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스마투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IE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의 배경)
32번째 줄: 32번째 줄: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
2020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70대 이상 스마트폰 보급률은 전국민 92.3%의 절반 이하인 44.9%로 고령층의 스마트폰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전세계적으로 최상위권에 해당되나, 70대 이상의 고령층은 포함되지 않다는 것이다. 오늘날 국민 대다수가 정보화사회에 적응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초 연결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전체 인구의 15%인 고령층은 디지털 정보격차로 사회생활에 골치를 썩고 있다.
 +
 +
특히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타 세대보다 떨어지는 스마트 기기 활용능력을 가지고있다고 디지털 디바이스 실태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조사에 참여한 2000명의 65세 이상의 고령층 중62.1%만이 문자를 열람할 수 있다 밝혔고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및 설치는 오직 7.5%만 가능하다 응답했다. 연구원은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년가구의 스마트폰 활용능력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
최근 스마트폰에서 볼륨과 전원버튼 등 물리적인 버튼이 없어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원버튼과 인공지능 비서 빅스비 버튼과 통합했고 LG전자는 19년 4월 특허청으로부터 버튼 없는 스마트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물리 버튼을 없애는 것으로 디자인을 개선하고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을 취할 수 있으나, 조작이 불편해지고 실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정보화진흥청의 장노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령층이 스마트폰을 쓰지 않는 이유로 17.2%가 사용방법의 어려움을 지목했다. 효율성을 위한 스마트폰 발전방향이 오히려 정보격차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
 +
지금의 스마트폰 버튼은 전원버튼과 음향조절 버튼만으로 구성되며 직관적으로 눌러 바로 상호작용하는 다른 버튼을 지원하지 않는다. 과거 고령층이 활용 가능하던 2G 휴대폰이 제공하는 통화, 문자, 인터넷 등 버튼 하나를 누르는 것만으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호작용을 스마트폰은 쉽고 직관적인 활용방법으로 제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활용능력 개선에 동작을 쉽게 지시할 수 있는 추가 외장 버튼이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폰과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면 휴대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내용

2021년 12월 20일 (월) 14:18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스마트폰 버튼 악세서리

영문 : Smartphone button accessory

과제 팀명

스마투스

지도교수

신동헌 교수님

개발기간

2021년 9월 ~ 2021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64300** 김**(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64300** 문**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44300** 조**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74300** 김**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A1.png

본 과제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사용능력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나아가 노년층의 스마트폰 보급률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폰 추가버튼 하드웨어를 설계한다.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스마트폰 액세서리로 구성된 “외부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통화, 문자, 사진 등등의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제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과 스마트폰을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설계하고 이를 위한 동작 설정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2020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70대 이상 스마트폰 보급률은 전국민 92.3%의 절반 이하인 44.9%로 고령층의 스마트폰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전세계적으로 최상위권에 해당되나, 70대 이상의 고령층은 포함되지 않다는 것이다. 오늘날 국민 대다수가 정보화사회에 적응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초 연결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전체 인구의 15%인 고령층은 디지털 정보격차로 사회생활에 골치를 썩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타 세대보다 떨어지는 스마트 기기 활용능력을 가지고있다고 디지털 디바이스 실태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 조사에 참여한 2000명의 65세 이상의 고령층 중62.1%만이 문자를 열람할 수 있다 밝혔고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및 설치는 오직 7.5%만 가능하다 응답했다. 연구원은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년가구의 스마트폰 활용능력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근 스마트폰에서 볼륨과 전원버튼 등 물리적인 버튼이 없어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원버튼과 인공지능 비서 빅스비 버튼과 통합했고 LG전자는 19년 4월 특허청으로부터 버튼 없는 스마트폰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물리 버튼을 없애는 것으로 디자인을 개선하고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을 취할 수 있으나, 조작이 불편해지고 실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정보화진흥청의 장노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령층이 스마트폰을 쓰지 않는 이유로 17.2%가 사용방법의 어려움을 지목했다. 효율성을 위한 스마트폰 발전방향이 오히려 정보격차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스마트폰 버튼은 전원버튼과 음향조절 버튼만으로 구성되며 직관적으로 눌러 바로 상호작용하는 다른 버튼을 지원하지 않는다. 과거 고령층이 활용 가능하던 2G 휴대폰이 제공하는 통화, 문자, 인터넷 등 버튼 하나를 누르는 것만으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호작용을 스마트폰은 쉽고 직관적인 활용방법으로 제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활용능력 개선에 동작을 쉽게 지시할 수 있는 추가 외장 버튼이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폰과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면 휴대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