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커피버억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신소재공학과 캡스톤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div>__TOC__</div> ==프로젝트 개요== === 기술개발 과제 === ''' 국문 : ''' 신소재종합설계 ''' 영문 : ''' ===과제 팀명=== 커피버억스 ===지도교...)
 
(개발 과제의 개요)
30번째 줄: 30번째 줄: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개발 과제 요약====
내용
+
◇ 환경오염과 많은 처리비용 등의 문제를 유발하는 커피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
제시한다.
 +
◇ 커피찌꺼기 건조 장치와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커피 전문점과 수거 업체 간의 네트워크를 구
 +
축한다.
 +
◇ 커피 전문점, 수거 업체, 최종 수여자(바이오매스 개발 업체 등)에게 모두 이득이 되는 시스템을 만
 +
든다.
 
====개발 과제의 배경====
 
====개발 과제의 배경====
내용
+
A. 개발 과제의 배경
 +
◇ 국내 커피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며, 2018년 기준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353잔에 달한다. ◇ 이에 따라 발생하는 커피찌꺼기 량도 매년 증가하여 한 해 약 27만 톤이 발생한다.
 +
◇ 커피찌꺼기 처리과정 중 매립, 소각으로 인해 토양 오염, 이산화탄소 발생 등 많은 환경오염이 발생
 +
한다.
 +
◇ 또한 지자체의 예산이 처리과정에 쓰이고 있어 연 7억 원 정도의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
 +
◇ 최근 바이오매스 에너지,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는 해결책이 제시되어 일부 지자체와 기업에서
 +
사업을 진행 중이다.
 +
◇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가 커피찌꺼기 원료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
◇ 커피찌꺼기의 보관 시 곰팡이가 발생한다는 문제와 수거업체의 효율적인 수거 시스템이 미흡하여
 +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
 +
B. 개발 과제의 효과
 +
◇ 커피전문점: 커피찌꺼기 배출량 및 처리비용을 감소시킨다. 방향제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다. 친환
 +
경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
◇ 커피찌꺼기 전문 수거 업체: 찌꺼기의 효율적인 유통 및 수거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찌꺼기 건조가
 +
선행됨에 따라 인건비와 유통비 등을 감소시킨다.
 +
◇ 바이오매스 연구기업: 원료인 찌꺼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을 활성화한다.
 +
◇ 지자체: 쓰레기 수거, 매립 등에 쓰이는 비용을 감소시킨다.
 +
◇ 환경: 토양오염과 이산화탄소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바이오매스라는 신재생 에너지로의 가능성을 얻
 +
는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내용
+
A. 개발 과제의 목표
 +
◇ 커피찌꺼기 양 알림 어플리케이션 및 건조 장치를 설계 및 개발한다.
 +
◇ 커피 전문점에서 보관하는 데에 따른 문제점 해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수거업체, 커피 전문점
 +
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수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바꾼다.
 +
◇ 커피찌꺼기의 최종 수여자인 바이오매스 에너지로의 원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
B. 개발 과제의 내용
 +
◇ 커피 찌꺼기를 제작한 장치에 넣어 건조시키며 장시간 보관을 가능케 한다.
 +
◇ 이 때 태양전지 등의 방법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
◇ 커피찌꺼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한다.
 +
◇ 일정 무게가 초과하면 이를 알림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게 하여 수거 업체를 통한 수거를 진행한
 +
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2020년 6월 28일 (일) 03:13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신소재종합설계

영문 :

과제 팀명

커피버억스

지도교수

정재필 교수님

개발기간

2020년 3월 ~ 2020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1545000** 황*학(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1545000** 문*환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1545000** 오*람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1545000** 장*현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1645000** 김*희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환경오염과 많은 처리비용 등의 문제를 유발하는 커피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커피찌꺼기 건조 장치와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커피 전문점과 수거 업체 간의 네트워크를 구

축한다.

◇ 커피 전문점, 수거 업체, 최종 수여자(바이오매스 개발 업체 등)에게 모두 이득이 되는 시스템을 만

든다.

개발 과제의 배경

A. 개발 과제의 배경 ◇ 국내 커피 소비량이 매년 증가하며, 2018년 기준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353잔에 달한다. ◇ 이에 따라 발생하는 커피찌꺼기 량도 매년 증가하여 한 해 약 27만 톤이 발생한다. ◇ 커피찌꺼기 처리과정 중 매립, 소각으로 인해 토양 오염, 이산화탄소 발생 등 많은 환경오염이 발생

한다.

◇ 또한 지자체의 예산이 처리과정에 쓰이고 있어 연 7억 원 정도의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 ◇ 최근 바이오매스 에너지,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는 해결책이 제시되어 일부 지자체와 기업에서

사업을 진행 중이다.

◇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가 커피찌꺼기 원료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 커피찌꺼기의 보관 시 곰팡이가 발생한다는 문제와 수거업체의 효율적인 수거 시스템이 미흡하여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
B. 개발 과제의 효과

◇ 커피전문점: 커피찌꺼기 배출량 및 처리비용을 감소시킨다. 방향제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다. 친환

경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 커피찌꺼기 전문 수거 업체: 찌꺼기의 효율적인 유통 및 수거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찌꺼기 건조가

선행됨에 따라 인건비와 유통비 등을 감소시킨다.

◇ 바이오매스 연구기업: 원료인 찌꺼기의 원활한 공급으로 바이오매스 에너지 생산을 활성화한다. ◇ 지자체: 쓰레기 수거, 매립 등에 쓰이는 비용을 감소시킨다. ◇ 환경: 토양오염과 이산화탄소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바이오매스라는 신재생 에너지로의 가능성을 얻

는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A. 개발 과제의 목표 ◇ 커피찌꺼기 양 알림 어플리케이션 및 건조 장치를 설계 및 개발한다. ◇ 커피 전문점에서 보관하는 데에 따른 문제점 해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수거업체, 커피 전문점

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수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바꾼다.

◇ 커피찌꺼기의 최종 수여자인 바이오매스 에너지로의 원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B. 개발 과제의 내용 ◇ 커피 찌꺼기를 제작한 장치에 넣어 건조시키며 장시간 보관을 가능케 한다. ◇ 이 때 태양전지 등의 방법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 커피찌꺼기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한다. ◇ 일정 무게가 초과하면 이를 알림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게 하여 수거 업체를 통한 수거를 진행한

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