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03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Uoscivil202513 (토론 | 기여) (→개발 과제 요약) |
Uoscivil202513 (토론 | 기여) (→개발 과제의 배경)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개발 과제의 배경==== | ====개발 과제의 배경==== | ||
− | + | ◇ 지난 25일 오전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소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구간 9공구 천용천 교 건설 현장에서 교량 거더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해 4명이 숨지고 5명이 크게 다쳤다. 사고가 발생한 곳은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9공구 중 충남 천안과 경기 안성의 경계쯤 있는 청 룡천교 건설 현장이다. 교각의 높이는 구간별로 다르지만, 최고 52m이며, 상판이 떨어진 구간 거리 는 약 210m로 파악됐다.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조사 중에 있다. | |
+ | 당시 다리 상판 위에서는 작업자 10명이 ‘빔 런처(Launcher)’ 장비로 철제 빔을 거치하는 작업을 하던 중이었다. 세종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상행선 구간은 이미 설치가 돼있었고, 하행선에 상판을 설치하기 위해 런처를 옮기는 작업 중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런처와 작업자들은 함께 바닥으로 추락해 잔해에 매몰됐다. | ||
+ | 위 사고에대해 수치해석 모델과 모형 제작을 통해 사고의 원인을 정밀하게 분석해 보고, 차후 발표될 사고 분석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 ||
+ |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
내용 | 내용 |
2025년 5월 27일 (화) 22:17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교량 붕괴 사고 사례 모형 제작과 수치해석 비교 분석 - 세종포천고속도로 사례를 중심으로
영문 : Comparative Analysis of Case Model of Bridge Collapse and Numerical Analysis – Focusing on the case of Sejong Pocheon Expressway
과제 팀명
03조
지도교수
조수진 교수님
개발기간
2025년 3월 ~ 2025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228600** 박*준(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208600** 김*윤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88600** 김*현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208600** 신*필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208600** 김*수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98600** 문*찬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서론
본 프로젝트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유사 사고 예방 및 구조물 안전성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고 사례 분석, 축소 모형실험, 수치해석을 종합적으로 수행하여 사고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론
첫째, 사고 사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붕괴사고와 관련된 조사 보고서, 언론 보도,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 지점, 붕괴 형태, 시공 단계, 사용 재료, 지반 조건, 기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붕괴의 주요 원인과 발생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축소모형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둘째, 모형실험 및 검증 단계에서는 분석된 사고 요인을 반영하여 축소모형을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구조물의 거동, 붕괴 진행 양상, 주요 취약부를 재현하고 관찰한다. 이를 통해 붕괴 발생 조건 및 시나리오를 검증하고 실험 데이터를 확보한다. 셋째, 수치해석 프로그램 활용 단계에서는 ANSY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축소모형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물의 응력 분포, 변형 양상, 붕괴 시 하중 전달 경로 등을 해석한다. 실험 결과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붕괴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결론
본 프로젝트를 통해 축소모형실험과 ANSYS 수치해석을 연계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서울-세종 고속도로 붕괴사고의 주요 원인과 구조적 문제를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토대로 붕괴 사고 예방을 위한 설계 및 시공 개선안과 관리 대책을 마련하여, 향후 대형 공공 인프라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 지난 25일 오전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산평리 소재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구간 9공구 천용천 교 건설 현장에서 교량 거더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해 4명이 숨지고 5명이 크게 다쳤다. 사고가 발생한 곳은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9공구 중 충남 천안과 경기 안성의 경계쯤 있는 청 룡천교 건설 현장이다. 교각의 높이는 구간별로 다르지만, 최고 52m이며, 상판이 떨어진 구간 거리 는 약 210m로 파악됐다.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조사 중에 있다.
당시 다리 상판 위에서는 작업자 10명이 ‘빔 런처(Launcher)’ 장비로 철제 빔을 거치하는 작업을 하던 중이었다. 세종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상행선 구간은 이미 설치가 돼있었고, 하행선에 상판을 설치하기 위해 런처를 옮기는 작업 중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런처와 작업자들은 함께 바닥으로 추락해 잔해에 매몰됐다. 위 사고에대해 수치해석 모델과 모형 제작을 통해 사고의 원인을 정밀하게 분석해 보고, 차후 발표될 사고 분석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