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ou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TE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구성원 소개)
(본론)
31번째 줄: 31번째 줄:
 
이와 같이, 많은 수요가 발생될 예정이고 대규모의 복합환승센터가 보행중심의 건물로 건축될 것 이라면 건설 전 예측된 환승 소요시간이 실제로 실현이 되는 지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마련되어있는 환승 동선에 대한 문제점을 먼저 분석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된 환승 소요시간(그림3 참조)이 실제로 구현되는 지와,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에 대한 개선안의 제시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동선을 간결화 시켜 환승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많은 수요가 발생될 예정이고 대규모의 복합환승센터가 보행중심의 건물로 건축될 것 이라면 건설 전 예측된 환승 소요시간이 실제로 실현이 되는 지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마련되어있는 환승 동선에 대한 문제점을 먼저 분석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된 환승 소요시간(그림3 참조)이 실제로 구현되는 지와,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에 대한 개선안의 제시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동선을 간결화 시켜 환승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론==
+
==연구범위==
내용
+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일대 지하공간>
  
 +
· 삼성역~봉은사역까지 연장 630m, 폭 70m, 길이 51m(지하6층)
 +
· 건축연면적 16만m2
 +
-지하시설규모: 총 41만m2(영동대로 14.6만m2 COEX 16.5만m2, 현대차GBC      10만m2)
 +
-잠실야구장 30배, 63빌딩 2.5배 규모의 지하공간 지역
 +
 +
<시간적 범위>
 +
 +
· 2040년 10월 17일 오후 6-8 피크타임 확인
  
 
==결론==
 
==결론==
 
내용
 
내용

2018년 6월 28일 (목) 08:39 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00000000..

영문 : 00000000..

과제 팀명

Blackout

지도교수

김영찬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XXX0** 정수빈(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XXX0** 전주리

연구의 목적

본 연구지에는 철도 5개 노선의 통합역사, 대규모 버스 환승시설, 주차장, 상업시설 등이 위치하게 된다. 서울시는 해당센터를 사람 중심의 대중교통 HUB로 조성할 예정이라고 말하고 있다.

COEX 및 현대차 GBC센터가 구축된다면 더욱 많은 환승 및 보행수요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상 1층부터 지하 6층까지 크게는 7개의 층을 오가야하므로 기본적인 환승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혼잡도 발생할 것이다.

또한 광역 고속철도의 수요는 22만명, 도시철도의 수요는 18만명, 버스의 수요는 18만명으로 총 약 58만명에 달한다. 세종시의 인구가 28만명인 것을 미루어보아 소도시의 약 2배에 달하는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많은 수요가 발생될 예정이고 대규모의 복합환승센터가 보행중심의 건물로 건축될 것 이라면 건설 전 예측된 환승 소요시간이 실제로 실현이 되는 지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마련되어있는 환승 동선에 대한 문제점을 먼저 분석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된 환승 소요시간(그림3 참조)이 실제로 구현되는 지와,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에 대한 개선안의 제시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동선을 간결화 시켜 환승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일대 지하공간>

· 삼성역~봉은사역까지 연장 630m, 폭 70m, 길이 51m(지하6층) · 건축연면적 16만m2 -지하시설규모: 총 41만m2(영동대로 14.6만m2 COEX 16.5만m2, 현대차GBC 10만m2) -잠실야구장 30배, 63빌딩 2.5배 규모의 지하공간 지역

<시간적 범위>

· 2040년 10월 17일 오후 6-8 피크타임 확인

결론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