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div>__TOC__</div>
| |
| | | |
| ==프로젝트 개요== | | ==프로젝트 개요== |
| === 기술개발 과제 === | | === 기술개발 과제 === |
− | '''국문''' : 태양광 설치 사면의 안정성 증대 방안 연구 <br />'''영문''' : A study on ways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solar-power plants installed slope | + | ''' 국문 : ''' 00000000.. |
| + | |
| + | ''' 영문 : ''' 00000000.. |
| | | |
| ===과제 팀명=== | | ===과제 팀명=== |
− | 무너지지말아조
| + | 00000.. |
| | | |
| ===지도교수=== | | ===지도교수=== |
− | 문영일 교수님
| + | 000 교수님 |
− | | |
− | ===멘토교수===
| |
− | 박도원 교수님
| |
| | | |
| ===개발기간=== | | ===개발기간=== |
− | 2022년 3월~ 2022년 6월 (총 4개월)
| + | 2019년 3월 ~ 2019년 6월 (총 4개월) |
| | | |
| ===구성원 소개=== | | ===구성원 소개=== |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78600** 한*욱(팀장) <br /> | +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김**(팀장) |
| | | |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78600** 김*현<br /> | +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정** |
| | | |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78600** 김*재 <br /> | +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조** |
| | | |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78600** 김*정 <br /> | +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이** |
| | | |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78600** 김*찬 <br /> | + | 서울시립대학교 ㅁㅁ공학부·과 2011XXX0** 남** |
− | | |
− |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78600** 이*현
| |
| | | |
| ==서론== | | ==서론== |
| ===개발 과제의 개요=== | | ===개발 과제의 개요=== |
| ====개발 과제 요약==== | | ====개발 과제 요약==== |
− | ◇ 태양광 발전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시추공 데이터를 통해 얻은 특정 토질에 대한 최적의 보강 공법(말뚝의 종류, 간격, 개수 및 사면의 각도 등)을 Slide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 + | 내용 |
− | | |
| ====개발 과제의 배경==== | | ====개발 과제의 배경==== |
− | ◇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면적의 63%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형특성상 태양광 발전에 적합한 부지 확보가 쉽지 않아 임야(60.9%, 43.3)에 태양광 발전 시설이 집중적으로 설치되고 있음 <br /><br />◇ 지역별로는 개발 면적에서 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경북은 86%, 충북은 82%로 높은 비율을 보임<br /><br />◇최근 태양광 패널의 설치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인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음. <br />- 2018-2020 3년간 충청도 지역은 5건, 경상도 지역은 4건으로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함.<br />- 특히 경북 청도의 경우 18,19년 연속 피해를 받은 것으로 확인됨 <br />- 피해 사례들은 태양광 패널이 사면에 위치해 있어 호우가 발생함에 따라 토사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는 양상을 보임 <br /><br />
| + | 내용 |
− | [[파일:2번.PNG]]
| |
− | | |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 | ◇ 태양광 설치 사면의 안정성 증대 방안 연구를 통해 설치된 시설물의 안정성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도모함과 동시에 향후 설치될 구조물의 지형에 대한 참고자료로서의 가치를 도모 <br /><br />◇ 태양광 시설 기설치 지역에 대해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그렇지 않은 지역과 비교<br /><br />◇ 상기 목표에 대해 수치적으로 접근<br /><br />◇ 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 설치 사면에 대한 최적의 보강 방법과 시공방식에 대한 제언을 통한 주변 지반에 대한 사고 예방, 대응, 복구 방안 마련에 도움
| + | 내용 |
| | | |
| ===관련 기술의 현황=== | | ===관련 기술의 현황=== |
| + |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 +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 + | 내용 |
| +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
| + | 내용 |
| + | *기술 로드맵 |
| + | 내용 |
| | | |
− | | + |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 | ====현재 설계 기준 분석==== | + | *경쟁제품 조사 비교 |
− | ◇ 한국에너지공단에서는 다음과 같이 태양광 발전설비 시공기준을 제시하였다.
| + | 내용 |
− | 2) 산지 및 농지형 준수사항<br /><br /> 가) 유속 완화 및 토사유출 방지<br />① 급경사지에 배수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유속 완화 시설과 낙차에 의한 세굴 및 침식 방지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br />② 우천시 우수의 유출과 토사유출에 의한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 수로 및 하류에 위치한 소하천 등의 범람, 퇴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또는 영구 우수 저류조 등 저감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설치 및 유지관리는 자연재해대책법 및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종류·구조·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 등을 따른다.<br /><br /> 나) 지반과 사면의 안전성 확보<br />① 절토와 성토를 통해 부지를 조성할 경우에는 단계별로 충분히 다짐하여 지지력과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br />② 절토 및 성토 비탈면의 경우 완만하게 시공하여야 하며 침식방지 및 비탈면 보호를 위한 녹화 등을 통해 비탈면의 안전을 도모하고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비탈면에 구조물(콘크리트 옹벽, 보강토 옹벽, 석축 등)을 설치할 경우에는 설계기준에 맞춰 계획하고 시공되도록 하여야 한다.
