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v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의 배경)
33번째 줄: 33번째 줄: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
◇ 가스화
 +
 
 +
- 가스화란 고온에서 유기물질의 연소반응에 필요한 이론적 산소량보다 적은 양의 산소를 공급하여 이루 어지는 부분산화 (partial oxidation) 공정으로, 가스화의 주 생산물은 H2, CO, CO2, CH4 및 소량의 분자량이 적은 탄화수소들이다. 가스화에서 필요한 산소는 공기, 순수산소, 스팀 또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공급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산소를 보통 가스화에서는 가스화제 (gasifying agent), 산화제(oxidant) 또는 blast로 명명한다. 가스화를 통해 생성된 가스는 보일러 등에서 연소하여 에너지를 회수하거나 또는 가스엔진, 가스터빈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용되어진다. 또한 생성가스 중수소를 분리하여 수소에너지로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성가스 속에 존재하는 H2 및 CO를 활용하여 메탄올 및 다양한 탄화수소류 합성의 원료로 이용되어진다.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내용

2018년 12월 13일 (목) 19:41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플라스틱의 공기가스화를 이용한 친환경적 자원재생 시스템 설계

영문 : Designing the resources recycling system using gasification of plastics

과제 팀명

미신유조

지도교수

장서일 교수님

개발기간

2018 년 9 월 ~ 2018년 12 월 (총 4 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2890002 강석범(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2890005 고광덕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2890024 박민호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2890075 홍수락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가스화

- 가스화란 고온에서 유기물질의 연소반응에 필요한 이론적 산소량보다 적은 양의 산소를 공급하여 이루 어지는 부분산화 (partial oxidation) 공정으로, 가스화의 주 생산물은 H2, CO, CO2, CH4 및 소량의 분자량이 적은 탄화수소들이다. 가스화에서 필요한 산소는 공기, 순수산소, 스팀 또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공급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산소를 보통 가스화에서는 가스화제 (gasifying agent), 산화제(oxidant) 또는 blast로 명명한다. 가스화를 통해 생성된 가스는 보일러 등에서 연소하여 에너지를 회수하거나 또는 가스엔진, 가스터빈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용되어진다. 또한 생성가스 중수소를 분리하여 수소에너지로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성가스 속에 존재하는 H2 및 CO를 활용하여 메탄올 및 다양한 탄화수소류 합성의 원료로 이용되어진다.

개발 과제의 배경

◇ 가스화

- 가스화란 고온에서 유기물질의 연소반응에 필요한 이론적 산소량보다 적은 양의 산소를 공급하여 이루 어지는 부분산화 (partial oxidation) 공정으로, 가스화의 주 생산물은 H2, CO, CO2, CH4 및 소량의 분자량이 적은 탄화수소들이다. 가스화에서 필요한 산소는 공기, 순수산소, 스팀 또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공급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산소를 보통 가스화에서는 가스화제 (gasifying agent), 산화제(oxidant) 또는 blast로 명명한다. 가스화를 통해 생성된 가스는 보일러 등에서 연소하여 에너지를 회수하거나 또는 가스엔진, 가스터빈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용되어진다. 또한 생성가스 중수소를 분리하여 수소에너지로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성가스 속에 존재하는 H2 및 CO를 활용하여 메탄올 및 다양한 탄화수소류 합성의 원료로 이용되어진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