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

CIVIL capstone
Adciv20230103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6월 6일 (화) 23:59 판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폐지하공간을 활용한 자연친화적 지하공원 조.

영문 : A Nature-Friendly Underground Park Using Idle Space.

과제 팀명

지하이조.

지도교수

박도원 교수님

개발기간

2023년 3월 ~ 2023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8860038 최종도(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8860010 김제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8860019 안재성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8860022 윤영찬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8860037 최세원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부·과 2018860039 하민준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폐 지하터널의 지하 공간 안정성을 확인한 후 친환경적인 공법을 사용하여 배수와 채광 시스템을 조성하고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친환경 공원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 서울에는 정치적 문제, 시설 노후화, 수요 감소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영업을 중단한 지하철역이 신설동역, 영등포시장역, 신당역 등 다수 존재한다. 여러 가지 사업을 진행하며 이러한 유휴공간 활용을 위해 힘썼지만, 여전히 이용되지 않는 폐 지하터널(유령역)이 다수 남아있는 상황이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이 친환경 공원에는 자연광 공급, 점적관개 기법, 공기 정화시스템을 사용하고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폐 지하공간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안전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미국 로우라인 프로젝트

미국 뉴욕 맨해튼에 1948년 이후 방치된 지하 터미널 40,000를 개조하여 세계 최초의 지하공원을 짓는 프로젝트 를 진행하였다. 일명 로우라인 프로젝트로 불리는 지하공원 프로젝트는 지하에서 식물을 키우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어 있다. 첫 번째로 지하로 자연광을 가져오기 위하여 태양을 추적하는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자연광을 수집하고 태양 캐노피를 이용하여 지하공간 전체에 자연광을 퍼뜨리고 햇빛을 조절하여 식물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빛을 제공한다. 두 번째로 지하공간을 지상에서 식물이 자라는 공간과 비슷하게 만들기 위하여 습도와 공기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3,000개 이상의 식물이 지하공간안에서 자연스럽게 성장하고 생태계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술로 개발된 지하공원은 현재 주말에 30,000여명 이상의 방문자가 찾아오고 있으며, 십대들을 위한 앰버서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린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는 등 지역사회 발전에 큰 이바지를 하고 있다.

◇ 영국 클래팜 타운 지하농원 

영국 런던 클래팜 타운에서는 지하 33m에 위치한 지하농원에서 채소를 경작하여 샐러드로 판매하는 프로젝트가 시행되고 있다. 2015년부터 수백개의 레스토랑과 슈퍼마켓에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하고 있다. LED, 수경재배, 데이터 분석 및 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65,000의 농장에서 농산물을 경작한다. 고도로 발달한 LED기술을 통하여 농산물을 경작하는게 가능해졌으며, 수경 재배 시스템으로 물을 재순환시켜 자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였다. 지하에 있으므로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이 지상에서 보다 쉬우며, 2021년에는 재생에너지만을 이용하여 완전히 탄소중립을 실천하였다. 세계 식량 생산 시스템에 엄청난 문제를 직면한 지금, 클래팜 타운 지하농원은 부족한 지상공간을 대체하여 식량 부족을 해결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 대한민국 종각역 태양의 정원

지하를 자연 친화적 공간으로 바꾸려는 시도는 놀랍게도 우리나라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자연채광 제어기술을 적용한 종각역 태양의 공원이 그 주인공이다. 종각역에서 종로서적으로 이어지는 지하보도에 조성된 이 정원에는 자연채광 제어기술이 적용되었다. 지상의 햇빛을 원격 집광부를 통해 고밀도로 모아 특수 제작된 렌즈에 통과시켜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지하 공간까지 전달하는 이 혁신 기술은 자연 그대로의 햇빛을 지하로 전송해 유자나무, 금귤나무, 레몬나무 등 과실수를 포함한 37종의 다양한 식물이 지하에서도 자랄 수 있다. 단순한 녹지공간 뿐만 아니라 계단을 리모델링하여 객석을 만들어 각종 교양강좌나 소규모 공연이 가능한 다목적 문화공간을 조성하였으며 특히 청년창업 지원을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창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홍보, 판로, 교육, 지원 사업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파나 미세먼지 등 외부 기상여건과 상관없이 지하에서 자연 그대로의 태양광을 느낄 수 있으며, 날씨가 흐린 날엔 자동으로 LED 조명으로 전환돼 외부 날씨와 상관없이 일정 조도 확보도 가능하다.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20230607 155711.png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