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촉매만들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발 과제의 배경) |
(→개발 과제의 배경)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개발 과제의 배경==== | ====개발 과제의 배경==== | ||
− |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의 고갈 과 국제 유가 상승, 기존 에너지의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한 신재생 에너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18년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17년도의 총 발전전력량은 576,412GWh 이며 신 재생에너지는 24,145GWh이다. 뿐만 아니라 17년도의 총 발전설비 량은 120,848MW이며 이 중 대체 에너지 생산능력이 9,187MW에 불과하기 때문에 생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에너지 통계(2018)에 따르면 2017년 신 · 재생에너지 공급량은 16,448천toe로 2016년 14,178천toe 대비 16.01%가 증가하였고, 그 중 태양광 에너지는 폐기물, 바이오 산업 다음으로 많은 비중 (약 9.2%)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존 기술에서 많이 쓰이는 리튬이온배터리(LIB)는 출력용량이 높지만 폭발 위험이 있어 안전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는 PEC cell을 만들어 보았다. | + |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의 고갈 과 국제 유가 상승, 기존 에너지의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한 신재생 에너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18년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17년도의 총 발전전력량은 576,412GWh 이며 신 재생에너지는 24,145GWh이다. 뿐만 아니라 17년도의 총 발전설비 량은 120,848MW이며 이 중 대체 에너지 생산능력이 9,187MW에 불과하기 때문에 생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 | 국제에너지기구(IEA) 에너지 통계(2018)에 따르면 2017년 신 · 재생에너지 공급량은 16,448천toe로 2016년 14,178천toe 대비 16.01%가 증가하였고, 그 중 태양광 에너지는 폐기물, 바이오 산업 다음으로 많은 비중 (약 9.2%)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존 기술에서 많이 쓰이는 리튬이온배터리(LIB)는 출력용량이 높지만 폭발 위험이 있어 안전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는 PEC cell을 만들어 보았다. |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2019년 6월 17일 (월) 21:10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CuS/TiO2 복합광촉매 PEC cell을 이용한 VRB 제조 및 적용
영문 : Harvesting solar energy through PEC cell system including TiO2/CuS photocatalyst with VRB
과제 팀명
광촉매만들조
지도교수
김정현 교수님 문홍철 교수님
개발기간
2019년 3월 ~ 2019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부·과 20153400** 강**(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부·과 20153400** 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과 20158900** 박**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용 촉매인 TiO2와 비교하여 선행 연구에서 개발한 CuS/TiO2 복합촉매를 all-Vanadium redox reaction system을 적용한 PEC cell에서의 활성을 관찰하였다. Photocatalyst 속 CuS의 wt%(0.5, 1, 5, 15)를 다르게 하여 Iviumstat로 생성된 전류를 측정하고, UV-vis를 통해 흡수한 태양광을 분석하였다. UV-vis를 통해 합성한 복합광촉매들은 모두 P25보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흡수를 보여줌을 확인하였고, CuS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그 흡수량 또한 많았다. 그중 가장 높은 전류를 생성한 1wt% sample은 에 비해 약 200%의 활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CuS함량에 비례하여 활성이 늘어나지는 않았는데, 이는 CuS가 표면에 더 많이 분포하면서 active center가 줄어들고, CuS 자체의 recombination도 늘어나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개발 과제의 배경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의 고갈 과 국제 유가 상승, 기존 에너지의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한 신재생 에너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18년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17년도의 총 발전전력량은 576,412GWh 이며 신 재생에너지는 24,145GWh이다. 뿐만 아니라 17년도의 총 발전설비 량은 120,848MW이며 이 중 대체 에너지 생산능력이 9,187MW에 불과하기 때문에 생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에너지 통계(2018)에 따르면 2017년 신 · 재생에너지 공급량은 16,448천toe로 2016년 14,178천toe 대비 16.01%가 증가하였고, 그 중 태양광 에너지는 폐기물, 바이오 산업 다음으로 많은 비중 (약 9.2%)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존 기술에서 많이 쓰이는 리튬이온배터리(LIB)는 출력용량이 높지만 폭발 위험이 있어 안전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는 PEC cell을 만들어 보았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