| + | *마케팅 전략 제시 |
− | | + | 내용 |
− | ====기존 연구 사례 분석====
| |
− | ◇ 태양광 발전소 부지의 식생관리에 관한 연구<br />
| |
− | 1. 태양광 발전소를 방문 한 후 식물을 조사하고, 토양을 채취하고 분석하여 조사 <br />
| |
− | 2. 태양광 발전소의 녹화공법은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위치별 공법의 종류와 식생의 종류 등을 조사<br />
| |
− | 3. 각 공법에 대해서는 태양광 발전소의 관리방법 등을 파악한 후 부지의 식생관리의 기본 자료로 기록<br />
| |
− | 4. 또한, 태양광 발전소의 절·성토면 대상지와 하부 대상지에 관련한 실태를 파악<br /><br />
| |
− | ◇ 집중호우시 사면 붕괴의 특성 및 토층 심도와 지하수변동에 따른 사면 안정성 해석<br />
| |
− | 1. 절토사면의 안정성 해석에 ITASCA사에서 개발된 FLAC-SLOPE 이용<br />
| |
− | 2. 붕괴 형태의 기하학적인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7개의 평가 항목을 선정<br />
| |
− | 3. 사면 높이(H), 붕괴 폭(W), 사면 연장(L), 사면 경사(α), 붕괴 심도(Df), 붕괴 길이(Lf), 붕괴부 수직거리(ΔH)를 측정<br />
| |
− | 4. 사면 붕괴의 특성을 토대로 하여 토층 및 지하수가 사면 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
| |
| | | |
|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 |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
− | 1. 체계적인 태양광 발전시설 주변 지반에 대한 사고 예방·대응·복구 가능<br />
| + | ====기술적 기대효과==== |
− | ◇ 명확한 정책목표와 추진방향 설정으로 계획성 있는 대책 추진<br />
| + | 내용 |
− | ◇ 설치 지역 중 취약지반 중심의 사고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 안전 시설 추가 설치를 통한 안정적인 태양광 발전 및 시설 이용 효율 극대화<br />
| + |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 | ◇ 기후 변화 및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대비한 최적의 안전율 도출 <br /><br />
| + | 내용 |
− | | |
− | 2. 태양광 발전 지형 참고 자료로서의 가이드라인<br />
| |
− | ◇ 중앙에서 시행하는 태양광 발전시설 인허가 정책 수립의 방향성 안내<br />
| |
− | ◇ 민간기업 및 운영기관의 원활한 시공 업무 추진 도움<br /><br />
| |
− | | |
− | 3. 설비 운영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으로 피해 최소화<br />
| |
− | ◇ 중앙-지방-민간기업간 유기적인 협력체계 유지로 사고 발생시 신속 조치 기반 마련<br />
| |
− | ◇ 또한, 피해 발생 시 유관기관 간의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 확산 방지 및 2차 추가피해 차단<br /><br />
| |
− | | |
− | 4. 사고에 대한 예방·대응을 통한 국민 안전보장<br />
| |
− | ◇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로 인한 산사태로부터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하여 국민의 만족 향상<br />
| |
− | ◇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여 안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함
| |
| | | |
|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 |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
− | [[파일:1번.PNG]]
| + | ====개발 일정==== |
| + | 내용 |
| + | ====구성원 및 추진체계==== |
| + | 내용 |
| | | |
| ==설계== | | ==설계== |
| ===설계사양=== | | ===설계사양=== |
| ====제품의 요구사항==== | | ====제품의 요구사항==== |
− | [[파일:2조 설계 요구사항.png]]
| + | 내용 |
− | | |
− | ====제품 평가내용====
| |
− | ◇ 본 연구에서는 ‘rocscience’社에서 출시한 프로그램 중 ‘slide3’를 이용하고자 함. 프로그램을 선정함에 있어 해석 방법의 다양성 및 적용가능성, UI의 직관성, 그리고 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고려했음. 해당 프로그램의 경우 학부생들이 이용 가능할 정도로 프로그램의 동작 환경이 사용자 친화적이어서 구하고자 하는 해석 결과를 얻기에 무리가 없어보임.
