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이제 TOP(Transportation fOr People)

TE wiki
2018test12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29일 (금) 07:3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서울역 환승체계 및 보행환경 개선

영문 : The transfer system and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at Seoul Station.

과제 팀명

서울역 이제 TOP(Transportation fOr People)이다.

지도교수

이수범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4XXX0** 지**(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2015XXX0** 조**

서론

내용

1. 연구주제 :

 서울역 환승체계 및 보행환경 개선방안

2. 연구목적 :

 과거에는 자동차중심의 교통이었지만, 대중교통 수단의 주행속도가 증가하고 복합개발로 인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그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률이 높아지며 자동차 중심에서 대중교통 중심으로 교통 패러다임이 변화했다.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의 교통 연계체계 구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앙역은 서울역이다. 기존의 비효율적이고 복잡한 환승체계에서 벗어나 보행자를 위한 교통 환승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현 서울역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신창 급행열차,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1,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tx가 존재하고 있다. 
 정부는 수색광명 광역철도, GTX –A,B, 신안산선, 신분당선 총 5개 신설노선을 서울역에 구축할 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 서울역을 통과하는 노선이 증가하면 서울역 이용객도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기존 서울역 환승체계 문제점 및 보행환경을 개선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현 서울역은 지하 7층에 공항철도가 존재하고 지상 1층에 KTX가 존재하는 등 노선의 비효율적인 위치로 인해 환승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평일 첨두 시간에 환승시간을 직접 측정해본 결과 20대 성인 여성의 평균 걸음으로 4호선과 공항철도의 환승시간 9분 20초, 1호선과 공항철도의 환승시간 8분 7초, 
 KTX와 경의선의 환승시간 6분 17초로 측정되었다. 교통약자나 짐을 들고 있는 승객의 경우에는 그 시간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승객수, 승객들의 상충횟수, 긴 환승거리등으로 인해 승객들이 느끼는 편의성 및 서비스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서울의 요통의 요충지이자 
 많은 노선이 교차하는 서울역의 환승체계 및 보행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3. 연구목표 :

(1) 모든 노선의 지하화 (2) 수직 환승 체계 구축 (3) 지상 보행로 구축 (4) 대중교통 이용률 증진




본론

내용


결론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