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찬듀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TE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본론)
(본론)
27번째 줄: 27번째 줄:
  
 
==본론==
 
==본론==
내용
+
현장조사
1. 현장조사
 
  
[그림 1] 수서역 지도                                                            출처 : 다음지도
+
가. 수서정거장 부지
가. 수서정거장 부지
 
  
 
ㅇ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201-5번지 일원
 
ㅇ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201-5번지 일원
 +
 
ㅇ 지역지구 : 자연녹지지역(개발제한구역)
 
ㅇ 지역지구 : 자연녹지지역(개발제한구역)
 +
 
ㅇ 대지면적 : 127,032,55  
 
ㅇ 대지면적 : 127,032,55  
 +
 
ㅇ 건물면적 : 7,941,24
 
ㅇ 건물면적 : 7,941,24
  
나. 수서역 SRT 주차장
 
ㅇ 법정규모 : 87대
 
ㅇ 주차대수 : 614대 (장애인 26대 포함)
 
  
  
 +
나. 수서역 SRT 주차장
  
 +
ㅇ 법정규모 : 87대
  
 +
ㅇ 주차대수 : 614대 (장애인 26대 포함)
  
구분
 
총활동인구
 
상근
 
이용
 
 
출발
 
98
 
21938
 
22036
 
도착
 
-
 
23723
 
23723
 
합계
 
98
 
45661
 
45759
 
[표 2] 수서역SRT 활동인구 분석                                          출처 : 수도권고속철도 본보고서
 
다. 활동인구 분석
 
  
 +
다. 수서역 SRT 주차장 외 주변주차장
  
 +
수서역에서 북서쪽으로 300m 떨어진 위치에 수서공영주차장이 위치한다.
  
바. 수담분담률 분석
+
수서역에서 수서공영주차장까지 보행시간은 약 15분 정도 소요된다.
 
+
 
+
두 주차장의 요금체계를 비교했을 때 수서역 SRT 주차장은 장기주차자에게 유리하게 수서공영주차장은 단기주차자에게 유리하도록 요금을 책정했음을 알 수 있다.
구분
 
승용차
 
택시
 
버스
 
전철
 
수서정거장
 
9.94%
 
18.63%
 
22.45%
 
48.98%
 
[표 3] 수서역SRT 접근교통 수담분담률(장기)                                출처 : 수도권고속철도 본보고서
 
 
 
 
 
마. 수서역 SRT 주차장 외 주변주차장
 
수서역에서 북서쪽으로 300m 떨어진 위치에 수서공영주차장이 위치한다. 수서역에서 수서공영주차장까지 보행시간은 약 15분 정도 소요된다. 두 주차장의 요금체계를 비교했을 때 수서역 SRT 주차장은 장기주차자에게 유리하게 수서공영주차장은 단기주차자에게 유리하도록 요금을 책정했음을 알 수 있다.
 
 
 
 
 
주차장
 
주차면수
 
30분 기준요금
 
1일 주차권
 
월주차권
 
수서공영주차장
 
653면
 
1500원
 
72000원
 
120000원
 
수서역SRT주차장
 
614면
 
3000원
 
25000원
 
없음
 
[표 4] 수서공영주차장 및 수서역SRT주차장 요금 비교
 
  
  
111번째 줄: 62번째 줄:
 
   
 
   
 
가. 이용객 측면
 
가. 이용객 측면
[그림2]는 수서역의 이용객 증가 추이를 나타내는데 수서역의 이용객은 2017년 수서역 개통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예상이용객은 약 46000(명/일)이다. 하지만 현재 2018년에도 수서역은 주차공급 부족으로 많은 이용객들이 차량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림4]는 시간대별 수서역의 주차장 혼잡도를 표시한 그림으로 여기서 매우혼잡은 수서역의 주차공간이 만차가 되는 시간대를 나타낸 것이다. 9:00 ~ 17:00에 사이에 주차공간이 매우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토요일 시간대는 21:00까지 매우 혼잡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수서역의 이용객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수서역의 이용객은 2017년 수서역 개통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예상이용객은 약 46000(명/일)이다. 하지만 현재 2018년에도 수서역은 주차공급 부족으로 많은 이용객들이 차량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현장조사 결과 9:00 ~ 17:00에 사이에 주차공간이 매우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토요일 시간대는 21:00까지 매우 혼잡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 수서역 SRT 이용객 추이
 
 
 
[그림 ] 낮 시간대의 만차된 수서역 모습
 
 
 
 
 
[그림 ] 시간대별 수서역 SRT 주차장 혼잡도
 
 
 
 
  
  
126번째 줄: 68번째 줄:
 