| |
− | | |
| ====설계 사양==== | | ====설계 사양==== |
| + | 내용 |
| | | |
| ===개념설계안=== | | ===개념설계안=== |
− | '''가. 개요'''<br />
| + | 내용 |
− | 태양광 사면이 설치된 위험 지역들을 설정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안전율을 수치해석적 기법으로 계산하고
| |
− | 이를 바탕으로 해당 사면에서의 안전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을 반영하여 해당 지역을
| |
− | 보강하고자 한다.
| |
− | ▶태양광 사면 수치해석 프로그램의 선정 요건
| |
− | ① 해석 방법의 다양성 및 적용 가능성
| |
− | ② UI의 직관성
| |
− | ③ 해석 결과의 신뢰성
| |
− | | |
− | 이상을 종합하여 'Slide 3'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음.
| |
− | 'Slide 3'란
| |
− | - 토양 또는 암석 경사면에서 안전 계수를 평가하기 위한 3D 한계 평형 경사면 안정성 프로그램<br />
| |
− | - 암석 (Mohr-Coulomb, Hoek-Brown)과 토양 (Mohr-Coulomb, 수직 및 전단 응력 비율) 재료 모델의 재료 라이브러리를 가져서 다양한 상황을 구현 가능<br />
| |
− | | |
− | 해당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중점적으로 확인하고자 함<br />
| |
− | -실제 사고가 발생한 지역과 유사한 사면 환경을 구현해서 문제점 파악 및 보강대책 제시<br />
| |
− | -유사한 사면 환경 구현을 위해 지반의 물성치(내부마찰각, 단위중량, 포화도 등)는 국토지반정보 및 지질정보포털시스템을 이용, 사면 경사각은 DEM(수치표고자료)의 좌표를 통해 계산<br />
| |
− | -문제점 파악 후, 적절한 보강대책 제시(ex 말뚝, 식생공법)<br /><br />
| |
− | '''나. 평가 및 분석''' <br /><br />
| |
− | '''평가 기준'''<br />
| |
− | - 산사태가 발생한 태양광 시설의 위험성을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판단<br />
| |
− | - 현재 태양광 사면 허용기준과 선정 모델 비교<br />
| |
− | -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든 모델의 실용성 여부 평가<br />
| |
− | '''평가 내용'''<br />
| |
− | - 여러 해석법 (Bishop, Janbu)과 다양한 조건 (말뚝의 종류, 지하수위, 지반의 물성치 등)을 적용하여 모델의 안전율을 계산
| |
− | - 다양한 선례들과 정책 (태양광 부작용 해소대책)을 통하여 적절한 조건(ex. 산지 경사도 등)을 선정
| |
− | - 구축한 여러 조건을 적용한 모델들의 실현 가능성과 경제성 판단(모델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구축)<br /><br />
| |
− | [[파일:2조 모식도.png]]<br /><br />
| |
− | '''다. 연구 범위의 한정''' <br />
| |
− | 연구 범위의 한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석 지역을 충북 제천과 경북 청도 2곳의 지역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신문 기사 인용으로 갈음하고자 한다.
| |
− | “지난해 장마 때 무너졌던 산지 태양광 시설이 최근 태풍에 또 붕괴됐다. 사고가 난 시설은 최근 산림청이 실시한 장마철 대비 일제 점검에서 '양호'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무리하게 지어진 산지 태양광의 위험성이 다시 한 번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1년 만에 또… 청도서 '태양광 산사태', 조선일보 ,19.07.27<br /><br />
| |
− | | |
− | “이곳에서 40년을 살았는데 이렇게 산사태로 무너진 것은 처음”
| |
− | “아직 일부 남아 있는 태양광시설도 이미 기울었거나 무너지기 일보 직전의 위태로운 상태”
| |
− | 이영재 경북대 토목공학과 교수⋯ “산 중턱을 깎아 태양광시설을 지으면 지반이 약해지면서 산사태와 인과관계가 생길 수밖에 없다”‘태양광 짓기 전엔 산사태 없었는데⋯ ’ 서울경제 ,20.08.12<br /><br />
| |
− | | |
− | ◇ 청도의 경우 사고가 발생한 후 1년 만에 재발하는 결과를 보여준 지역이고, 제천의 경우 배수시설
| |
− | 의 문제로 인해 시설 비탈면이 붕괴되어 토사가 쓸려 내려간 사례로 자칫 잘못하면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사건이었다.
