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분반 2조

env wiki
2024enveng12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9일 (목) 02:13 판 (전력공급량 계산)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환경시설 밀폐공간 내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영문 : Development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nclosed Spaces in Environmental Facilities Using Energy Harvesting

과제 팀명

맨홀 안ZONE

지도교수

구자용 교수님

개발기간

2024년 9월 ~ 2024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9890043 이수연(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8890038 변우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9890024 문강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21890026 노유진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환경 시설 내 밀폐공간에서 발생하는 질식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자가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을 만든다.

- 작업자의 보호구 착용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모듈을 설계.

- 밀폐공간 내의 산소 및 황화수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모듈을 설계.

- 보호구 착용 여부 및 가스의 농도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리는 본체 모듈을 설계.

- 본체 모듈의 메인 제어부와 감지 모듈에 활용할 배터리에 전력을 충당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 시스템을 설계.

개발 과제의 배경

- 환경 시설 중 하나인 하수처리장에는 다양한 밀폐공간이 존재하고, 여기서 시행되는 슬러지 준설 등의 작업은 질식 사고를 유발할 수 있음.

- 현장을 관리하는 안전관리자에 의하면, 불편하다는 이유로 작업자가 송기마스크 등의 장비를 벗는 행위로 인해 사고가 발생함.

- 작업 전에는 황화수소의 농도가 낮더라도 작업 도중에 슬러지를 휘저어서 스컴층이 파괴되면 순간적으로 농도가 급증할 수 있기에 지속적인 유해가스 모니터링이 필요함.

- IoT에 활용되는 디바이스와 센서는 유한한 전력의 배터리로 동작하기에 데이터 전송량과 송신 주기에 제약이 있음.

개발 과제의 내용

1) 유해가스 감지 모듈 설계

- 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주요 유해가스 통계를 분석하여 분석 대상 가스를 선정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듈을 설계함.

2) 보호구 착용 감지 모듈 설계

- 작업자의 보호구 해제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모듈을 설계함.

3) 본체(관리자 단말기) 설계

- 감지된 데이터들을 밀폐공간 외부에 배치된 작업관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경보를 통해 작업자의 위험 상황을 관리자가 알 수 있게 함.

- 메인 제어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외부의 관제 시설에 송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 태양광 패널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메인 제어부에 필요한 전력과 두 개의 감지 모듈(가스, 보호구 착용)에 활용할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함.

관련 기술의 현황

State of Art

1) 포스코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포스코는 제철소에서 밀폐공간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IoT 및 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도입함.

포스코.png

2) 쉘(Shell)의 드론 및 로봇 활용

글로벌 에너지 기업 쉘(Shell)은 정유 공장 및 석유 저장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밀폐공간 작업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로봇과 드론을 활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입함.

쉘.png

기술로드맵

기로.png

특허 조사

1) 보호구 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특허

안전모 특허.png

2) 유해가스 감지 시스템 관련 특허

가스특허.png

2) 이동식 안전 시스템 관련 특허

다목적 이동식 특허.png

기존 특허와의 차별점

기존 특허와 본 기술의 차별성을 정리하여 표로 나타냄.

특허compar.png

관련 시장에 대한 분석

경쟁제품 조사 및 비교

- 본 기술의 경쟁제품으로 (주)오픈웍스의 LifeSaver-V2를 선정함.

- 캐리어 형태의 몸체에 유해가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한 이동식 장치.

- 이 장치는 본 기술과 다르게 "작업자"가 밀폐공간 내에서 소지하는 것으로 슬러지 준설 작업을 할 때 장소를 이동할 때마다 제품을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

이동식.png

Lifesaver.png

마케팅 전략

SSS.png


S/O 전략(강점을 살려 기회를 최대화하는 전략)

실시간 가스 모니터링 및 안전 장비 착용 확인을 통해 밀폐공간 내 질식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확대에 따른 밀폐공간 안전관리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가능함.

S/T 전략(강점을 이용한 위협을 극복하는 전략)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적용을 통해 적은 전력 소모로도 안전관리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며, 사업장 내 안전 리스크를 저감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규모 사업장 적용 시에도 경제적, 사회적 효과가 큼.

W/O 전략(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포착하는 전략)

설치 비용 부담이 높은 점을 완화하기 위해 가스 감지 및 안전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단기 리스나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규모 기업의 접근성을 높임.

