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 팀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IE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팀원 및 개발기간)
(팀원 및 개발기간)
13번째 줄: 13번째 줄:
  
 
*개발기간
 
*개발기간
"":2017.09.01 ~ 2017. 12.22""
+
<strong>:2017.09.01 ~ 2017. 12.22</strong>
  
 
=서론=
 
=서론=

2017년 12월 15일 (금) 22:16 판

팀원 및 개발기간

  • 팀원
기계정보공학과 2012430009 박상선
기계정보공학과 2012430020 유환기
기계정보공학과 2012430022 이경열
기계정보공학과 2012430028 이종성
기계정보공학과 2012430033 전호열
  • 개발기간

:2017.09.01 ~ 2017. 12.22

서론

개발과제의 개요

개발과제요약

미세 먼지의 위험성이 높아진 현재 미세먼지 측정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미세먼지의 농도를 알 수 있는 방법은 기상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통해서 아는 방법과 직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알 수 있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방식은 광범위한 범위를 대략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우리 생활에 밀접한 연관을 가지지 못한다. 그런 이유로 미세먼지 측정기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우리 조는 조도 센서와 테이프의 접착력을 이용한 간단한 원리의 흡착성 미세먼지 측정기를 만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여 누구나 싼 가격에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개발 과제의 배경 및 효과

기존의 미세먼지 측정기는 가격이 저렴하지 않아 다양한 곳에 보급이 되지 않았다. 값비싼 측정기의 경우 미세먼지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는 있지만 가격 때문에 보급이 힘들다. 따라서 비교적 정확하지는 않지만 많은 곳에 보급할 수 있도록 값싼 미세먼지 측정기를 개발하려 한다. 이 장비를 가로등에 부착하여 가동시킨다면 도심의 미세먼지의 방향, 원인 등을 보다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보다 더 나은 미세먼지의 정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개발 과제의 목표와 내용

최대한 저렴하게 만들자는 개발 목표에 따라 가격을 최대한 저렴하게 만든다. 또한 단가는 저렴하여도 데이터에 신뢰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미세먼지 데이터 대비 오차율을 ±15%가 정도로 측정되도록 한다. 기존의 광산란 측정방식은 단가가 비싸지므로 새로운 측정방법의 메커니즘을 개발하여야 했고, 일정시간 동안 접착면에 접착되는 미세먼지의 양을 빛의 조도를 통해 측정하는 메커니즘을 구상하였다.

관련 기술의 현황

State of art

기술 로드맵

특허조사

특허전략

관련 시장에 대한 분석

경쟁제품 조사 비교

마케팅 전략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경제적 및 사회적 파급효과

구성원 및 추진체계

설계

설계사양

개념설계안

전체 구성도

개념설계 다이어그램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조립도

공기배출부 2-D 도면

공기배출부 3-D 도면

부품도

센서부

제어부

포집부

출력부

제어부 및 회로설계

소프트웨어 설계

자재소요서

결과 및 평가

완료작품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포스터

특허출원번호 통지서

개발사업비 내역서

완료 작품의 평가

향후평가

부록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관련특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