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대학생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IVIL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도교수)
(포스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개요==
 
=== 기술개발 과제 ===
 
=== 기술개발 과제 ===
''' 국문 : ''' 00000000..
+
''' 국문 : '''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검토와 설치 in 서울시립대학교
  
''' 영문 : ''' 00000000..
+
''' 영문 : ''' Review and Installatio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in University of Seoul
  
 
===과제 팀명===
 
===과제 팀명===
00000..
+
녹색대학생
  
 
===지도교수===
 
===지도교수===
14번째 줄: 14번째 줄:
  
 
===개발기간===
 
===개발기간===
2019년 3월 ~ 2019년 6월 (총 4개월)
+
2019년 09월 ~ 2019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김**(팀장)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김**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정**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정**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이**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팀장)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남**
 
  
 
==서론==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 요약====
내용
+
◇초기우수처리시설+스마트시스템
 +
◇기존의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시설에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스마트기술을 접목시켜 유지관리비의 절감과 스마트시티가 되었을 때를 도모해본다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의 필요성을 꺠닫고 교내 적용 가능성에 검토해본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
◇ 대학교 내부 처리대상구역면적을 통해서 초기우수 처리시설의 용량 결정
 +
◇ 대학교 내부 우수관로에 따른 적절한 위치 선정
 +
◇ 초기우수 처리시설에 스마트기술인 원격제어 기술을 적용시켜 유지관리의 편리성확보와 비용절감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 초기우수처리시설은 전처리조,여과조,세척수조로 구성되어진다.
 +
◇ 전처리조에서는 와류현상을 이용한 원통형 스크린등이 존재하고 있다.
 +
◇ 여과조에서는 특수한 소재로 구성된 여재가 사업특성에 맞게 이용되어진다.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 비점오염의 심각성이 대두된 지 얼마 되지않아 아직 많은 신기술들이나 특허가 도입되지 않았다.
 +
◇ 현재 스마트시스템의 적용이 설계에 그치고 있고 완전하게 적용되어진 초기우수처리시설이 거의 없으므로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기술 로드맵
 
*기술 로드맵
내용
+
[[파일:noname01.jpg]]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경쟁제품 조사 비교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 무동력 초기우수처리시설
 +
◇ 동력 초기우수처리시설
 
*마케팅 전략 제시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
◇  연구결과 비점오염이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약 40퍼센트 이상이다.
 +
◇  환경을 위해서 꼭 필요한 시설이므로 사회적으로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
◇ 스마트시스템을 이용해서 역세척과 점검이 원격으로 가능해진다.
 +
◇ 자동으로 기록되어있는 통계치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
◇ 다른 비점오염저감시설보다 훨씬 적은 소요부지를 요한다.
 +
◇ 지하에 매설되어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할 수 있다.
 +
◇ 비점오염을 줄일 수 있다.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개발 일정====
내용
+
2019.09~2019.12
 
====구성원 및 추진체계====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
노주호, 김동환, 김지후, 정재훈
  
 
==설계==
 
==설계==
 
===설계사양===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
◇ 와류현상을 이용한 원통형 스크린
 +
 
 +
◇ 초기우수처리시설 내부바닥에 벽을 높여 물의 흐름 안정화
 +
 
 +
◇ 기존에 건물관리유지에 적용되었던 스마트 판넬시스템을 초기우수처리시설에 적용
 +
 
 +
◇ 부직포를 원통형 스크린 뚜껑밑에 달아 물위에 뜨는 기름종류의 물질을 흡착한다.
 
====설계 사양====
 
====설계 사양====
내용
+
◇ 초기우수 처리시설의 용량 결정과정
 +
◇ 대학교 내부 우수관로에 따른 위치선정
 +
◇ 이론적 계산: 처리시설 용량결정
  
 
===개념설계안===
 
===개념설계안===
내용
+
[[파일:noname02.jpg]]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
◇ 이론적 계산:
 +
[[파일:noname03.jpg]]
 +
[[파일:noname04.jpg]]
 +
[[파일:noname05.jpg]]
 +
[[파일:noname06.jpg]]
 +
 
 +
◇ 시뮬레이션: 학교 내 적절한 위치를 선정
 +
1) 캐드를 이용한 처리시설의 대략적인 단면도
 +
[[파일:noname07.jpg]]
 +
 
 +
2) 캐드를 이용해서 위에서 본 평면도
 +
[[파일:noname08.jpg]]
 +
 
 +
3) 캐드를 이용해서 옆에서 본 평면도
 +
[[파일:noname09.jpg]]
 +
 
 +
4) 캐드를 이용해서 체육관 뒤쪽부분의 우수가 학교에서 마지막으로 나가는 위치에 설치한 초기우수처리시설
 +
[[파일:noname10.jpg]]
 +
 
 +
 
 +
 
 +
◇ 캐드자료의 출처: 학교 시설과 요청
 +
[[파일:noname11.jpg]]
 +
 
  
 
===상세설계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
[[파일:noname12.jpg]]
 +
[[파일:noname13.jpg]]
 +
[[파일:noname14.jpg]]
 +
[[파일:noname15.jpg]]
  
 
==결과 및 평가==
 
==결과 및 평가==
84번째 줄: 128번째 줄:
 
내용
 
내용
 
====포스터====
 
====포스터====
내용
+
[[파일:3조 녹색 포스터.pdf]]
  
 
===관련사업비 내역서===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
 
  
 
===완료작품의 평가===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
현실적 한계때문에 모형 제작으로 마쳤지만, 아이디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향후계획===
 
===향후계획===
내용
+
◇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약 40%이상을 차지하는 비점오염을 줄일 수 있다.
 
