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ou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TE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선안 및 기대결과)
134번째 줄: 134번째 줄:
 
==개선안 및 기대결과==
 
==개선안 및 기대결과==
  
  : 본 연구지는 크게는 7개의 층을 오가야하므로, 환승에 있어 병목, 상충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앞서 살펴본 바 있다.  
+
  : 본 연구지는 크게는 7개의 층을 오가야하므로, 환승에 있어 병목, 상충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앞서 살펴본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진들은 문제구간으로 선정한 지하 1층의 upper와 보행수단의 위치를 재고려하였다. 첫 번째, 지하 1층 upper의 라이트 빔과 버스 정류장간 횡단보도 설치이다. 이를 설치함으로 인해서, 보행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행 동선을 간결화 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어떤 엘리베이터를 선택하든지, 버스정류장과 이어져있어 보다 빠른 이동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지하 3층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해당 층은 통합환승 홀로 마련이 되어있다. 따라서, 지하 3층의 center에 24인승의 대형 엘리베이터 추가설치를 통해서 같은 통행 목적의 환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 설계도안으로 24인승의 대형엘리베이터는 위례-신사선과 지하 3층간의 이동간에만 설치 되어있으며 타 엘리베이터는 10인승이다. 이에 지하 3층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빠른 환승을 돕는다.
따라서 본 연구진들은 문제구간으로 선정한 지하 1층의 upper와 보행수단의 위치를 재고려하였다.
 
첫 번째, 지하 1층 upper의 라이트 빔과 버스 정류장간 횡단보도 설치이다. 이를 설치함으로 인해서, 보행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행 동선을 간결화 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어떤 엘리베이터를 선택하든지, 버스정류장과 이어져있어 보다 빠른 이동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지하 3층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해당 층은 통합환승 홀로 마련이 되어있다. 따라서, 지하 3층의 center에 24인승의 대형 엘리베이터 추가설치를 통해서 같은 통행 목적의 환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 설계도안으로 24인승의 대형엘리베이터는 위례-신사선과 지하 3층간의 이동간에만 설치 되어있으며 타 엘리베이터는 10인승이다. 이에 지하 3층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빠른 환승을 돕는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서울시의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이트
 
  서울시의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이트
 
   : http://sid.seoul.go.kr/front/kr/index.do
 
   : http://sid.seoul.go.kr/front/kr/index.do

2018년 6월 28일 (목) 08:49 판

프로젝트 개요

과제 팀명

Blackout

지도교수

김영찬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XXX0** 정수빈(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XXX0** 전주리

연구배경

서울시는 광역도시 간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기존의 1도심을 3도심으로 확대한바 있다.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분담하고 전문화를 위하여 ‘서울미래 100년 도시계획의 기반 마련’ 과 ‘2030 서울플랜’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지는 3도심중 강남지역에 해당하며, 삼성역·영동대로 일대를 중심으로 현대차 GBC부지 개발, 잠실운동장 MICE 사업 추진, 도로 지하화, 한강·탄천 수변공간 조성 등 국제교류 복합지구 조성사업 추진으로 입지적 중요성과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보여진다.

이 연구지의 지하공간에는 철도역사를 비롯한 버스환승정류장, 주차장, 시민편의 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따라서, 이용자의 편리성과 쾌적성을 고려하여 안전한 사람 중심의 이용환경이 구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고 보행중심의 대규모 복합센터에서 환승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지, 혹은 더욱 편리하고 빠른 동선을 구축하고자한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지에는 철도 5개 노선의 통합역사, 대규모 버스 환승시설, 주차장, 상업시설 등이 위치하게 된다. 서울시는 해당센터를 사람 중심의 대중교통 HUB로 조성할 예정이라고 말하고 있다.

COEX 및 현대차 GBC센터가 구축된다면 더욱 많은 환승 및 보행수요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상 1층부터 지하 6층까지 크게는 7개의 층을 오가야하므로 기본적인 환승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혼잡도 발생할 것이다.

또한 광역 고속철도의 수요는 22만명, 도시철도의 수요는 18만명, 버스의 수요는 18만명으로 총 약 58만명에 달한다. 세종시의 인구가 28만명인 것을 미루어보아 소도시의 약 2배에 달하는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많은 수요가 발생될 예정이고 대규모의 복합환승센터가 보행중심의 건물로 건축될 것 이라면 건설 전 예측된 환승 소요시간이 실제로 실현이 되는 지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마련되어있는 환승 동선에 대한 문제점을 먼저 분석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된 환승 소요시간(그림3 참조)이 실제로 구현되는 지와,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에 대한 개선안의 제시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동선을 간결화 시켜 환승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일대 지하공간

· 삼성역~봉은사역까지 연장 630m, 폭 70m, 길이 51m(지하6층) · 건축연면적 16만m2 -지하시설규모: 총 41만m2(영동대로 14.6만m2 COEX 16.5만m2, 현대차GBC 10만m2) -잠실야구장 30배, 63빌딩 2.5배 규모의 지하공간 지역

시간적 범위

· 2040년 10월 17일 오후 6-8 피크타임 확인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본 연구지의 보행을 확인하기 위해 ‘VISSIM’을 사용할 예정이다.


