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CIVIL capstone
2020no1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16일 (화) 19:59 판 (개발 과제의 배경)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지하공동구 내 상수도 설계

영문 : Water supply plan in utility tunnel

과제 팀명

1조

지도교수

김대홍 교수님

개발기간

2020년 3월 ~ 2020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4860039 조우성(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4860012 김주명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4860024 손민수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4860041 최승규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1. 지하시설물의 통합 관리를 위해 공동구 미설치 지역을 대상으로 공동구로 공급하는 방식을 설계 및 적용하여 그 장점 활용을 제안한다.
2. 대상 구역 상수 공급 방식에 있어 기존 공급 방식과 공동구 공급 방식을 비교해본다.
3. 기존 지하 매설 방식의 상수도 관로 관리 방식에서 탈피해 공동구의 장점을 살린 상수도 관로 관리 방식을 제안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1) 지하시설물의 통합관리 필요성

현재 서울시의 지하는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시설물뿐만 아니라 상하수도관, 전기선, 통신선, 가스관 등의 사회기반 지하시설물들로 난개발되는 상황에 있다. 이런 시설물들은 현대사회에 필수적이라 시설물에 문제가 발생하면 사회 전반에 걸쳐 문제를 초래한다. 아현동 KT 지사 화재사건으로 다수의 시민이 통신 불편을 겪었고, 문래동의 붉은 수돗물 사건은 시민들의 일상에 불편을 야기했다. 따라서 이런 사회기반 지하시설물들의 안정을 확보하는 것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그렇기에 시설물들을 공동으로 수용하고 관리하는 지하공동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시설물들의 관리 주체가 각각 다르다는 것이다. 전기선은 한전, 통신선은 KT, 가스관은 가스공사, 상수도관은 수자원공사 등 시설물을 각기 다른 관리 주체들이 관리하다보니 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그로 인한 문제가 제고될 수밖에 없다. 이런 관리 주체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지하공동구의 사용은 그 대안이 된다. 신규 지하시설을 설치할 때도 지하공동구는 큰 도움이 된다. GTX 사업과 같은 대규모 지하 토목사업은 주변 지하시설물 사고의 위험성을 동반한다. 지하공동구는 그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어 이런 위험을 최소화한다.

 2) 개별 매설 상수도관의 관리 문제

현재 상수도관은 계획급수량과 계획 연한을 설정한 후 도로 하부 지반을 굴착하여 설치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노후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데 있어 도로의 재굴착이 필요하므로 유지관리 시 교통 흐름을 일정량 제한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 체증은 시민들이 이동 시 불편감을 느끼게 만든다. 반면 지하공동구 내부에 설치한 상수도관은 유지관리에 재굴착 과정 없이 상수도관의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은 개별 매설된 상수도관은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다. 상수도관이 지반에 매몰되어 있어 관리에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다. 예시로 현재 서울시의 상수도관 관리에 다점형 상관식 분석 장비를 활용한다. 이 장비의 원리는 제수 밸브나 소화전 등 누수 점 두 곳에 각각 부착한 진동 센서를 이용해 진동음을 검출하여 지하 매설된 상수도의 누수 여부와 누수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이용해 누수나 파손 지점을 찾아도 재굴착이 필요하다. 반면 지하공동구 내부에 설치한 상수도관은 엔지니어의 육안을 이용한 관리가 가능하다.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 육안 관리의 장점은 누수 확인 시 재굴착 비용의 소모가 없고, 재굴착 기간이 필요 없는 만큼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