수서역과 연결된 대중교통은 지하철 3호선과 분당선 그리고 수서역 앞 버스정류장이 전부이다. 이는 지하철 1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및 복합버스환승센터를 보유한 서울역과 비교하면 매우 불리한 입지 조건이며 지하철 3호선 및 분당선 정거장과 약 800m 정도 떨어져 있어 보행시간이 약 13분 정도 걸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수서역과 연결된 대중교통은 지하철 3호선과 분당선 그리고 수서역 앞 버스정류장이 전부이다. 이는 지하철 1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및 복합버스환승센터를 보유한 서울역과 비교하면 매우 불리한 입지 조건이며 지하철 3호선 및 분당선 정거장과 약 800m 정도 떨어져 있어 보행시간이 약 13분 정도 걸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수서역 SRT의 공용주차장 규모는 약 600대로 광명역 KTX역의 약 2200대 규모에 27% 수준이지만 요금은 일일 기준 약 3배 가량 비싸다. 또한 서울역의 주차장 규모 1045대에 비해서도 규모가 작지만 요금은 일일 기준 서울역과 동일한 요금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서역의 대중교통 인프라는 광명역과 서울역 사이지만 주차공급면수는 이 둘보다 적으며 요금부과 방식도 시간과 상관없이 비싼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수서역이 주차공간이 충분하지도 않고 대중교통이 편리하지도 않으므로 주차공간을 늘리거나 연계대중교통개선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수서역 SRT의 공용주차장 규모는 약 600대로 광명역 KTX역의 약 2200대 규모에 27% 수준이지만 요금은 일일 기준 약 3배 가량 비싸다. 또한 서울역의 주차장 규모 1045대에 비해서도 규모가 작지만 요금은 일일 기준 서울역과 동일한 요금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서역의 대중교통 인프라는 광명역과 서울역 사이지만 주차공급면수는 이 둘보다 적으며 요금부과 방식도 시간과 상관없이 비싼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수서역이 주차공간이 충분하지도 않고 대중교통이 편리하지도 않으므로 주차공간을 늘리거나 연계대중교통개선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
수서역 SRT는 기존 서울역 및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KTX를 이용하는데 접근이 어려운 강남권, 경기 남부 및 동부 지역 이용객을 대상으로 세워졌다.
 
 
수서역SRT
 
서울역KTX
 
광명역KTX
 
주차면수(대)
 
614
 
1045
 
2189
 
일일 이용요금(원)
 
25000
 
25000
 
9000~12000
 
연계 대중교통
 
지하철 3호선
 
분당선
 
버스정류장
 
 
 
지하철 1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버스터미널
 
버스환승센터
 
 
 
지하철 1호선
 
버스정류장
 
[표 5] 주요 고속철도 인프라 및 이용요금비교
 
 
 
 
 
수서역 SRT는 기존 서울역 및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KTX를 이용하는데 접근이 어려운 강남권, 경기 남부 및 동부 지역 이용객을 대상으로 세워졌다.([그림 5] http://www.kr.or.kr/sub/info.do?m=061202#viewDetail_3 참고.
 
 
) 상대적으로 접근이 편리한 강남권 이용객 외에도 경기도 하남이나 양평에서 이를 이용하기 위해 오는 이용객들도 많다. 이 중 고속철도 특성상 장거리 여행으로 짐이 많은 이용객들도 많다. 상대적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경기권 이용객들은 부득이하게 승용차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때 주차공급이 부족하다면 차량 이용자는 큰 불편을 느낄 수 밖에 없다.  
 
) 상대적으로 접근이 편리한 강남권 이용객 외에도 경기도 하남이나 양평에서 이를 이용하기 위해 오는 이용객들도 많다. 이 중 고속철도 특성상 장거리 여행으로 짐이 많은 이용객들도 많다. 상대적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경기권 이용객들은 부득이하게 승용차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때 주차공급이 부족하다면 차량 이용자는 큰 불편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경기도 하남에서 출발하여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의 경우에는 승용차의 소요시간은 약 25분이고 대중교통의 소요시간은 약 55분이다([그림6]). 2개의 통행수단의 소요시간을 비교했을 때 승용차의 소요시간이 더 짧기 때문에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많은 짐을 들고 이동해야 하는 역이용자의 관점으로 봤을 때도 승용차를 이용하여 주차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예를 들어 경기도 하남에서 출발하여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의 경우에는 승용차의 소요시간은 약 25분이고 대중교통의 소요시간은 약 55분이다([그림6]). 2개의 통행수단의 소요시간을 비교했을 때 승용차의 소요시간이 더 짧기 때문에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많은 짐을 들고 이동해야 하는 역이용자의 관점으로 봤을 때도 승용차를 이용하여 주차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2018년 6월 28일 (목) 08:18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수서역SRT 주차날씨 맑음..

영문 : Suseo Station - SRT, parking weather fine ..