| |
| | | |
|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 |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
− | '''1. 이론적 배경'''<br /><br />
| + | 내용 |
− | | |
− |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사면안정 해석법을 고려하였다. 해당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r />
| |
− | [[파일:2조 사면안정 해석법.PNG]]<br />
| |
− | | |
−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좋은 두 가지의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다음은 두 가지 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다. <br />
| |
− | [[파일:2조 비숍잔부.PNG]]<br />
| |
− | '''2.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정과 수치'''<br /><br />
| |
− | ◇ 본 보고서는 제천과 청도의 2개의 필지(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구곡리 산 108번지 2호, 청도군 매전면 온막리 산13-2)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안전성을 중심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상술한 사고 지역과 같은 지방자치단체 소속이고, 또 산사태 위험 지역과도 인접해 있는 지역이기에 사고에 대한 위험성 검토가 중요하다 생각되어 위 지역을 선정하였다. <br />
| |
− | ◇ 연구 지형의 경우 지형 정보를 알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https://map.vworld.kr)’을 사용하였고, 위 포털을 통해 지형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사면의 각도, 사면 고도차, 면적)를 획득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길이나 각도의 경우 평균치를 사용하여 그 값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br />
| |
− | ◇ 또한, 시추공의 정보는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https://www.geoinfo.or.kr)’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였다. 모든 시추공에 대한 정보가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본 DB에 존재하지 않는 이유로, 인접 시추공의 정보를 통해 해당 지형 특성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이는 후술할 제언에서도 언급할 것이다. <br />
| |
− | ◇ 계산을 하기 위해서, 먼저 태양광 설치시 보강 방법과 하중 조건을 알 필요가 있다. 태양광 패널의 무게와 지지대와 무근콘크리트를 합한 하중이 0.93kN/m^2 로 작용하는 것으로 계산하였다. <br /><br />
| |
− | | |
− | [[파일:2조 청도시추.PNG|'청도의 시추 데이터']]<br /><br />
| |
− | [[파일:2조 제천시추.PNG|'제천의 시추 데이터']]<br /><br />
| |
− | | |
− | 이상의 2개의 사진은 각각 해당 필지 주변의 시추주상도 데이터이다.<br /><br />
| |
− | ◇ 또한, 문헌 참고 (공간분포형 습윤지수를 이용한 유역규모의 사면안정해석 – 한국지리학회지 3권 2호 2014
| |
− | 오성렬, 이기하)를 통하여 제천과 청도에 대한 지반 정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각 지역의 단위중량과, 점착력, 내부 마찰각은 다음과 같다.<br /><br />
| |
− | [[파일:2조 지층표1.PNG]]<br />
| |
− | 제천 지역의 지반 정수 데이터<br /><br />
| |
− | [[파일:2조 지층표2.PNG]]<br />
| |
− | 청도 지역의 지반 정수 데이터<br /><br />
| |
| | | |
| ===상세설계 내용=== | | ===상세설계 내용=== |
− | ====수치해석 결과 및 설명====
| + | 내용 |
− | [[파일:3번.PNG]]<br />
| |
− | [[파일:5번.PNG]]<br /><br />
| |
− | 위 사진은 Slide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청도 지역 태양광 설치 사면의 평상시와 우천시 안전율을 분석한 결과이다.<br />
| |
− | | |
− | [[파일:3번.PNG]]<br />
| |
− | [[파일:6번.PNG]]<br /><br />
| |
− | 위 사진은 Slide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천 지역 태양광 설치 사면의 평상시와 우천시 안전율을 분석한 결과이다.<br /><br />
| |
− | | |
− | Janbu, Bishop 방법으로 각각 계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
| |
− | [[파일:7번.PNG]]
| |
− | | |
− | ====보강방법====
| |
− | ◇ 본 연구에서는 현지 실정에 맞는 2가지의 보강공법, 즉 Soil nailing 공법과 micro pile 공법에 대해 소개하고, 현지 지역에 적용하여 안전율을 산출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된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지형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br />
| |
− | [[파일:2조 보강방법표.png]]
| |
− | | |
− | ====설계도면====
| |
− | [[파일:2조 설계도면.png]] <br />
| |
− | ◇ Slide3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보강 공법(soil nailing, micro pile 등)을 이용하여 보강을 실시하면 위와 같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위 사진은 사면 보강 공법 중 하나인 soil nailing 공법을 적용한 사면의 모식도이다. 위 사진은 본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예시를 든 것이며, 최적의 공법은 아님을 밝힌다. <br /> <br />
