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땐 굴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IE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계사양)
(설계사양)
62번째 줄: 62번째 줄:
 
===설계사양===
 
===설계사양===
 
* 제품 요구사항
 
* 제품 요구사항
 
+
[[파일:5조요구사항.PNG]]
 
* 목적 계통도
 
* 목적 계통도
  

2019년 12월 19일 (목) 00:10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굴뚝효과를 활용한 저동력 공기정화 시스템

영문 : Low Powered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Stack Effect

과제 팀명

아니 땐 굴뚝

지도교수

오명도 교수님

개발기간

2019년 9월 ~ 2019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64300** 윤**(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44300** 정**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48600** 김**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64300** 조**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내용

개발 과제의 배경 및 효과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와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State of art

내용

기술 로드맵

내용

특허조사

내용

특허전략

내용

관련 시장에 대한 분석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마케팅 전략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및 사회적 파급효과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 제품 요구사항

5조요구사항.PNG

  • 목적 계통도
  • QFD
  • 평가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조립도

조립도

내용

조립순서

내용

부품도

직접 제작한 부품이 없으므로 생략.

제어부 및 회로설계

5조회로도.PNG


아두이노 우노를 사용해 제어하고, 브래드보드와 어댑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였다. 또한 모터의 출력을 감당하기 위해 모터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흡입 모터를 구동하였다. 내부의 CO2 센서와 외부의 풍속 센서값을 받아 아두이노 우노가 처리한 후에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소프트웨어 설계

5조소프트웨어.PNG

아두이노 우노를 사용해 제어하고, 브래드보드와 어댑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였다. 또한 모터의 출력을 감당하기 위해 모터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흡입 모터를 구동하였다. 내부의 CO2 센서와 외부의 풍속 센서값을 인식한 후에 아두이노 우노가 처리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때, 외부의 풍속이 0.5m/s 이상이거나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400ppm 이상일 경우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및 흡입 모터를 작동시켜 자동 개폐 장치가 구동되도록 설계하였다.

자동 개페 장치가 구동되어 출입구 쪽 환기구를 연 다음에 조금의 딜레이를 두고 천장 쪽 환기구가 열리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실내의 공기가 먼저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먼저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실내의 공기가 천장으로 빠져나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환기구가 완전히 열린 후에는 연돌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흡입 모터가 작동하도록 하여 외부의 풍속에 더해 내부의 연돌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하였다. 일정 시간이 지나 충분히 환기가 이뤄졌을 것이라 판단되면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고, 천장 쪽 환기구부터 닫히고 그 후에 출입구 쪽 환기구가 닫히도록 설계하였다.

자재소요서

5조자재소요서.PNG

결과 및 평가

완료작품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5조 프로토타입.jpg

포스터

5조 포스터.png

특허출원번호 통지서

내용

개발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 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평가

내용

부록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내용

관련특허

내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소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