W/T 전략(약점을 최소화하여 위협에 대처하는 전략)

고정식이 아닌 탈부착식 가스 감지 시스템을 설계하여 고가 소재 활용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음.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사회적 기대효과

- 태양광 에너지 하베스팅 형식을 활용하여 전력망이 없는 지역에서도 독립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식 설계품 특성에 맞게 전력 공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음.

- 태양광 모듈은 일반적으로 25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고 연간 성능 저하율이 0.3~0.5%로 낮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함.

- 최근 개발되는 태양 전지를 이용하면 배터리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전력을 바로 공급받을 수 있어 배터리 교환에 필요한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음.

- 사회적 기대효과는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도시 안전 시스템 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탄소중립 목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경제적 기대효과

BCBCBC.png

<편익>

- 안전관리 시스템의 편익비용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임세종 외 3명, 2021)를 참고하여 산재보상급여 감소 비용을 편익으로 산정함.

- 밀폐공간의 평균 작업자 수를 5명으로 가정하고, 안전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사고 감소 비율을 20%(임세종 외 3명, 2021)로 해서 1명의 재해 감소 비용을 고려함.

1) 휴업 급여

- 업무상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가 요양으로 인해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지급되는 보험급여로 평균임금의 70%를 지급함.

- 근무자의 일평균 임금: 167,081 (2024 건설업 임금실태 보고서), 휴업 일수: 6개월

휴업 급여 비용 = 167,081 x 0.7 x 180 = 21,052,206원

2) 장해 급여

- 업무상의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가 치유 후에도 신체 등에 장해가 있는 경우에 지급하는 보험급여로 장해등급에 지급일수를 정하여 평균임금만큼 지급함.

- 질식 사고 특성 상 후유증으로 언어장해, 운동장해, 시야협착, 환각, 건망증, 성격이상 등이 남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장해등급을 3급(262일)으로 선정함.

장해 급여 비용 = 167,081 x 262 = 43,775,222원


<비용>

1) 태양광 패널

20W 태양광 패널 비용= 50,000원

2) 센서, MCU, 통신부, 전원부, 경보장치

- 본 기술의 시스템 구성 요소와 유사한 ㈜오픈웍스의 유해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V1의 비용을 참고함.

센서, MCU, 통신부, 전원부, 경보장치 비용 = 13,200,000원

3) 센서 교정 및 교체 비용

- 매년 1회 교정하는 비용(90,000원)과 전기화학식 산소 센서(77,800원) 및 반도체식 황화수소 센서(47,500원)의 수명을 고려하여 각각 2년, 10년에 한 번 교체할 경우의 비용을 연간 비용으로 계산함.

센서 교정 및 교체 비용 = 90,000 x 2 + 77,800/2 + 47,500/10 = 223,650원

4) 전기 장비 점검 비용

- MCU, 통신부, 모니터링 화면, 경보 장치 등의 전기 장비의 경우에는 매년 2회 점검하는 것을 가정하고,‘2023년 하반기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 보고서’에서 제시된 전기 정비원의 조사노임이 약 120,000원임을 참고함.

센서 교정 및 교체 비용 = 120,000 x 4 x 2 = 960,000원


B/C = (21,052,206 + 43,775,222) / (50,000 + 13,200,000 + 223,650 + 960,000) = 4.49

B/C 값이 4.49로 도출되어 본 기술 개발은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구성원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FCFC.png


추진추진.png

개별 분담

개분개분.png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제요.png

평가 내용

평냉.png

목적 계통도

목계.png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큐엪.png

개념설계안

모식도

1) 전체 시스템 3차원 모식도

전체구조.png

2) 본체 모듈 3차원 및 평면 모식도

입 1.png 입 2.png 평 1.png

3) 가스 감지 모듈 3차원 및 평면 모식도

입 4.png 평 2.png

4) 보호구 착용 감지 모듈 3차원 모식도

입 3.png

개념설계 내용

1) 본체 모듈

- 본체는 안전관리자와 함께 밀폐공간 외부에 배치됨.

- 태양광 패널의 크기를 고려하여 휴대하기 편한 브리프 케이스 형태로 제작했고, 케이스의 윗면에 태양광 패널을 부착함.

- 태양광 패널은 케이스 내부에 있는 제어부에 필요한 전력과 두 개의 감지 모듈에 활용할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함.

- 케이스 내부에는 전원 공급 장치, 메인제어부(ESP32)를 배치하여 보호구 착용 감지부와 유해가스 감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함.

- 보호구를 미착용하거나 유해가스 농도가 작업 허용 농도 기준을 벗어나면, 케이스 외부의 경광등과 경보음을 작동하여 관리자가 위험 상황을 인지하게 함.

