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2학기 SOC종합설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IVIL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18년 2학기)
(Soc201813 (토론)의 407판 편집을 되돌림)
 
8번째 줄: 8번째 줄:
 
===2018년 2학기===
 
===2018년 2학기===
  
<div>__ㅇTOC__</div>
+
'''[[모래사장조]]''' - 권한슬, 김효성, 이재섭, 장승규, 강하훈, 안수지, 만달바야르 자르길세한 <br>
 
+
'''[[김태수와 아이들조]]''' - 길상균, 김태수, 안승빈, 장석민, 이예인, 하쓰에르데네<br>
==프로젝트 개요==
+
'''[[A.C.E조]]''' - 김상훈, 노시창, 심재홍, 유우석, 장재혁<br>
=== 기술개발 과제 ===
+
'''[[FFFFFF조]]''' - 정민우, 박수한, 박선량, 정민엽, 김준성<br>
해안침식 방지 및 완화를 위한 인공식생을 접목한 잠제 설계
+
'''[[조삼토이조]]''' - 강한주, 김주성, 김동환, 양정모, 문현민<br>
submerged dike with artificial seaweed
 
 
 
===과제 팀명===
 
1조 모래사장
 
 
 
===지도교수===
 
조용준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9월 ~ 2018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2860035 장승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2860004 권한슬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5860045 강하훈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2860017 김효성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4860026 안수지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2012860032 이재섭
 
외국인 학생 만달바야르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현재 대두되고 있는 해안침식을 완화시키기 위한 잠제 설계
 
====개발 과제의 배경====
 
해안침식으로 인한 피해와 이를 메꾸기 위한 양빈사업에 드는 천문학적인 비용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인공식생과 잠제를 접목하여 새로운 수중구조물 설계.
 
경제성, 친환경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것이 목적.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소수 설치되었지만 효과가 미비.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없었음.
 
 
 
*기술 로드맵
 
해안 침식 방지를 위한 파력감소를 목표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인공식생의 저항력을 이용하였다. 식생의 저항력은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경쟁제품 조사 비교
 
기존의 잠제는 콘크리트 구조물 위주로 자연의 평형상태를 해치고, 미관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일부 잠제와 인고식생을 접목한 제품이 있으나,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마케팅 전략 제시
 
인공식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구조물과 비교해서 자연의 평형상태를 회복시킨다. 기존에 있던 잠제는 인명피해위험이 있어 치명적이다. 이 기존 잠제를 이부 제거하고 친환경으로 만들어진 인공식생을 사용함으로안전을 도모하였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기존의 위험하고 환경을 파괴하던 잠제를 친환경적 인공식생으로 대체함으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해안침식을 막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기존 구조물에 그물을 덧씌우는 방식으로 기존 구조물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새로 만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주제선정 - 구체화 - 설계도 작성 - 실험 - 시제품 제작
 
====구성원 및 추진체계====
 
회의를 통해 주제를 선정하였고, 생각을 구체화한 후 각자의 능력에 맞게 설계도를 작성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해빈침식의 방지를 위해 충분한 파력 감소효과를 가질 것.
 
수중 생태계의 파괴를 막기위해 친환경 설계를 할 것
 
경제적으로 시공 가능할 것
 
선박의 충돌사고를 막기 위해 식생의 높이가 적절할 것.
 
====설계 사양====
 
그물 간격 1m , 플레이트 크기 60*60cm , 인공식생의 길이 2m, 플레이트 두께 10cm.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사진 참조
 
 
 
===관련사업비 내역서===
 
약 300000만원 사용
 
 
 
===완료작품의 평가===
 
모형 실험을 통한 인공식생의 효율이 검증되었고, 기존 잠제에서 발생하는 안전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 완전히 새롭게 개발하여 설치해야되는 잠제가 아니라 일부테트라포트를 제거하고 보완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경제성면에서도 기대를 할 수 있다. 바다 내부 인공 구조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친환경적 플라스틱 소재의 인공식생을 사용하여 환경적인 문제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향후계획===
 
내용
 
 
 
[[파일:d123.PNG]]
 
===특허 출원 내용===
 
내용
 

2018년 12월 4일 (화) 21:34 기준 최신판

Course Information

  • 과목명 : [2018.2학기] SOC종합설계
  • 담당교수 : 문영일 교수님

Course Description

팀 별로 특정설계목표를 설정하여 실무에서 이루어지는 설계과정에 따라 설계를 하고 그 설계결과에 따른 제작품(포스터나 판넬 등)에 대하여 종합발표회를 걸쳐 평가 분석함으로서 실무적용성과 학습성과 달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2018년 2학기

모래사장조 - 권한슬, 김효성, 이재섭, 장승규, 강하훈, 안수지, 만달바야르 자르길세한
김태수와 아이들조 - 길상균, 김태수, 안승빈, 장석민, 이예인, 하쓰에르데네
A.C.E조 - 김상훈, 노시창, 심재홍, 유우석, 장재혁
FFFFFF조 - 정민우, 박수한, 박선량, 정민엽, 김준성
조삼토이조 - 강한주, 김주성, 김동환, 양정모, 문현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