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신소재공학과 캡스톤위키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과학과 Capstone project) |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Capstone project)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div style="margin:0px 0px 40px 20px"> | <div style="margin:0px 0px 40px 20px"> | ||
* [[2019학년도 1학기]] | * [[2019학년도 1학기]] | ||
+ | * [[2019학년도 2학기]] | ||
+ | * [[2020학년도 1학기]] | ||
+ | * [[2020학년도 2학기]] | ||
+ | * [[2021학년도 1학기]] | ||
+ | * [[2021학년도 2학기]] | ||
+ | * [[2022학년도 1학기]] | ||
+ | * [[2022학년도 2학기]] | ||
+ | * [[2023학년도 1학기]] | ||
+ | * [[2023학년도 2학기]] | ||
+ | * [[2024학년도 1학기]] | ||
+ | * [[2024학년도 2학기]] | ||
</div> | </div> | ||
== <strong>프로그램 교육목표</strong>== | == <strong>프로그램 교육목표</strong>== | ||
<div style="margin:0px 0px 40px 30px"> | <div style="margin:0px 0px 40px 30px"> | ||
− | A. | + | A. 신소재공학 전문지식을 기초로 한 창의성 함양<br> |
− | B. | + | B. 공학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실용적인 신소재공학 엔지니어 양성<br> |
− | C. | + | C. 인류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봉사정신을 갖춘 신소재공학 엔지니어 양성<br> |
</div> | </div> | ||
== <strong>프로그램 학습성과 (졸업시점에 갖추어야 할 능력) </strong>== | == <strong>프로그램 학습성과 (졸업시점에 갖추어야 할 능력) </strong>== | ||
<div style="margin:0px 0px 40px 20px"> | <div style="margin:0px 0px 40px 20px"> | ||
− | * PO1( | + | * PO1(공학기반) 수학을 포함한 기초과학 및 공학 이론과 정보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신소재공학의 문제와 연계하여 사고할 수 있는 능력 |
− | * PO2( | + | * PO2(실험능력) 신소재공학 관련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 또는 논리적 가설에 대해 실험을 통하여 검정할 수 있는 능력 |
− | * PO3(문제정의) | + | * PO3(문제정의) 소재의 구조-물성-공정-분석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문제들을 발굴하여 정의하고 이를 적절한 수식을 사용하여 모델링 할 수 있는 능력 |
− | * PO4( | + | * PO4(도구활용) 최신 과학기술 정보, 연구 결과 등을 수집하고 적절한 소프트웨어, 설계기법, 측정분석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신소재공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 | * PO5(설계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 + | * PO5(설계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신소재의 조성, 공정, 분석방법, 또는 소재를 기반으로 한 공학시스템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 | * PO6( | + | * PO6(팀웍능력) 팀 체제로 진행되는 공학 프로젝트에서 신소재공학 전공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명확히 파악하고,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 | * PO7( | + | * PO7(의사소통) 신소재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융복합 연구개발 환경에서 타 연구자들의 견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 | * PO8(영향이해) | + | * PO8(영향이해) 신소재공학의 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한 문제해결 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 | * PO9(직업윤리) | + | * PO9(직업윤리) 신소재공학도로서 직업적 소명의식을 갖추고 책임감과 사회적 윤리에 기초하여 판단을 내리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
− | * PO10( | + | * PO10(자기계발) 지속적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신소재공학 관련 최신 동향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학도구, 외국어 등의 소양을 자기주도적으로 함양하는 능력 |
</div> | </div> | ||
</div> | </div> |
2024년 11월 18일 (월) 23:27 기준 최신판
목차
[숨기기]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Capstone wiki 소개
|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Capstone project
프로그램 교육목표
A. 신소재공학 전문지식을 기초로 한 창의성 함양
B. 공학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실용적인 신소재공학 엔지니어 양성
C. 인류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봉사정신을 갖춘 신소재공학 엔지니어 양성
프로그램 학습성과 (졸업시점에 갖추어야 할 능력)
- PO1(공학기반) 수학을 포함한 기초과학 및 공학 이론과 정보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신소재공학의 문제와 연계하여 사고할 수 있는 능력
- PO2(실험능력) 신소재공학 관련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 또는 논리적 가설에 대해 실험을 통하여 검정할 수 있는 능력
- PO3(문제정의) 소재의 구조-물성-공정-분석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문제들을 발굴하여 정의하고 이를 적절한 수식을 사용하여 모델링 할 수 있는 능력
- PO4(도구활용) 최신 과학기술 정보, 연구 결과 등을 수집하고 적절한 소프트웨어, 설계기법, 측정분석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신소재공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 PO5(설계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신소재의 조성, 공정, 분석방법, 또는 소재를 기반으로 한 공학시스템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PO6(팀웍능력) 팀 체제로 진행되는 공학 프로젝트에서 신소재공학 전공자로서 자신의 역할을 명확히 파악하고,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PO7(의사소통) 신소재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융복합 연구개발 환경에서 타 연구자들의 견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
- PO8(영향이해) 신소재공학의 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한 문제해결 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PO9(직업윤리) 신소재공학도로서 직업적 소명의식을 갖추고 책임감과 사회적 윤리에 기초하여 판단을 내리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
- PO10(자기계발) 지속적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신소재공학 관련 최신 동향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학도구, 외국어 등의 소양을 자기주도적으로 함양하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