① 문제점 예측 ② VISSIM을 통한 연구지의 가상 FLATFORM을 구축 ③ 실제 예상 DATA 대입 ④ 발생되는 최대 환승 시간 확인 및 예측 값과 비교 ⑤ 개선 후, 재 SIMULATION ⑥ 추가적인 시나리오 실시

연구내용

1. 층별 구성

1F 중앙광장 B1F UPPER 버스환승정류장 B1F 공공/상업시설 -미술관/박물관/홍보관/상업시설 등


B2F B3F 지하3층 주차장 -버스114대 및 승용차는 장애인주차 등 82대 확보 B4F 지하4층 광역철도 승강장 -KTX 동북부 연장 -GTX-A,C B5F 위례~신사선 대합실 B6F 위례~신사선 승강장


2. 보행수단

① RAMP 1ramp/center 2.0m or more in width 1/18 degree or less in slope

② ELEVATOR 34EA/ each floor Floor area more than 1.6m x 1.4

③ ESCALATOR 26EA/ each floor Accessible location 0.8m or more in width 30 degree or less in slope

3. 현 설계도안의 SIMULATION 결과값

  • 예측 소요 시간
- 최대 환승 시간 : 7분 12초
위례-신사 봉은사역 ~ 버스 정류장 
- 최소 환승 시간 : 3분 26초
위례-신사 삼성역 ~ 2호선 삼성역
  • SIMULATION을 통한 환승 소요시간

VISSIM을 통하여 SIMULATION을 한 결과 나타나는 최대 환승 구간은 위례-신사 봉은사역 ~ 버스 정류장으로 예측된 구간과 동일하였다. 하지만 이 때, 소요되는 환승시간은 예측된 값보다 2분 15초 지체된 9분 27초로 나타났다.




4. 보행 문제점 종류

본 연구진들은 환승 소요시간의 격차를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정하였다.


(1). 지하 1층 upper의 횡단보도의 부재

: 지하 1층 UPPER에는 버스 정류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해당 층의 중앙에는 건물 지하에 빛을 비추도록 라이트 빔이 설치되어있다. 철도에서 하차한 승객들은 버스로 환승하기 위하여 윗 층으로 올라온다. 이 때, 라이트 빔 내부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승객들은 해당 구역과 버스 정류장간에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환승에 혼선을 겪는다. 이에 따라서, 혼잡이 발생하고 보행 동선에 불편을 겪게 된다.


(2). 통행목적에 따른 보행 동선 고려 부족

: 지하 1층과 2층은 공공 및 상업시설에 해당하는 층이다. 하지만, 위례-신사선에서 버스정류장으로 환승할 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는 지하 1층에 마련되어 있어 환승객은 지하 1층에서 하차 후, 중앙으로 이동, 엘리베이터 탑승 순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진들은 환승객과 일반 보행자들이 서로 다른 통행 목적을 가지고 이동하므로 상충으로 이어질 수 있고 보았다.

개선안 및 기대결과

: 본 연구지는 크게는 7개의 층을 오가야하므로, 환승에 있어 병목, 상충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앞서 살펴본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진들은 문제구간으로 선정한 지하 1층의 upper와 보행수단의 위치를 재고려하였다. 첫 번째, 지하 1층 upper의 라이트 빔과 버스 정류장간 횡단보도 설치이다. 이를 설치함으로 인해서, 보행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보행 동선을 간결화 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어떤 엘리베이터를 선택하든지, 버스정류장과 이어져있어 보다 빠른 이동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지하 3층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해당 층은 통합환승 홀로 마련이 되어있다. 따라서, 지하 3층의 center에 24인승의 대형 엘리베이터 추가설치를 통해서 같은 통행 목적의 환승객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 설계도안으로 24인승의 대형엘리베이터는 위례-신사선과 지하 3층간의 이동간에만 설치 되어있으며 타 엘리베이터는 10인승이다. 이에 지하 3층에 대형 엘리베이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빠른 환승을 돕는다.

참고자료

서울시의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이트
 : http://sid.seoul.go.kr/front/kr/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