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고분자1조(202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서론) |
잔글 (→기술적 기대효과) |
||
88번째 줄: | 88번째 줄: | ||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 ||
====기술적 기대효과==== | ====기술적 기대효과==== | ||
− | + | ||
+ | ◇ 액체 전해질을 기반으로 제작된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전해액 누수의 위험이 있지만, 이온젤을 기반으로 한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전해질이 새지 않으며 rubbery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플렉서블 전극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소자는 센서, 슈퍼커패시터, 스마트 윈도우 등에 활용되고 있다. | ||
+ | |||
+ | ◇ 전기변색 소자 분야에서는, 사이클링 테스트 시, 안정적인 전기변색 특성을 유지하고 열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해당 연구개발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전기변색 소자는 교류전압을 공급받으므로 기존의 DC 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변색 소자에 비해 부하가 적게 걸려 내구성이 증진될 것이다. | ||
+ | |||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
내용 | 내용 |
2021년 12월 15일 (수) 22:30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00000000..
영문 : 00000000..
과제 팀명
기능성고분자1조(2021)
지도교수
문홍철 교수님
개발기간
2021년 9월 ~ 2021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3400** 유**(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63400** 한**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73400** 이**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내용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Ultrafast Response in AC-Driven Electrochemiluminescent Cell Using Electrochemically Active DNA/Ru(bpy)32+ Hybrid Film with Mesoscopic Structures [3]
그림 . ECL의 Transient response(위)와 transient current(중간)의 duty ratio 50%, 10kHz 조건의 AC에서의 그래프
- ECL(Electrochemiluminescence)은 산화환원 반응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빛을 방출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산화된 Ru(bpy)32+종과 환원된 Ru(bpy)32+종은 각각의 Cathode와 Anode로부터 생성된다. 생성된 환원종과 산화종이 서로 충돌할 때, 전기적 Excitation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ECL은 주로 DC를 사용해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 이때 DC대신 AC를 사용하게 되면, 안정성, 방출 응답, 그리고 ECL의 빛의 세기 모두 DC보다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진다. DC를 사용하였을 때는 확산과 같은 전하의 이동 때문에 셀의 두께와 같은 변수에 의존적이게 된다. 따라서 짧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말할 수 없다. 반면 AC 시스템에서는 같은 전극에서 생성이 되기 때문에 산화 환원 반응에서의 확산에서 긴 시간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 결론적으로 AC 시스템에서는 ECL의 Intensity가 세지고, 응답속도가 더 빨라지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 The influences of operating voltage and cell gap on the performance of a solution-phase electrochromic device containing HV and TMPD [4]
그림 . darkening voltage와 cycle number에 따른 darkening coloration efficiency
- 변색 물질로 HV(heptyl viologen)와 TMPD(N,N,N’,N’-tetramethyl-1,4-phenylenediamine)를 사용하여 가동 전압과 cell gap을 달리했을 때 일어나는 변색 효과를 분석했다.
- darkening voltage가 1.0V보다 커진다면 HV0가 형성되고 이는 ECD 투과도의 비가역적인 감소를 일으킨다.
- cell gap이 0.28mm보다 커진다면 TMPD∙+가 완전하게 환원되지 않아 용액의 residual color에 기여 한다, 또한 이것은 용액에서의 IR drop을 증가시키고 전기변색 반응을 저해한다.
◇ Highly stable ion gel-based electrochromic devices: Effects of molecular structure and concentration of electrochromic chromophores [5]
그림 . 다양한 전압과 농도에 따른 DHV를 포함한 전기변색 소자
- 변색 물질로 DHV와 MHV를 사용하여 ECD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전압 및 농도를 다르게 하여 변색 소자의 변색 효과를 관찰하였다. MHV는 –1.3 V에서 자주색을 띠며, DHV는 +0.8 V에서 파란색을 띠는 특성을 보였다. DHV를 사용한 ECD소자보다 MHV를 사용한 ECD 소자가 투과율 대비 변색 효율성, 작동의 안정성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DHV는 전압 혹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dimer를 형성해 소자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또한 각각의 두 가지 변색 물질을 사용한 변색 소자 모두 self bleaching이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 액체 전해질을 기반으로 제작된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전해액 누수의 위험이 있지만, 이온젤을 기반으로 한 전기변색 소자의 경우 전해질이 새지 않으며 rubbery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플렉서블 전극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소자는 센서, 슈퍼커패시터, 스마트 윈도우 등에 활용되고 있다.