- 메인 제어부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외부의 관제 시설에 송신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중계 역할을 수행함.

2) 보호구 착용 감지 모듈

- 보호구 착용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송기 마스크 머리끈에 조도 센서와 적외선 온도 센서를 부착함.

- 각 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본체 모듈로 전송함.

3) 가스 감지 모듈

- 황화수소 및 산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업자의 조끼에 가스 감지 모듈을 부착함.

- 각 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본체 모듈로 전송함.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전력공급량 계산

1) 필요 전력량 계산

- 구매처의 Datasheet 참고하여 각 부품의 효율과 전압값을 설정, 관련 논문을 참고하여 축전지 여유율 1.15를 고려함.

- 필요 전력량 계산 결과, 감지모듈의 송신부 ESP32는 2W, 본체 수신부 ESP32는 0.52W의 전력이 필요함.

- 승압 컨버터의 변환 효율 96% 고려하면, 승압 컨버터에 공급되어야 할 전력은 2.08W, 0.54W임.

- ESP32 모듈의


2) 태양광 패널의 전력 공급 가능성 확인

전력계산1.JPG

전력계산2.JPG

- 서울 지역의 월별 일사량 및 태양광 패널 성능계수

전력계산3.JPG

유해가스 농도에 따른 필요 환기량 계산

- 필요 환기량 공식(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기술지침)


필요환기량식.JPG

- 필요 환기량 계산 조건 설정

필요환기량설정값.JPG


- 황화수소 농도에 따른 필요 환기량 그래프

필요환기량그래프.jpg

통신 거리

- 프로토콜의 최대 통신 범위

2조통신범위.jpg


- 통신 실험

2조통신실험1.jpg 2조통신실험2.jpg

경보 범위 설정

1) 유해가스 농도 경보 범위 설정

- 적정공기 기준

2조유해가스경보1.JPG


- 산소 농도에 따른 생체반응

2조유해가스경보2.JPG


- 유해가스 감지 모듈 알림 범위

2조유해가스경보3.JPG


2) 보호구 착용 모듈 경보 범위 설정

- 보호구 착용 모듈 알림 범위

보호구경보.JPG

상세설계 내용

조립도 및 부품도

1) 조립도

2조조립도1.JPG 2조조립도2.JPG


2) 부품도

2조부품도1.JPG 2조부품도2.JPG


제어부 및 회로설계

1) 프로토타입 제작을 위한 아두이노 회로도

- 본체 모듈

2조회로도1.jpg


- 유해가스 감지 모듈

2조회로도2.jpg


- 보호구 착용 감지 모듈

2조회로도3.jpg

2) 설계 내용

- 본체 모듈: 배터리 충전부와 데이터 통신부로 구성됨. 회로도는 왼쪽에서부터 태양광 패널, 5V 강압 모듈, 배터리 충전 모듈, 리튬 이온 배터리, 5V 승압 모듈, ESP32, LED 및 부저의 순서로 배치됨.

- 유해가스 감지 모듈: 가스 감지부와 데이터 송신부로 구성됨. 회로도는 왼쪽에서부터 리튬 이온 배터리, 5V 승압 모듈, ESP32, 산소 센서 및 황화수소 센서의 순서로 배치됨.

- 보호구 착용 감지 모듈: 보호구 착용 감지부와 데이터 송신부로 구성됨. 회로도는 왼쪽에서부터 배터리, 5V 승압 모듈, ESP32,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온도 센서의 순서로 배치됨.


소프트웨어 설계

- 본체 모듈 수신 코드

2조수신코드1.jpg


2조수신코드2.jpg


- 유해가스 감지 모듈 송신 코드

2조송신코드1.jpg


- 보호구 착용 감지 모듈 송신 코드

2조송신코드2.jpg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프로토타입1.png 프로토타입2.png

프로토타입3.png 프로토타입4.png


포스터

포스터2조.jpg

관련사업비 내역서

2조개발사업비.jpg

완료작품의 평가

2조평가.jpg

향후계획

- 본체 모듈에 외부 안테나 설치, LR 모드 적용, 유선 케이블 연결 등 통신 성능 향상 방안을 적용하여 실제 작업 환경에 맞게 최적화를 수행함.

-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해가스를 고려하여 기존 가스 감지 모듈에 CO, Ar 등 추가적인 가스 센서를 부착하여 각 현장 상황에 맞게 활용성을 높임.

- 센서 DB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가스 감지 및 보호구 착용 모니터링의 정확성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