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신소재공학과 캡스톤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99번째 줄: 99번째 줄:
 
  ◇ 알약 변성을 막기 위한 밀폐 기능
 
  ◇ 알약 변성을 막기 위한 밀폐 기능
 
*마케팅 전략 제시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
[[파일:급조표2.png]]
 +
최근 건강과 관련된 키워드가 급부상하며 국내 의약품 시장 및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성장세에 있다.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의약품을 보관하는 방법에도 많은 관심이 생기고 있다. 매일 먹어야 하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종류가 많아지며 소형 의약품 보관함에 복용 시간마다 소분하여 보관하는 사람들이 있다. 본 발명품은 매일 영양제를 소분하여 먹는 사람들을 위해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기존 소형 의약품 보관함보다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알림기능을 넣어 복용시간을 기기 자체와 스마트폰을 통해 알려준다.
 +
기존 휴대형 알약 보관함이나 개인용 스마트 알약 보관함은 기존 약통을 활용할 수 없는 구조여서 옮기는 과정에서의 오염이 우려된다. 본 발명품은 기존 약통을 그대로 기기에 부착하여 앞서 언급한 오염의 우려 없이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또한 기존 보관함들은 밀폐가 되지 않아 습기를 비롯한 오염에 취약하다. 본 발명품은 고무 패킹을 사용하여 알약통과 기기의 접합부를 밀폐시켜 장시간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
본 발명품은 알림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복용할 수 있는 시간대에 맞춰 스마트폰과 연동해 적절한 복용 시간에 사용자가 알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자체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알람 시간 설정과 복용에 관한 알림을 받아볼 수 있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2021년 12월 15일 (수) 22:20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IoT 접목 스마트 알약 디스펜서

영문 : IoT smart pill dispenser

과제 팀명

급조

지도교수

홍완식 교수님

개발기간

2021년 9월 ~ 2021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부·과 20154500** 정** (팀장)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부·과 20154500** 김**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부·과 20154500** 김**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부·과 20154500** 김**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부·과 20184500** 이**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본 설계에서는 IoT(Internet of Things)를 접목한 스마트 알약 디스펜서를 개발하였다. 기존 알약 통을 이용하면서 모듈 형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알약의 오염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개발 목적이다. 먼저 사용자가 일일이 뚜껑을 열고 약을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섭취 시 넣고 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알약을 한 알 씩 선별하여 배출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C-type 단자를 활용하여 전원 공급을 하며, 니켈판 접지를 활용한 병렬식 회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하나에서 최대 3개까지 모듈을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보관 중인 알약의 정보를 나타내며, 스피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복용 시간을 놓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복용 시간에 맞춰 기기나 연동된 스마트폰에서 알림이 울리도록 설계하였다.

개발 과제의 배경

기존 알약 보관함의 경우, 기존 약통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약통에서 일정량을 소분하여 옮겨 보관 및 사용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알약을 기존 약통에서 알약 보관함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 약통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약을 옮길 필요가 없어지고 그로 인하여 알약을 옮기는 과정에서의 오염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기존 알약 보관함은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알약을 보관하려면 그만큼의 수용이 가능한 크기가 큰 제품들을 사용했어야 했다. 하지만 도중에 섭취하는 알약의 종류가 변할 경우, 불필요하게 큰 제품을 계속 사용하거나 작은 사이즈의 제품을 다시 구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용하는 알약의 종류에 따라서 원하는 만큼 모듈 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중에 섭취하는 알약의 종류가 줄어들게 되면, 그에 맞추어 모듈 수를 조절하면 기존보다 공간적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공간적 활용도가 증가하게 된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IoT를 접목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알약 복용 알림 기능을 편리하게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 기존 약통을 활용하면서, 알약을 한 알 씩 디스펜싱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 알약 보관함을 스마트폰을 통해 제어하고, 맞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 별도의 전선을 구매할 필요가 없도록 가정에 흔히 존재하는 C-type 충전기를 활용하여 전원공급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Shin, H. W., & Kim, J. S. (2019). Development of IoT-based Smart Medication Box Design to Improve Reagent Effici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5(1), 245–253.
◇ 본 연구에서는 IoT 기술을 활용한 환자의 복약 효율성을 높이는 복약함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먼저 기존 연구사례에 대한 데스크리서치를 진행하고 디자인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하였고, 스마트 헬스케어 복약함 시장에서 예상되는 고객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하여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인터뷰, 고객 여정맵,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통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여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여 디자인 시제품을 개발하였다. 

