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walk, two walk"의 두 판 사이의 차이

TE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프로젝트 개요== === 기술개발 과제 === ''' 국문 : ''' 00000000.. ''' 영문 : ''' 00000000.. ===과제 팀명=== To walk, two walk ===지도교수=== 김영찬 교...)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개요==
 
=== 기술개발 과제 ===
 
=== 기술개발 과제 ===
''' 국문 : ''' 00000000..
+
''' 국문 : ''' 보행자를 위한 2단횡단보도 표준화
  
''' 영문 : ''' 00000000..
+
''' 영문 : ''' Standardization of stagged pedestrian crossings for Pedestrians
  
 
===과제 팀명===
 
===과제 팀명===
15번째 줄: 15번째 줄:
  
 
===구성원 소개===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XXX0** 한세영(팀장)
+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8740** 한세영(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XXX0** 김우석
+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48740** 김우석
  
  
==서론==
+
==연구배경 및 필요성==
내용
+
: 2단 횡단보도 정의
 +
광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2단 횡단보도는 보행자 교통섬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보행자는 2단 횡단보도에서 두 번에 거쳐 나누어지는 신호를 따라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한다. 2단 횡단보도는 단일로에 설치되는가 교차로에 설치되는가에 따라 형태를 달리한다. 단일로는 오른쪽으로 꺾인 형태를, 교차로는 왼쪽으로 꺾인 형태를 보인다.
 +
: 2단 횡단보도 도입배경
 +
우리나라의 경우 2단 횡단보도의 초기 도입목적은 차량을 위해서였다. 부도로의 차량 minimum green time을 줄이기 위해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영동대로(13~15차로) 등의 광로를 일반 횡단보도로 운영하게 되면 횡단보도의 신호시간이 굉장히 길어진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는, 상대적으로 교통량이 적은 부도로의 차량 신호시간이 주도로의 신호시간보다도 길어지는 모순된 상황이 발생한다. 즉 2단 횡단보도는 부도로의 차량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횡단보도를 2개로 나누는 시설이다.
 +
: 2단 횡단보도의 운영현황
 +
우리나라의 2단 횡단보도는 차량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판단근거는 다음 세가지이다.
  
 +
*부족한 보행자 횡단시간
 +
*양방향 보행자 대기시간 차이
 +
*무단횡단의 유발
 +
: 보행자를 위한 2단 횡단보도 표준화의 필요성
 +
차량 중심의 2단 횡단보도 운영으로 생겨난 문제점은 보행환경 개선을 방해하는 요인들이고 심지어는 보행자의 안전까지도 위협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차량중심의 운영이라는 명목하에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위협을 더이상 모른체 넘길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우리 연구진은 보행자 중심의 2단 횡단보도 표준현시를 제안하려고 한다.
  
==본론==
+
==연구목표==
내용
 
  
 +
우리의 연구 목표는 보행자를 위한 2단 횡단보도의 표준안 제안이다. 기존의 차량중심의 2단 횡단보도 운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행자에게 유리하게 2단 횡단보도를 표준화하려고 한다.
  
==결론==
+
==연구범위==
내용
+
: 2단 횡단보도 형태 범위
 +
우리 연구의 범위는 다양한 형태의 2단 횡단보도 중 다음을 범위로 삼는다.
 +
*교차로의 주도로 2단 횡단보도
 +
*왼쪽으로 꺾여있는 형태의 2단 횡단보도
 +
*신호를 두 번에 나누어 부여하는 2단 횡단보도
 +
:표준화 항목 범위
 +
이 연구에서는 2단 횡단보도의 시설과 설계에 대한 표준화는 다루지 않고 신호운영측면에서의 표준화만을 다룬다.
 +
:표준화 적용 범위
 +
현장조사를 한 대부분의 교차로들이 광로였다는 점에서(영동대로 기준 13~15차로) 앞으로 제안할 표준현시는 13~15차로 범위의 교차로에 적용된다.
 +
 
 +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
: 연구방법
 +
*보행자를 우선시한 표준신호현시 작성
 +
*차량을 고려한 표준신호현시 수정
 +
*기존 교차로의 신호현시와 표준현시의 비교
 +
: 표준현시
 +
(4현시, 선좌회전 기준) 본 연구의 표준현시는 비첨두시간대와 첨두시간대에 다르게 적용된다.
 +
*신호시간 산정 
 +
표준현시의 신호시간은 보행자 최소녹색시간 식을 통해서 산정한다.
 +
* 비첨두표준현시 중 4현시의 56초라는 부도로 신호시간을 첨두시간대에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 차량지체의 큰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첨두시간대에는 부도로의 신호시간을 줄이되, 처리하지 못한 우회전 교통량, 직진 교통량을 처리할 5현시의 신호시간을 추가로 부여한다. (판넬 참고)
 +
: 대기시간 차이
 +
* 비첨두 표준현시
 +
NB 73초(대안평균) → 35초, SB  119초(대안평균) → 43초
 +
* 첨두 표준현시
 +
NB : 73초(대안평균) → 41초, SB : 119초(대안평균) → 103초
 +
: TRANSIT 7F
 +
* 기준교차로 선정
 +
영동대로의 교차로 중 연속된 3개의 교차로 선정
 +
코엑스교차로, 삼성역교차로, 휘문고교교차로
 +
* 차량지체와 보행자 대기시간
 +
첨두시간 차량지체 2.8% 증가, 비첨두시간 차량지체 4.1% 증가
 +
보행자 대기시간 첨두, 비첨두 각각 50% 내외의 감소
 +
 
