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를살려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IVIL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계/시공방향 선정)
(노선의 선정)
52번째 줄: 52번째 줄:
 
  ◇ 생태흐름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방향의 노선을 선택
 
  ◇ 생태흐름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방향의 노선을 선택
 
  ◇ 경제성을 위해 가장 짧으면서도 최적화된 노선 선정 필요
 
  ◇ 경제성을 위해 가장 짧으면서도 최적화된 노선 선정 필요
 +
[[파일:노선선정최종.jpg]]
  
 
===설계/시공방향 선정===
 
===설계/시공방향 선정===

2020년 12월 1일 (화) 21:51 판

개발과제의 요약

개발기간

2020년 9월 ~ 2020년 12월 (총 4개월)

과제 팀명

생태를살려조

지도교수 및 팀구성원

지도교수님 : 박도원 교수님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5860019 박준형(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7860045 정수현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5860015 박근영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5860020 서도혁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5860037 주형근

서론

개발 과제의 배경 및 연구목적

배경및연구목적.jpg

사업의 필요성

사업필요성.jpg 사업필요성2.jpg

여기다가 이런식으로 작성하면ㄷ ㅚㅁ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사업필요성3.jpg

사업의 타당성

사업타당성.jpg

경쟁력 분석

관련기술의 현황

관련기술현황.jpg 관련기술현황2.jpg

관련기술현황3.jpg

관련시장의 분석

관련시장분석.jpg

관련시장분석3.jpg 관련시장분석2.jpg

개념설계안

노선의 선정

노선선정1.jpg 노선선정2.jpg

◇ 자유로 일대에는 도로에 의해 단절된 생태흐름이 곳곳에 존재함
◇ 생태흐름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방향의 노선을 선택
◇ 경제성을 위해 가장 짧으면서도 최적화된 노선 선정 필요

노선선정최종.jpg

설계/시공방향 선정

설계시공방향결정.jpg 설계시공방향결정2.jpg

◇ 환경부의 생태통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동물의 빈도 확인 
◇ 조사결과 소형종과 양서류가 생태계의 주를 이룸을 알 수 있음
◇ 경제성, 생태계,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생태통로의 형태와 유형을 육교형과 UHPC로 결정함
◇ 터널형을 주로 사용하는 양서류에 대한 개선안이 필요함
◇ 기존 생태통로들이 가진 진동과 소음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는 개선안이 필요함

설계시공방향결정3.jpg 설계시공방향결정4.jpg

◇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생태축 복원과 로드킬 감소로 인한 동물 및 운전자의 피해를 줄이는 것이다
◇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노선을 선정
◇ 가장 적합한 형태와 공법의 선정
◇ 기존 통로들이 가지는 문제점 조사 및 개선방안 제시
◇ 생태통로의 이용가치 향상을 위한 설계

상세설계안

프로젝트 요구사항

프로젝트 요구사항.jpg

예상 공사비용의 산출

예상공사비용산출.jpg

부지비용의 산출

부지비용산출.jpg

생태통로 3D설계도

설계도1.jpg 설계도2.jpg

통로설계도2.jpg 통로설계도3.jpg

개선사항 분석

개선사항.jpg 개선사항2.jpg

단계별 평가기준 및 효과분석

평가분석.jpg 평가분석2.jpg

결과 및 평가

프로토타입 사진

모형사진2.jpg 모형사진.jpg

포스터

생태통로 포스터.jpg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대효과.jpg

기대효과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