◇ 전기변색 소자 분야에서는, 사이클링 테스트 시, 안정적인 전기변색 특성을 유지하고 열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해당 연구개발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전기변색 소자는 교류전압을 공급받으므로 기존의 DC 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변색 소자에 비해 부하가 적게 걸려 내구성이 증진될 것이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 이온전도도: ElectroChromic Device(ECD)와 같은 전기화학 소자로서 응용 가능한 충분한 이온전도도 보유.
- 변색 성능: Electrochromic 물질을 사용하였을 때 기존 논문들과 비슷하거나 빠른 변색 및 탈색 속도가 일어날 수 있어야 함.
- 안정성: 전기화학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때 장시간 동안 안정한 구동을 하여야 함.
설계 사양
1. 고분자 젤 전해질
- Polymer: PS-r-PMMA
- Ionic Liquid: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TFSI])
- Polymer : Ionic Liquid = 1:9
-이온전도도: ∼ 0.98 mS/cm
-기계적강도 : ∼72 kPa
2.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 구동전압: 0.0V~ 1.3V ( DC 기준 )
- 작동온도: 25 °C
- 변색 면적: 직사각형 ( 1cm×1.5cm)
- 두께: 88μm
- 색상변화: 투명한 연한 노랑 → 진한 자주색
개념설계안
- 실험 진행
-젤 전해질에 변색 물질을 첨가하여 ECD를 제작한다. - DC를 적용했을 때 전기변색소자의 coloration time과 bleaching time을 구한다. -안정하면서도 DC를 적용했을 때보다 더 빠른 coloration time을 갖는 AC 조건을 찾는다. 이때, 여러 변수들이 존재하므로 고정시킬 수 있는 변수를 먼저 계산한다. RC-Time을 계산해서 적절한 frequency를 찾아 고정한 후 Vpp 혹은 Duty Ratio를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한다.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1. 이온전도도(σ) 계산 PS-r-PMMA와 [EMI][TFSI]를 이용해 만든 고분자 젤 전해질의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EIS) 데이터를 측정하여 Bode plot을 얻은 후 고주파수 영역에서의 resistance 값을 이용해 이온전도도를 계산한다. ( 고주파수 영역에서는 주파수에 무관한 resistance 값에 의해 평평한 그래프 개형을 가진다.)
σ= (l/(R*A)
(l: 두께, A:는 전해질 층의 면적, R: bulk resistance)
2. response time 계산 ΔT 최댓값의 90%를 달성하는 시간 간격으로 정의. 이를 통해 ECD의 coloration과 bleaching시간을 구할 수 있다.
3. RC-Time 계산 polarization rate 혹은 Electric Double Layer(EDL)이 형성되는 시간으로 이는 전해질/전극물 인터페이스를 따라 안정적인 EDL을 구축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EDL이 필요한 전기화학 디바이스의 경우 operating frequency는 잠재적으로 값에 의해 제한된다.
(s) = lC’/σ
(C’: specific capacitance (F/), σ: ionic conductivity(mS/cm) , l: thickness(cm))
상세설계 내용
◇ Experiments
- Purposes
기존 DC로 구동되던 전기변색 소자의 반응 속도를 AC를 적용해 향상시킴으로써, 안정하면서도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만든다.
- Experiment design
기존에 ECD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resopnse time을 구한다. 그 후 AC를 이용해 RC-Time과 관련된 frequency는 고정시킨 채, Vpp와 Duty Ratio를 바꿔가면서 더 향상된 Kinetics를 갖는 조건을 찾는다.