 +
==연구의 기대결과==
 +
* 보행자 대기시간 확보로 안전한 보행환경 구축
 +
* 양방향 보행자 대기시간 차이 해결
 +
* 보행자와 차량 모두에게 효율적인 운영

2018년 6월 28일 (목) 07:08 기준 최신판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보행자를 위한 2단횡단보도 표준화

영문 : Standardization of stagged pedestrian crossings for Pedestrians

과제 팀명

To walk, two walk

지도교수

김영찬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8740** 한세영(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48740** 김우석


연구배경 및 필요성

2단 횡단보도 정의
광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2단 횡단보도는 보행자 교통섬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보행자는 2단 횡단보도에서 두 번에 거쳐 나누어지는 신호를 따라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한다. 2단 횡단보도는 단일로에 설치되는가 교차로에 설치되는가에 따라 형태를 달리한다. 단일로는 오른쪽으로 꺾인 형태를, 교차로는 왼쪽으로 꺾인 형태를 보인다. 
2단 횡단보도 도입배경
우리나라의 경우 2단 횡단보도의 초기 도입목적은 차량을 위해서였다. 부도로의 차량 minimum green time을 줄이기 위해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영동대로(13~15차로) 등의 광로를 일반 횡단보도로 운영하게 되면 횡단보도의 신호시간이 굉장히 길어진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는, 상대적으로 교통량이 적은 부도로의 차량 신호시간이 주도로의 신호시간보다도 길어지는 모순된 상황이 발생한다. 즉 2단 횡단보도는 부도로의 차량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안된 횡단보도를 2개로 나누는 시설이다.
2단 횡단보도의 운영현황

우리나라의 2단 횡단보도는 차량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판단근거는 다음 세가지이다.

  • 부족한 보행자 횡단시간
  • 양방향 보행자 대기시간 차이
  • 무단횡단의 유발
보행자를 위한 2단 횡단보도 표준화의 필요성
차량 중심의 2단 횡단보도 운영으로 생겨난 문제점은 보행환경 개선을 방해하는 요인들이고 심지어는 보행자의 안전까지도 위협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차량중심의 운영이라는 명목하에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위협을 더이상 모른체 넘길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우리 연구진은 보행자 중심의 2단 횡단보도 표준현시를 제안하려고 한다.

연구목표

우리의 연구 목표는 보행자를 위한 2단 횡단보도의 표준안 제안이다. 기존의 차량중심의 2단 횡단보도 운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행자에게 유리하게 2단 횡단보도를 표준화하려고 한다. 

연구범위

2단 횡단보도 형태 범위
우리 연구의 범위는 다양한 형태의 2단 횡단보도 중 다음을 범위로 삼는다.
  • 교차로의 주도로 2단 횡단보도
  • 왼쪽으로 꺾여있는 형태의 2단 횡단보도
  • 신호를 두 번에 나누어 부여하는 2단 횡단보도
표준화 항목 범위
이 연구에서는 2단 횡단보도의 시설과 설계에 대한 표준화는 다루지 않고 신호운영측면에서의 표준화만을 다룬다.
표준화 적용 범위
현장조사를 한 대부분의 교차로들이 광로였다는 점에서(영동대로 기준 13~15차로) 앞으로 제안할 표준현시는 13~15차로 범위의 교차로에 적용된다.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연구방법
  • 보행자를 우선시한 표준신호현시 작성
  • 차량을 고려한 표준신호현시 수정
  • 기존 교차로의 신호현시와 표준현시의 비교
표준현시
(4현시, 선좌회전 기준) 본 연구의 표준현시는 비첨두시간대와 첨두시간대에 다르게 적용된다.
  • 신호시간 산정

표준현시의 신호시간은 보행자 최소녹색시간 식을 통해서 산정한다.

  • 비첨두표준현시 중 4현시의 56초라는 부도로 신호시간을 첨두시간대에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 차량지체의 큰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첨두시간대에는 부도로의 신호시간을 줄이되, 처리하지 못한 우회전 교통량, 직진 교통량을 처리할 5현시의 신호시간을 추가로 부여한다. (판넬 참고)
대기시간 차이
  • 비첨두 표준현시

NB 73초(대안평균) → 35초, SB 119초(대안평균) → 43초

  • 첨두 표준현시

NB : 73초(대안평균) → 41초, SB : 119초(대안평균) → 103초

TRANSIT 7F
  • 기준교차로 선정

영동대로의 교차로 중 연속된 3개의 교차로 선정 코엑스교차로, 삼성역교차로, 휘문고교교차로

  • 차량지체와 보행자 대기시간

첨두시간 차량지체 2.8% 증가, 비첨두시간 차량지체 4.1% 증가 보행자 대기시간 첨두, 비첨두 각각 50% 내외의 감소

연구의 기대결과

  • 보행자 대기시간 확보로 안전한 보행환경 구축
  • 양방향 보행자 대기시간 차이 해결
  • 보행자와 차량 모두에게 효율적인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