| |
− | ◇ 최적의 보강 공법은 추후 연구를 통해 채택할 것이고,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br />
| |
− | 1. 포화 된 지반으로 가정 <br />
| |
− | 2. 안전율은 1.3 이상 <br />
| |
− | 3. 경제성 고려 <br />
| |
− | 4. 최소의 근입깊이 <br />
| |
− | 5. 보편적인 공법 사용 <br />
| |
− | | |
− | ====청도 지역 보강 시뮬레이션====
| |
− | [[파일:2조KDS규정.png]]<br />
| |
− | ◇ 위 표를 참조하면, 우기시 극한 상황에서 사면의 안전율은 1.3 이상이 나와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조에서는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는 최적의 보강 방법을 찾고자 한다. <br />
| |
− | ◇ 최적의 보강 방법은 경제성과 안정성 동시에 만족을 하는 방법이어야 한다. 따라서, 점성토 지반에서도 유효한 방법인 Micro Pile 공법을 이용하여 말뚝의 근입 깊이와 간격을 변경하면서 시험하고자 한다. <br />
| |
− | ◇ 다음은 건설워커의 게시글에서 참고한 마이크로파일공사 단가를 바탕으로 해당 지반에 보강시 필요한 금액을 근입깊이와 간격(=천공횟수)으로 산정한 표이다.<br />
| |
− | [[파일:2조시공비산정.png]]<br />
| |
− | ◇ 빨강색으로 칠한 경우는 경제적이지 못한 보강방법이라 생각하여 제외하고 총 6개의 경우에 대해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강시의 안전율을 계산해 보았다. 계산 과정은 다음과 같다.<br />
| |
− | [[파일:2조1.118.png]]<br />
| |
− | [[파일:2조1.802.png]]<br />
| |
− | ◇이 외의 경우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표로 나타낼 수 있다. <br />
| |
− | [[파일:2조안전율최종.PNG]] <br />
| |
− | ◇ 따라서, 말뚝 근입깊이 15m와 간격 20/30m가 최적의 보강공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얻은 안전율은 1.401로 위에서 언급한 기준에도 만족하는 모습을 보였다. <br />
| |
− | [[파일:2조최종시공결과.png]]
| |
| | | |
| ==결과 및 평가== | | ==결과 및 평가== |
| ===완료 작품의 소개=== | | ===완료 작품의 소개=== |
|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 |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
− | [[파일:2조프로토정면.jpg]]<br /><br />
| + | 내용 |
− | [[파일:2조프로토측면.jpg]]<br /><br />
| |
− | [[파일:2조프로토45도.jpg]]<br /><br />
| |
− | | |
− | 위 사진들은 각각 완성된 모형을 정면과 측면, 그리고 45도 측면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 |
− | | |
| ====포스터==== | | ====포스터==== |
− | [[파일:2조 포스터.jpg]]
| + | 내용 |
| | | |
| ===관련사업비 내역서=== | | ===관련사업비 내역서=== |
− | | + | 내용 |
| | | |
| ===완료작품의 평가=== | | ===완료작품의 평가=== |
− | ◇ 본 연구에서는 제천과 청도의 태양광이 설치된 사면의 안전율을 건기와 우기의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안전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br />
| + | 내용 |
− | | |
− | ◇ 해당 사면에서 우기시 청도 태양광 설치 사면의 안전율은 0.616이었고 이는 KDS 11 70 05 기준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br />
| |
− | | |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지역의 지반 보강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도 지역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Micro Pile 공법과 Soil Nailing 공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고, 점성토가 섞인 해당 지반의 경우 Micro Pile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이라고 판단함. <br />
| |
− | | |
− | ◇ 따라서, 해당 공법을 이용하여 보강하는 경우의 공사단가를 파악하고, 말뚝의 간격과 근입 깊이에 따른 안전율을 비교한 결과 말뚝 45개를 15m의 깊이로 근입하였을 때 안전율 1.401이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음. 이는 KDS 11 70 05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 되었고, 본 연구의 보강 방법이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br />
| |
− | | |
− | ◇ 본 연구의 의의는 의심으로만 가지고 있었던 태양광 사면의 안정성에 대해서 지반공학적 지식과 수치해석적 기법을 통해 직접 해석함으로서 사면이 가지고 있는 위험성에 대해서 공학적인 방법에서 접근하였다는 점이다.<br />
| |
− | | |
− | ◇ 또한, 미비된 규정 등 현재 상태의 한계에 대해서 확인해 볼 수 있었고, 관련 규정의 추가적인 도입과 구체적인 시공 기준의 마련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음. <br />
| |
− | | |
− | ◇ 다만,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사항은 시추공 위치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근사적인 지반 정수 수치를 사용하였다는 것과, 본 연구 내용이 다른 지역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br />
| |
| | | |
| ===향후계획=== | | ===향후계획=== |
| + | 내용 |
| | | |
| ===특허 출원 내용=== | | ===특허 출원 내용=== |
| + | 내용 |
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