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최강 몬스터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IE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38번째 줄: 38번째 줄:
 
최근에 과학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에도 그러한 기술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축구의 VAR(비디오 판독), 테니스의 호크아이 같은 판정 보조 시스템이 그러한 예이다. 그리고 2022년 이데일리에서 발행한 기사에 따르면 이제 곧 야구에서도 로봇 심판을 사용할 계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학기술을 통해 스포츠의 한 부분이 로봇에 의해 자동화되어가는 것이다. 이에 야구의 파울볼을 수거하는 과정을 로봇으로 대체해보면 어떨까 생각하게 되었다.
 
최근에 과학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에도 그러한 기술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축구의 VAR(비디오 판독), 테니스의 호크아이 같은 판정 보조 시스템이 그러한 예이다. 그리고 2022년 이데일리에서 발행한 기사에 따르면 이제 곧 야구에서도 로봇 심판을 사용할 계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학기술을 통해 스포츠의 한 부분이 로봇에 의해 자동화되어가는 것이다. 이에 야구의 파울볼을 수거하는 과정을 로봇으로 대체해보면 어떨까 생각하게 되었다.
  
 +
[[파일:캡처01.PNG]]
  
 
<AI를 활용한 로봇 심판 원리>
 
<AI를 활용한 로봇 심판 원리>

2023년 12월 18일 (월) 08:25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파울 볼 자동 수거 시스템

영문 : Automatic Foul Ball Collection System

과제 팀명

최강 몬스터즈

지도교수

이광훈 교수님

개발기간

2023년 9월 ~ 2023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84300** 김*빈(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84300** 권*빈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84300** 김*형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84300** 신*훈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84300** 이*구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개요.PNG

야구에서는 볼보이가 페어볼을 파울볼로 착각하고 잡는 경우가 있어 경기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다른 종목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파울로 판정된 볼의 위치를 추적하여 로봇을 통해 수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한다. 이를 통해 볼보이의 역할을 로봇이 대신함으로써 볼보이가 파울볼을 미처 피하지 못해 몸에 맞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페어볼을 잘못 잡을 일이 없기에 경기에 차질이 생기지 않아 더욱 원활한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최근에 과학기술이 점점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에도 그러한 기술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축구의 VAR(비디오 판독), 테니스의 호크아이 같은 판정 보조 시스템이 그러한 예이다. 그리고 2022년 이데일리에서 발행한 기사에 따르면 이제 곧 야구에서도 로봇 심판을 사용할 계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학기술을 통해 스포츠의 한 부분이 로봇에 의해 자동화되어가는 것이다. 이에 야구의 파울볼을 수거하는 과정을 로봇으로 대체해보면 어떨까 생각하게 되었다.

캡처01.PNG

<AI를 활용한 로봇 심판 원리>

야구 경기에서는 페어볼과 파울볼이 존재한다. 페어볼은 내야 페어그라운드 안으로 들어온 공을 의미하고, 파울볼은 파울라인 바깥으로 나간 공을 의미한다. 파울볼을 잡는 사람들을 볼보이라고 하는데 볼보이가 간혹 페어볼을 파울볼로 착각하거나 파울볼이 볼보이 몸에 맞아 경기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프로젝트에서는 볼보이를 대신해 파울볼을 수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한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조립도
가. 조립도
본 프로젝트의 수거 로봇의 최종 모델링은 아래 사진과 같다.
Assemble 8.jpg
나. 조립 순서
1) 수거 로봇 지지대에 모터 조립
Assemble 1.png
2) 지지대와 팔 부분 조립
Assemble 2.png
3) 팔 부분과 손 부분 조립
Assemble 3.png
4) 로봇과 지지대 조립
Assemble 4.png
5) 로봇의 3층 부분과 2층 부분 조립
Assemble 5.png
부품도
1) 수거 로봇 지지대
Part 1.png
2) 수거 로봇 팔
Part 2.png
3) 수거 로봇 손
Part 3.png
4) 신호기 박스
Part 4.png
5) 신호기 뚜껑
Part 5.png
제어부 및 회로설계
1) 리모컨 송신부
Control circuit 1.png
2) 리모컨 수신부
Control circuit 2.png
3) 구동 및 전원부
Control circuit 3.png
4) 센서부
Control circuit 4.png
5) 로봇 팔
Control circuit 5.png
소프트웨어 설계
가. 사용시나리오
Scenario 1.png
심판이 경기 중에 발생한 파울을 판단하면, 신호기를 이용해서 메인 컴퓨터에 파울 발생했다는 신호를 RF 모듈을 통한 ROS 통신을 통해서 전달해 준다. 메인 컴퓨터는 받은 신호를 토대로 USB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카메라를 통해서 일정한 지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해 준다. 메인 컴퓨터에서는 OpenCV와 YOLO를 활용해서 야구공이 존재하는 구역에 대한 정보를 계산해 준다. ROS 통신을 이용해서 구역에 대한 정보 즉, 좌표를 로봇에 전달해 준다. 전달된 좌표로 로봇이 이동을 한다. 공의 근처에 이동한 로봇은 주위를 돌면서 야구공의 위치를 탐색하고, 허프 변환을 기반으로 야구공의 위치를 추적하여 자율주행으로 공을 찾아간다. 서보모터 제어를 통해, 야구공을 확보하고, 초기의 좌표를 수신 받아서 복귀한다.
Scenario 2.png
<시나리오에 따른 Flow Chart>
나. 기능별 알고리즘
1) 송신기-수신기 통신 알고리즘
Algorithm 1.png
2) YOLO 활용 야구공 인식
Algorithm 2.png
3) OpenCV 활용 야구공 위치 계산
Algorithm 1.png
4) 로봇 제어 알고리즘1(야구공이 위치한 좌표로의 이동)
Algorithm 41.pngAlgorithm 42.pngAlgorithm 43.png
Algorithm 44.png
5) 로봇 제어 알고리즘2(야구공 추적)
Algorithm 5.png
6) 로봇 제어 알고리즘3(야구공 수거 후 복귀)
Algorithm 6.png
7) 주요 ROS 노드 정리
Algorithm 7.png
8) 주요 Topic 정리
Algorithm 8.png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