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안전지킴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TE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본론)
(본론)
 
33번째 줄: 33번째 줄:
  
 
[[파일:위험도로산출.PNG]]
 
[[파일:위험도로산출.PNG]]
[[파일:Example.jpg]]
 
  
 
==결론==
 
==결론==

2018년 6월 30일 (토) 18:45 기준 최신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제목: 도로 위험도 산정을 통한 위험물 수송차량 안전경로 지정

과제 팀명

도로안전지킴이

지도교수

이승재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874030 임동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4XXX0** 김성현

연구배경

현재 위험물 운송차량의 경우 체계적인 관리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경남 창원의 위험물차량 터널 앞 사고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위험물 분류현황을 살펴보았을때 위험물이 9개로 분류되는데 그 중 경유, 휘발유가 속해 있는 제 4류 위험물이 가장 비율이 높았고 위험하다고 판단했다. 현재 국내의 경우 위험물 운송경로 지정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또한 위험도를 산정할때 있어 등급제 관리를 제안하였다. 매트릭스로 위험도를 나타내는 사례를 참고 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위험도를 관리하고 가능한 위험도를 낮춰야하는 구간 A,B구간과 허용가능 구간인 C구간으로 나누었다. A,B 구간은 ALARP구간으로 가능한 한 위험도를 낮게 관리하여야 하는 구간임을 의미한다. 또한 미국의 경로제한 사례와 한국의 사례를 비교해보았다.

본론

대상지를 인천으로 설정하였다. 그 이유는 인천에 원유 최다 수입 업체 위치, 국내 최대 정유공장이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ARCGIS를 이용하여 인구밀도와 인구노출규모를 고려하였다. 인구노출규모는 도로에 200M반경을 설정하였는데 이는 위험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범위라 생각하여 가정하였다. 인구밀도와 인구노출규모를 토대로 위험도등급 A,B,C중 어디에 속하는지 알아 볼 수 있도록 지도에 표시하였다. 또 현재 인천 도심은 위험화물차량 통행제한이 되어 있는데 추가로 통행제한을 해야 하는 지역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대터널에 대하여 위험도를 분석하여 추가로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통행경로 지정 예시를 통해 실제 사례로 적용해보았다.

위험도로산출.PNG

결론

1. Matrix 및 사회적 위험도 모델을 이용하여 위험물 차량 통행 안전도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2. Alarp모델에 따른 사회적 위험도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 GIS를 활용해 통행제한구역을 설정해야 하는 곳을 한번에 볼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4. 체계적인 위험물 차량 관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