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k4j"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시스템도) |
(→시스템도)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시스템도==== | ====시스템도==== | ||
[[파일:시스템도.JPG]] | [[파일:시스템도.JPG]] | ||
+ | |||
깊이 100m~150m 정도의 천부지열에 속하는 14°C~17°C의 지하수를 순환시켜 히트펌프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겨울철과 여름철에 활용한다. 기존 히트펌프와 다르게 내부 순환수 없이 도로면과 직접 온도 교환을 하여 효율을 높이고 압축기와 응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지하수의 온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였다. | 깊이 100m~150m 정도의 천부지열에 속하는 14°C~17°C의 지하수를 순환시켜 히트펌프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겨울철과 여름철에 활용한다. 기존 히트펌프와 다르게 내부 순환수 없이 도로면과 직접 온도 교환을 하여 효율을 높이고 압축기와 응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지하수의 온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였다. | ||
2019년 6월 25일 (화) 05:14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00000000..
영문 : 00000000..
과제 팀명
00000..
지도교수
000 교수님
개발기간
2019년 3월 ~ 2019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3860037 전재형(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3860040 정의섭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3860039 정세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3860011 김한별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3860007 김욱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4860038 조성현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의 배경 및 목적
현재 우리나라는 고층 빌딩 및 건축물들의 증가로 도심 내 열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여름철 높아진 도심 내 온도가 순환이 되며 식혀져야 하지만 열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열이 도심 내에서 빠져나가지 못해 열섬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도로의 수요가 급증하였는데, 적절하지 못한 겨울철 결빙 대책으로 사고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클린 로드 시스템, 열선 배치로 인한 융설, 제설제 등 여러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도로 및 자동차 수명 감소, 운영비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여름철 열섬 현상 및 겨울철 결빙 사고 방지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 여름철과 겨울철에 발생하는 가장 큰 두 가지 문제를 도로면의 온도 조절 시스템을 통하여해결 한다.
시스템도
깊이 100m~150m 정도의 천부지열에 속하는 14°C~17°C의 지하수를 순환시켜 히트펌프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겨울철과 여름철에 활용한다. 기존 히트펌프와 다르게 내부 순환수 없이 도로면과 직접 온도 교환을 하여 효율을 높이고 압축기와 응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지하수의 온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전력 소비량을 줄였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