 중동 시장에서는 성분을 기반으로 검색 가능한 화장품 플랫폼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았고 화장품에 대한 검색 결과로만 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개발 과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기존 화해와 같은 필요 성분 인지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어줄 뿐 아니라 중동에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피부 타입 기반 검색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더 쉽고 맞춤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 기존에 사용 중인 화장품에 대한 낮은 수준의 성분 인지 정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화장품에 대한 성분 정보는 보통 화장품의 포장 포장지에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화장품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화장품 용기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장품에 대한 성분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소유하고 있는 화장품을 검색해야 한다. 하지만 이를 통해 얻은 성분 정보가 본인의 피부 타입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개발 과제는 위와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OCR 기술을 이용해 화장품에 대한 성분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바우만 테스트를 통한 피부 타입의 분류 정보를 이용해 소비자가 소유하고 있는 화장품의 성분이 본인의 피부 타입에 맞는지 혹은 맞지 않는지를 사진 첨부만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