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nv

env wiki
Env202011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16일 (수) 01:25 판 (기술 로드맵)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밀웜을 이용한 폐 플라스틱 분해 공정 시스템 설계

(Design of waste plastic biodegradation process system using mealworm)


과제 팀명

RENV

지도교수

장서일 교수님

개발기간

2020년 9월 ~ 2020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78900** 장*태(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7890083** 김*훈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4300** 조*연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174300** 이*경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내용

개발 과제의 배경 및 효과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와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State of art

◇ 해외 기술 동향 유전자 조작을 통해 조작된 효소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해속도 향상 - 2016년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토양 박테리아의 가수분해 효소인 PETase가 발견. - PETase 자체로는 분해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다양한 돌연변이들이 연구. - PETase는 PET중간체인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ET)를 분해해 모노2-히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MHET)와 에틸렌 글리콜(EG)로 변환. - PETase에 비해 관련 연구가 적은 가수분해 효소인 MHETase는 MHET를 테레프탈레이트와EG로 분해. - MHETase의 특성을 여러 방면에서 탐구해 PETase와 결합해냈으며 결합체의 구조 변경을 통해 플라스틱 분해 속도가 가장 빠른 형태의 결합체 발견.

◇ 국내 기술 동향 PETase를 생산하는 녹조류 개발 - 선행된 연구로 규조류 중 하나인 파에도닥틸룸 트리코르누툼을 이용한 PETase생산이 있었으나 저온, 높은 염도, 영양원으로 실리카를 사용한다는 조건이 한계로 작용. - 녹조류 중 하나인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티가 PETase를 생산하도록 유전자 조작된 돌연변이(CC-124,CC-503)를 생성.

갈색거저리 애벌레로부터 분리된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해 방법 -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애벌레의 장내에서 분리되고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미생물을 제공.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chloride), PS(Polystyrene), PP(Polypropylene) 및 PE(Polyethylene)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플라스틱을 적정 배양 조건에서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저분자물질로 전환. -플라스틱 분해 활성을 갖는 미생물은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전처리 과정.

기술 로드맵

파일:스크린샷(594).PNG

특허조사

내용

특허전략

내용

관련 시장에 대한 분석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마케팅 전략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및 사회적 파급효과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조립도

조립도

내용

조립순서

내용

부품도

내용

제어부 및 회로설계

내용

소프트웨어 설계

내용

자재소요서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작품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내용

포스터

내용

특허출원번호 통지서

내용

개발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 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평가

내용

부록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내용

관련특허

내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소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