- Materials
-단량체: styrene, methyl methacrylate
-이온성액체: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TFSI])
-EC materials
Monoheptyl-viologen(MHV)
1,1′-Dimethylferrocene (dmFc)
-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적용
고분자 이온젤과 EC물질로 Monoheptyl-viologen과 dmFc를 이용해 전기변색 소자를 만든 뒤 전압 전송 방식에 따른 response time을 비교할 수 있다.
-CV를 통한 구동전압 & DC를 적용했을 때 response time 구하기
CV를 통해 DC로 -1.3V의 구동전압을 가해줘야 함을 파악한 후 response time을 계산해보았음.
DC -1.3V에서 coloration time:17.57s 이며 bleaching time:137.87s 가 나옴을 확인 할 수 있음.
이후 실험에서 이 변색 속도보다 빠른 구동을 할 수 있는 AC 조건을 찾을 것임.
-RC-Time 구하기
앞서 언급한 RC-Time을 구하는 식에 실험을 통해 구한 resistance와 thickness를 대입하여 EDL이 형성되는 RC-Time에 해당하는 Frequency가 100kHz임을 계산함.
이는 기존 논문들에 실린 reference를 통해 계산한 값과 비슷한 것으로 보아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라고 생각하여 AC의 여러 변수 중
Frequency를 100kHz로 고정해놓고 VppD와 Duty Ratio를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함.
-AC의 여러 변수들에 따른 ECD의 response time 구하기
AC로 30% duty ratio & 4.2Vpp & 100kHz의 조건에서 ECD를 구동시켰을 때
coloration time:24.34s 이며 bleaching time:65.59s 가 나옴을 확인 할 수 있음.
하지만 DC -1.3V로 걸었을 때보다 coloration time이 느린걸 확인할 수 있어 40% duty ratio & 3.3Vpp & 100kHz에서 다시 실험 진행.
AC로 AC 40% duty ratio & 3.3Vpp & 100kHz의 조건에서 ECD를 구동시켰을 때
coloration time:17.65s 이며 bleaching time:75.06s 가 나옴을 확인 할 수 있음.
이때 DC -1.3V로 걸었을 때와 coloration time이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더 높지만 안정한 Vpp를 찾아 다시 실험 진행.
40% duty ratio & 100kHz & 4.5Vpp의 조건에서는 degradation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40% duty ratio & 100kHz & 4.0Vpp에서 실험을 다시 진행해보았음.
AC로 AC 40% duty ratio & 4.0Vpp & 100kHz의 조건에서 ECD를 구동시켰을 때
coloration time:11.90s 이며 bleaching time:91.89s 가 나옴을 확인 할 수 있음.
이때 DC -1.3V로 걸었을 때보다 coloration time이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따라서 이 조건에서 ECD를 구동시키면 DC를 걸어줬을 때보다 더 향상된 resopnse time을 얻을 수 있음.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PS-r-PMMA 기반 이온젤을 전기 변색소자로 적용한 사진이다.
포스터
완료작품의 평가
1. MHV 합성 및 CV를 이용해 산화, 환원 peak을 확인했으며 DC에서의 구동전압이 1.3V 임을 확인함.
2. -1.3V에서의 response time과 AC에서 Frequency를 100kHz로 고정한 후 Vpp와 Duty Ratio를 조정해가며 DC를 적용했을 때보다 더 빠른 response time을 가진 조건을 찾을 수 있었음.
3. Function generator는 수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cycle을 찍어 안정성을 확인할 수 없어 voltage를 가해준 채로 degradation이 일어나지 않음을 관찰함으로써 안정성을 확인함.
향후계획
-ECD에서 중요한 개념인 Coloration Efficiency(CE)를 계산함으로써 효율이 얼마나 좋은지 기존에 ECD를 사용한 논문들의 Reference들과 비교해볼 예정임.
-물질에 의해 성능이 향상된 ECD에도 적용해봄으로써 작동전압의 전송 방식을 바꾸면 향상된 성능이 더 좋은 Kinetics를 갖는지 확인해볼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