과제 팀명

찬찬듀오

지도교수

김영찬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 황*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387**** 안*찬

서론

수서역SRT의 공영주차장은 현재 평일 낮 시간대(AM11:00 - PM05:00)에 지속적으로 주차장이 만차되어서 이용객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런 수서역의 문제는 초기 설계 당시 주차 수요가 과소 추정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수서역SRT의 주차정책은 서울역KTX 처럼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고 주차장은 되도록 적게 공급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허나 수서역의 연계대중교통 인프라는 서울역의 절반 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 이런 수서역SRT의 연계교통인프라는 대중교통이 매우 불편한 광명역KTX와 편리한 서울역KTX의 중간 수준이다. 대중교통인프라가 서울역에 상대적으로 부족한 수서역SRT의 주차 한면 당 일일이용객 수는 약 76면/대/일 이며, 이는 서울역의 78대/대/일과 비교해서 거의 비슷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수서역SRT를 무작정 대중교통 장려 정책을 펴고, 최소 필요한 만큼의 주차장도 공급하지 않는 현 상황은 이용객들이 모든 불편을 떠 안고 있다. 예를 들어 경기 동남부 지역 (EX 양평, 하남, 남양주) 이용객은 집에서 수서역SRT까지 대중교통과 자가용 접근 시간을 비교했을 때, 적게는 1.5배에서 많게는 2배까지 시간이 차이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짐도 많은 여행객 특성상 이런 이용객들에게 단지 대중교통만을 장려하는 것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정책이다. 더불어 수서역SRT의 공영주차장을 제외하고는 주변에 대안 주차장도 마땅히 없어서 자가용이용객들의 불편은 더 가중되고 있다. 우리는 현 수서역SRT의 주차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을 이번 주제로 삼았다. 올바른 수요추정을 바탕으로 이용객들에게 '최소한으로 주차할 권리'를 나눠 줄 것이다. 또 무작정 주차장 수요를 늘리는 것이 아닌 미국의 선진 주차정책인 SFpark의 수요에 따른 변동요금제 개념을 도입하여 필요이상으로 발생하는 수요는 억제하고 '언제나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수서역SRT'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론

현장조사

가. 수서정거장 부지

ㅇ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201-5번지 일원

ㅇ 지역지구 : 자연녹지지역(개발제한구역)

ㅇ 대지면적 : 127,032,55

ㅇ 건물면적 : 7,941,24


나. 수서역 SRT 주차장

ㅇ 법정규모 : 87대

ㅇ 주차대수 : 614대 (장애인 26대 포함)


다. 수서역 SRT 주차장 외 주변주차장

수서역에서 북서쪽으로 300m 떨어진 위치에 수서공영주차장이 위치한다.

수서역에서 수서공영주차장까지 보행시간은 약 15분 정도 소요된다.

두 주차장의 요금체계를 비교했을 때 수서역 SRT 주차장은 장기주차자에게 유리하게 수서공영주차장은 단기주차자에게 유리하도록 요금을 책정했음을 알 수 있다.



2. 연구의 필요성

가. 이용객 측면 수서역의 이용객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수서역의 이용객은 2017년 수서역 개통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예상이용객은 약 46000(명/일)이다. 하지만 현재 2018년에도 수서역은 주차공급 부족으로 많은 이용객들이 차량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현장조사 결과 9:00 ~ 17:00에 사이에 주차공간이 매우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토요일 시간대는 21:00까지 매우 혼잡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나. 인프라 측면 수서역과 연결된 대중교통은 지하철 3호선과 분당선 그리고 수서역 앞 버스정류장이 전부이다. 이는 지하철 1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및 복합버스환승센터를 보유한 서울역과 비교하면 매우 불리한 입지 조건이며 지하철 3호선 및 분당선 정거장과 약 800m 정도 떨어져 있어 보행시간이 약 13분 정도 걸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수서역 SRT의 공용주차장 규모는 약 600대로 광명역 KTX역의 약 2200대 규모에 27% 수준이지만 요금은 일일 기준 약 3배 가량 비싸다. 또한 서울역의 주차장 규모 1045대에 비해서도 규모가 작지만 요금은 일일 기준 서울역과 동일한 요금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서역의 대중교통 인프라는 광명역과 서울역 사이지만 주차공급면수는 이 둘보다 적으며 요금부과 방식도 시간과 상관없이 비싼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수서역이 주차공간이 충분하지도 않고 대중교통이 편리하지도 않으므로 주차공간을 늘리거나 연계대중교통개선이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수서역 SRT는 기존 서울역 및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KTX를 이용하는데 접근이 어려운 강남권, 경기 남부 및 동부 지역 이용객을 대상으로 세워졌다. ) 상대적으로 접근이 편리한 강남권 이용객 외에도 경기도 하남이나 양평에서 이를 이용하기 위해 오는 이용객들도 많다. 이 중 고속철도 특성상 장거리 여행으로 짐이 많은 이용객들도 많다. 상대적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경기권 이용객들은 부득이하게 승용차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때 주차공급이 부족하다면 차량 이용자는 큰 불편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경기도 하남에서 출발하여 수서역에서 SRT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의 경우에는 승용차의 소요시간은 약 25분이고 대중교통의 소요시간은 약 55분이다([그림6]). 2개의 통행수단의 소요시간을 비교했을 때 승용차의 소요시간이 더 짧기 때문에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많은 짐을 들고 이동해야 하는 역이용자의 관점으로 봤을 때도 승용차를 이용하여 주차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경기지역 이용객들이 열차를 타야 하는데 주차공간이 부족해서 주차공간을 찾지 못한다면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지만 대중교통은 불편하고 주차를 하려고 하지만 주차공급이 부족해 주차를 하지 못하는 이용객들을 위해서 주차공급 증가는 꼭 필요하다.

결론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