급조1.png 급조2.png 급조3.png

◇ Fig. 15는 개인의 복약 여부 확인 및 관리를 위한 제품 디자인이다. 제품 상단에 NFC 기능을 탑재하여 약 복용 시 스마트폰 어플과 연동하도록 개발하였다. Fig. 16과 17은 요양원과 다가구 집에서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 복약함으로 내부에 요일별 약을 구별하는 카트리지를 구성하였고, 와이파이 및 NFC 기능을 탑재하여 복약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 특허조사

◇ 휴대용 알약 케이스 10-2015-0036217

급조4.png

◇ 본 발명은 알약의 보관을 편리하게 이루면서도 사용자가 알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을 편리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알약 복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알약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에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측에는 설정된 알람 시간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알람부가 구비된 박스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결합공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알약이 분활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알약수용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 특허전략

◇ 본 발명은 앞서 조사한 특허와 다르게 휴대용이 아닌 거치형 알약 디스펜서로 기존의 알약통을 활용할 수 있어 오염의 위험성이 줄어들며, 사용자에게 알약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고, 복용 시간에 맞춰 알림을 통해 직관적으로 알려준다. 기기 자체의 알림 기능뿐만 아니라 IoT 연동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도 알림을 받아볼 수 있고 설정 또한 자유롭고 간단하다는 점이 기존의 제품들과 차별화시킨 특허전략이다.
◇ 본 발명은 기존의 알약 디스펜서와는 다르게 모듈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수의 모듈을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점이 기존의 제품들과 차별화시킨 특허전략이다.

  • 기술 로드맵

2012년도

◇ 광학 센서와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복약함 : Blister holder provided with means designed to detect the number of extracted products from the blister and with GSM/GPRS communication means to remotely dialogue with a control center  PCT/IT2012/000048
◇ 복약 여부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복약함 : Medicine dispensing record system  13676074

2013년도

◇ 약품 무게 센서가 적용된 복약함 : 스마트 복약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10-2013-0099740
◇ 복약함 디자인권 화 : 복약기 및 약 지급 방법 10-2013-0073617

2014년도

◇ 복약 이력관리 기술이 적용된 복약함 :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0-2014-0139998
◇ 오용⦁과복용 방지 기술이 적용된 복약함 : SELF LEARNING MEDICATION STORAGE DEVICE  14272377

2015년도

◇ 서버 및 ICT 기술이 적용된 복약함 : 약 복용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약 수납 장치 10-2015-0019500

2016년도

◇ 복약 배출 지급 기술이 적용된 복약함 : 전자 복약장치 10-2016-0019438

2017년도

◇ 연속 포장된 약봉지 적재 기술이 적용된 복약함 : 봉지약 스마트 공급장치 10-2017-0065155

2021년도 (최신동향)

◇ 박재환, 이현정, 권남규, “효율적인 복약 관리를 위한 IoT 기반 스마트 약상자”,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9권 제1호 (2021. 1), 309-312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급조표1.png

◇ IoT접목스마트알약디스펜서는 지정된 시간에 장치와 스마트폰에서도 알람
◇ 복용 시 알약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확인 가능
◇ 알약을 소분할 필요 없이 기존 약통을 그대로 사용 가능
◇ 장기간 보관 가능
◇ 알약 변성을 막기 위한 밀폐 기능
  • 마케팅 전략 제시

급조표2.png

최근 건강과 관련된 키워드가 급부상하며 국내 의약품 시장 및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성장세에 있다.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의약품을 보관하는 방법에도 많은 관심이 생기고 있다. 매일 먹어야 하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종류가 많아지며 소형 의약품 보관함에 복용 시간마다 소분하여 보관하는 사람들이 있다. 본 발명품은 매일 영양제를 소분하여 먹는 사람들을 위해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기존 소형 의약품 보관함보다 효과적으로 보관하고, 알림기능을 넣어 복용시간을 기기 자체와 스마트폰을 통해 알려준다.

기존 휴대형 알약 보관함이나 개인용 스마트 알약 보관함은 기존 약통을 활용할 수 없는 구조여서 옮기는 과정에서의 오염이 우려된다. 본 발명품은 기존 약통을 그대로 기기에 부착하여 앞서 언급한 오염의 우려 없이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보관함들은 밀폐가 되지 않아 습기를 비롯한 오염에 취약하다. 본 발명품은 고무 패킹을 사용하여 알약통과 기기의 접합부를 밀폐시켜 장시간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품은 알림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복용할 수 있는 시간대에 맞춰 스마트폰과 연동해 적절한 복용 시간에 사용자가 알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자체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편리하게 알람 시간 설정과 복용에 관한 알림을 받아볼 수 있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