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위조절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IVIL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술개발 과제)
(기술적 기대효과)
49번째 줄: 49번째 줄: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
 
 +
- 자동제어시스템의 정상가동 여부를 담당자(시군구 소속의 담당 공무원)에게 전달함으로서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가능
 +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한 하천 수위 정보의 수집과 전달은 물론, 계측 정보의 저장, 가공 및 분석을 통하여 재난발생을 예측하는 빅데이터 기술 체계를 재난관리에 접목한 스마트 하천관 리를 완성
 +
- 수문관리 착오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재난 안전 서비스 제고를 위한 수문관리 성능을 개선
 +
-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강우에 따른 우수관(빗물받이) 수위 및 지표 침수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관계를 도출해 낸다면 예측 강우를 활용하여 침수가 어떻게 발생하게 될지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 지속적인 계측센서 운영을 통해 다년간 많은 자료가 누적되어 딥러닝, 머신러닝과 같은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강우-도시침수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내용

2020년 12월 8일 (화) 18:56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우수관로의 계측센서 활용방안

과제 팀명

수위조절조

지도교수

문영일 교수님

개발기간

2020년 6월 ~ 2020년 12월 (총 6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5860041 최연규(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5860031 정경우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5860035 정우석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5860043 현우철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7860031 임치훈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내용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 자동제어시스템의 정상가동 여부를 담당자(시군구 소속의 담당 공무원)에게 전달함으로서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가능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한 하천 수위 정보의 수집과 전달은 물론, 계측 정보의 저장, 가공 및 분석을 통하여 재난발생을 예측하는 빅데이터 기술 체계를 재난관리에 접목한 스마트 하천관 리를 완성 - 수문관리 착오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재난 안전 서비스 제고를 위한 수문관리 성능을 개선 -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강우에 따른 우수관(빗물받이) 수위 및 지표 침수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관계를 도출해 낸다면 예측 강우를 활용하여 침수가 어떻게 발생하게 될지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지속적인 계측센서 운영을 통해 다년간 많은 자료가 누적되어 딥러닝, 머신러닝과 같은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강우-도시침수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