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조-버저비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IE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32번째 줄: 32번째 줄: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파일:그림2.jpg]]
+
[[파일:3-그림2.jpg]]
[[파일:그림3.jpg]]
+
[[파일:3-그림3.jpg]]
 
  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기다렸던 버스가 정차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경기신문 최근 기사 내의 인터뷰에 따르면, 도민 A씨는 “어두운 정류장에서 긴 시간 기다렸으나 버스가 서지 않고 그냥 지나친 적이 종종 있다. 그런 장소에서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고 말했다. B씨도 “외곽지역은 버스가 손을 흔들지 않으면 사람이 서 있어도 그냥 지나간다.”며 “’시내버스 승차벨 서비스’가 보편화되면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고 답했다. 실제로 무정차 문제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있었던 문제로, 제대로 된 해결책이나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최근 경기도 지자체에서 ‘경기 버스 정보’ 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정차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제대로 된 홍보 효과가 미비하여 시민들이 존재 여부를 몰라 이용을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스마트 폰이라는 기기에 한정이 되어 스마트 폰 활용이 어려운 연령층의 사용자들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제로 대부분의 버스정류장의 치안 시스템은 CCTV 하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기다렸던 버스가 정차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경기신문 최근 기사 내의 인터뷰에 따르면, 도민 A씨는 “어두운 정류장에서 긴 시간 기다렸으나 버스가 서지 않고 그냥 지나친 적이 종종 있다. 그런 장소에서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고 말했다. B씨도 “외곽지역은 버스가 손을 흔들지 않으면 사람이 서 있어도 그냥 지나간다.”며 “’시내버스 승차벨 서비스’가 보편화되면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고 답했다. 실제로 무정차 문제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있었던 문제로, 제대로 된 해결책이나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최근 경기도 지자체에서 ‘경기 버스 정보’ 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정차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제대로 된 홍보 효과가 미비하여 시민들이 존재 여부를 몰라 이용을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스마트 폰이라는 기기에 한정이 되어 스마트 폰 활용이 어려운 연령층의 사용자들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제로 대부분의 버스정류장의 치안 시스템은 CCTV 하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도심 외곽 지역에서 시민의 치안 및 안전 관리에는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도심 외곽에 집중하고 있는 시스템인 만큼 이용객이 혼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범죄 및 사고 예방까지 고려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무정차 문제와 안전 문제를 동시에 고려한 기능이 추가된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도심 외곽 지역에서 시민의 치안 및 안전 관리에는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도심 외곽에 집중하고 있는 시스템인 만큼 이용객이 혼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범죄 및 사고 예방까지 고려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무정차 문제와 안전 문제를 동시에 고려한 기능이 추가된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2021년 12월 18일 (토) 23:46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무정차 방지 및 승객의 안전을 고려한 정류장 승차 시스템

영문 : Smart Bus-Stop System for Passengers

과제 팀명

버저비터

지도교수

성민영 교수님

개발기간

2021년 9월 ~ 2021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XXXXX024 오**(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XXXXX022 유**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XXXXX002 고**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XXXXX039 한**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무정차 방지 및 승객의 안전을 고려한 사용자 친화적인 정류장 승차 시스템은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객과 버스 기사들의 편의성과 안전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무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객은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며 시스템에 지정된 번호를 통해 가장 가까운 버스에 해당 버스를 이용할 이용객이 있음을 알린다. 또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서 이용객의 안전을 파악하고 가까운 공공기관에 사고 알림을 알리게 된다. 이를 통해서 도심 외곽 쪽에서 계속 대두되는 문제인 무정차 문제와 일반적으로 취약한 치안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한다. 시스템은 기준 이하의 전송속도를 가지며 UX를 고려해 직관적이고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미지처리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3-그림2.jpg 파일:3-그림3.jpg

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기다렸던 버스가 정차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경기신문 최근 기사 내의 인터뷰에 따르면, 도민 A씨는 “어두운 정류장에서 긴 시간 기다렸으나 버스가 서지 않고 그냥 지나친 적이 종종 있다. 그런 장소에서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고 말했다. B씨도 “외곽지역은 버스가 손을 흔들지 않으면 사람이 서 있어도 그냥 지나간다.”며 “’시내버스 승차벨 서비스’가 보편화되면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고 답했다. 실제로 무정차 문제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있었던 문제로, 제대로 된 해결책이나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최근 경기도 지자체에서 ‘경기 버스 정보’ 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정차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제대로 된 홍보 효과가 미비하여 시민들이 존재 여부를 몰라 이용을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스마트 폰이라는 기기에 한정이 되어 스마트 폰 활용이 어려운 연령층의 사용자들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제로 대부분의 버스정류장의 치안 시스템은 CCTV 하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도심 외곽 지역에서 시민의 치안 및 안전 관리에는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도심 외곽에 집중하고 있는 시스템인 만큼 이용객이 혼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범죄 및 사고 예방까지 고려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무정차 문제와 안전 문제를 동시에 고려한 기능이 추가된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