+
◇ 원통형 스크린을 이용하여 전처리조에서의 침전이 훨씬 효율적으로 작용된다.
===특허 출원 내용===
+
◇ 부직포를 이용해서 기름물질의 1차적 제거가 가능해진다.
내용
+
위 내용이 가능하도록 학교 시설 설치로서 가능한지 검토한다.

2019년 12월 23일 (월) 17:53 기준 최신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검토와 설치 in 서울시립대학교

영문 : Review and Installatio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in University of Seoul

과제 팀명

녹색대학생

지도교수

문영일 교수님

개발기간

2019년 09월 ~ 2019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김**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정**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김**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68600** 노**(팀장)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초기우수처리시설+스마트시스템 ◇기존의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시설에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스마트기술을 접목시켜 유지관리비의 절감과 스마트시티가 되었을 때를 도모해본다

개발 과제의 배경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의 필요성을 꺠닫고 교내 적용 가능성에 검토해본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대학교 내부 처리대상구역면적을 통해서 초기우수 처리시설의 용량 결정 ◇ 대학교 내부 우수관로에 따른 적절한 위치 선정 ◇ 초기우수 처리시설에 스마트기술인 원격제어 기술을 적용시켜 유지관리의 편리성확보와 비용절감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초기우수처리시설은 전처리조,여과조,세척수조로 구성되어진다.
◇ 전처리조에서는 와류현상을 이용한 원통형 스크린등이 존재하고 있다.
◇ 여과조에서는 특수한 소재로 구성된 여재가 사업특성에 맞게 이용되어진다.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 비점오염의 심각성이 대두된 지 얼마 되지않아 아직 많은 신기술들이나 특허가 도입되지 않았다. 
◇ 현재 스마트시스템의 적용이 설계에 그치고 있고 완전하게 적용되어진 초기우수처리시설이 거의 없으므로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기술 로드맵

Noname01.jpg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 무동력 초기우수처리시설
◇ 동력 초기우수처리시설
  • 마케팅 전략 제시
◇  연구결과 비점오염이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약 40퍼센트 이상이다.
◇  환경을 위해서 꼭 필요한 시설이므로 사회적으로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 스마트시스템을 이용해서 역세척과 점검이 원격으로 가능해진다. ◇ 자동으로 기록되어있는 통계치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다른 비점오염저감시설보다 훨씬 적은 소요부지를 요한다.

◇ 지하에 매설되어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할 수 있다.
◇ 비점오염을 줄일 수 있다.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2019.09~2019.12

구성원 및 추진체계

노주호, 김동환, 김지후, 정재훈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 와류현상을 이용한 원통형 스크린

◇ 초기우수처리시설 내부바닥에 벽을 높여 물의 흐름 안정화

◇ 기존에 건물관리유지에 적용되었던 스마트 판넬시스템을 초기우수처리시설에 적용

◇ 부직포를 원통형 스크린 뚜껑밑에 달아 물위에 뜨는 기름종류의 물질을 흡착한다.

설계 사양

◇ 초기우수 처리시설의 용량 결정과정 ◇ 대학교 내부 우수관로에 따른 위치선정 ◇ 이론적 계산: 처리시설 용량결정

개념설계안

Noname02.jpg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 이론적 계산: Noname03.jpg Noname04.jpg Noname05.jpg Noname06.jpg

◇ 시뮬레이션: 학교 내 적절한 위치를 선정 1) 캐드를 이용한 처리시설의 대략적인 단면도 Noname07.jpg

2) 캐드를 이용해서 위에서 본 평면도 Noname08.jpg

3) 캐드를 이용해서 옆에서 본 평면도 Noname09.jpg

4) 캐드를 이용해서 체육관 뒤쪽부분의 우수가 학교에서 마지막으로 나가는 위치에 설치한 초기우수처리시설 Noname10.jpg


◇ 캐드자료의 출처: 학교 시설과 요청 Noname11.jpg


상세설계 내용

Noname12.jpg Noname13.jpg Noname14.jpg Noname15.jpg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파일:3조 녹색 포스터.pdf

관련사업비 내역서

완료작품의 평가

현실적 한계때문에 모형 제작으로 마쳤지만, 아이디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향후계획

◇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약 40%이상을 차지하는 비점오염을 줄일 수 있다. ◇ 원통형 스크린을 이용하여 전처리조에서의 침전이 훨씬 효율적으로 작용된다. ◇ 부직포를 이용해서 기름물질의 1차적 제거가 가능해진다. 위 내용이 가능하도록 학교 시설 설치로서 가능한지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