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찬듀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TE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17번째 줄: 17번째 줄: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4028 황영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4028 황영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40?? 안승찬
+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4011 안승찬
 
 
  
 
==서론==
 
==서론==

2018년 6월 28일 (목) 06:28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수서역SRT 주차날씨 맑음..

영문 : Suseo Station - SRT, parking weather fine ..

과제 팀명

찬찬듀오

지도교수

김영찬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4028 황영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4011 안승찬

서론

수서역SRT의 공영주차장은 현재 평일 낮 시간대(AM11:00 - PM05:00)에 지속적으로 주차장이 만차되어서 이용객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런 수서역의 문제는 초기 설계 당시 주차 수요가 과소 추정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수서역SRT의 주차정책은 서울역KTX 처럼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고 주차장은 되도록 적게 공급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허나 수서역의 연계대중교통 인프라는 서울역의 절반 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 이런 수서역SRT의 연계교통인프라는 대중교통이 매우 불편한 광명역KTX와 편리한 서울역KTX의 중간 수준이다. 대중교통인프라가 서울역에 상대적으로 부족한 수서역SRT의 주차 한면 당 일일이용객 수는 약 76면/대/일 이며, 이는 서울역의 78대/대/일과 비교해서 거의 비슷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수서역SRT를 무작정 대중교통 장려 정책을 펴고, 최소 필요한 만큼의 주차장도 공급하지 않는 현 상황은 이용객들이 모든 불편을 떠 안고 있다. 예를 들어 경기 동남부 지역 (EX 양평, 하남, 남양주) 이용객은 집에서 수서역SRT까지 대중교통과 자가용 접근 시간을 비교했을 때, 적게는 1.5배에서 많게는 2배까지 시간이 차이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짐도 많은 여행객 특성상 이런 이용객들에게 단지 대중교통만을 장려하는 것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정책이다. 더불어 수서역SRT의 공영주차장을 제외하고는 주변에 대안 주차장도 마땅히 없어서 자가용이용객들의 불편은 더 가중되고 있다. 우리는 현 수서역SRT의 주차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을 이번 주제로 삼았다. 올바른 수요추정을 바탕으로 이용객들에게 '최소한으로 주차할 권리'를 나눠 줄 것이다. 또 무작정 주차장 수요를 늘리는 것이 아닌 미국의 선진 주차정책인 SFpark의 수요에 따른 변동요금제 개념을 도입하여 필요이상으로 발생하는 수요는 억제하고 '언제나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수서역SRT'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론

내용


결론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