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E_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상지 현황)
(개발 과제의 개요)
63번째 줄: 63번째 줄:
  
 
====대상지 현황====
 
====대상지 현황====
 
+
[[파일 : 대상지.jpg]]
 
(1) 주변지역 대부분이 아파트단지로 경제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창동차량기지, 도봉면허시험장 등 약 38만㎡에 달하는 대규모 시설이 이전함에 따라 동북권의 광역중심으로서 새로운 기능의 부여가 필요한 지역이다.
 
(1) 주변지역 대부분이 아파트단지로 경제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창동차량기지, 도봉면허시험장 등 약 38만㎡에 달하는 대규모 시설이 이전함에 따라 동북권의 광역중심으로서 새로운 기능의 부여가 필요한 지역이다.
  
90번째 줄: 90번째 줄:
 
주변에서 진행될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고려하여, ‘복합환승센터~대상지~서울아레나’ 연계에 대한 장기적 이고 통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상지 주변으로 건립예정인 ‘복합환승센터’, 2017년 진행된 ‘동북권 창업센터와 50+ 캠퍼스 등 세대융합형 복합화사업’, 그리고 진행중인 ‘서울아레나’는 공간적·기능적 연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필요로 한다.
 
주변에서 진행될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고려하여, ‘복합환승센터~대상지~서울아레나’ 연계에 대한 장기적 이고 통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상지 주변으로 건립예정인 ‘복합환승센터’, 2017년 진행된 ‘동북권 창업센터와 50+ 캠퍼스 등 세대융합형 복합화사업’, 그리고 진행중인 ‘서울아레나’는 공간적·기능적 연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필요로 한다.
 
또한, 그 규모와 위상으로 보아 도시재생활화지역뿐만 아니라 동북권의 문화중심지로서의 상징이 되는 지역의 랜드마크로서도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 규모와 위상으로 보아 도시재생활화지역뿐만 아니라 동북권의 문화중심지로서의 상징이 되는 지역의 랜드마크로서도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2018년 6월 27일 (수) 06:15 판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명

창동.상계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조성사업

과제 팀명

팀명 '응' : 팀의 건축 컨셉인 나눔에서 발상된 팀명으로, 나누기 기호를 한글로 읽은 것이다.

지도교수

건축계획 분야 : 이주나 교수님

구조계획 분야 : 권기혁 교수님

환경계획 분야 : 허정호 교수님

건설관리 분야 : 현창택.이현종 교수님

개발기간

2018년 3월 ~ 2018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3871003 권민혁(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5871016 박성은(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3871009 김형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3871035 정지환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5871015 두근홍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2015871032 이재관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1) 위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11길 74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1-일원)

(2) 대지 면적 : 10,746㎡

(3) 시설규모

◦ 건 축 면 적 : 현행 법규 적용

◦ 연 면 적 : 40,000㎡ 기준 (±5% 범위 내 조정가능)

◦ 건 폐 율 : 60% 이하 (현행 법규 적용)

◦ 용 적 률 : 800% 이내 (현행 법규 적용)

◦ 층 수 : 지역·지구중심 최고 층수 50층 이하

◦ 주 차 대 수 : 설계 면적 200 ㎡ 당 1대의 주차대수

◦ 용 도 지 역 : 일반상업지역, 가로구역별 최고높이 제한지역

◦ 주 요 용 도 : 문화창업시설(문화산업오피스, 청년창업오피스, 문화산업인프라)

추진 배경 및 의의

 서울시는 창동·상계 일대를 ‘수도권 동북부 일자리, 문화 신경제 중심지’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업기반 구축, 문화예술기반 및 생활·여가 인프라 확충, 대규모 공연시설 및 고용기반 지원을 위한 광역·지역 인프라 구축을 위한 활성화계획 수립하여, 98만㎡를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하고 단계적으로 사업을 실행할 계획이다.

‘창동·상계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는 공공의 단기간 사업 추진이 가능한 시유지(현 공영주차장)를 적극 활용하여 창동 일대를 동북권의 창업 및 문화산업 생태계 기반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대상지 현황

대상지.jpg (1) 주변지역 대부분이 아파트단지로 경제기반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창동차량기지, 도봉면허시험장 등 약 38만㎡에 달하는 대규모 시설이 이전함에 따라 동북권의 광역중심으로서 새로운 기능의 부여가 필요한 지역이다.

(2) 대상지는 최근 활발히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동북 방향의 '서울아레나' 공연장(창동 1-6번지 일대)과 남서측의 창동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수립이 진행되고 있는 ‘창동·상계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권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3) 대상지 남서측의 창동역은 현재 운영 중인 지하철 1·4호선뿐만 아니라 향후 KTX·GTX 노선 운영을 고려한 ‘복합환승센터’의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4) 대상지의 서측에는 향후 '복합환승센터' 건립을 위한 유휴 부지(창동 1-9번지 일부)가 있으며, 현재 '서울아레나' 공연장 건립을 위한 붐업사업으로 ‘플랫폼창동61’이 부지 일부에 가설건축물 형태로 한시적으로 조성 및 운영되고 있다.

(5) 대상지 북서측에는 2017년 진행된 ‘동북권 창업센터와 50+ 캠퍼스 등 세대융합형 복합화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프로젝트 목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공 창업인프라 조성

‘창동·상계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는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창업문화 시설을 바탕으로 지역의 산업 및 고용 기반의 역할을 해야 한다. 선도 진행 중인 ‘동북권 창업센터와 50+ 캠퍼스 등 세대융합형 복합화 사업’와 연계하여 인큐베이팅 된 창업기업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창업기반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문화창업시설 (청년창업오피스, 문화산업오피스, 문화산업인프라)은 공간·기능적으로 연계되어 인적·정보 공유가 활발히 일어나는 아이디어 소통 공간으로의 조성이 필요하며,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창업기반시설을 계획하여, 창업기업의 성장과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지역 주민을 위한 커뮤니티 친화형 복합 문화공간으로 생활·여가 인프라 조성

상동·상계 지역은 문화산업 및 생활·여가 공간이 부족한 지역으로 문화·생활·여가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창동·상계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에 계획된 ‘문화집객시설’은 인접부지의 도입시설과 연계하여 시너지효과를 일으킬 수 있어야 하며, 기존의 상업적인 시설이 아닌 문화가 결합된,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 경험, 그리고 감성을 제공하고 자극 할 수 있는 공간 계획 및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문화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문화시설 계획이 필수적이다.


주변과의 연계 및 관계 구축

주변에서 진행될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고려하여, ‘복합환승센터~대상지~서울아레나’ 연계에 대한 장기적 이고 통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상지 주변으로 건립예정인 ‘복합환승센터’, 2017년 진행된 ‘동북권 창업센터와 50+ 캠퍼스 등 세대융합형 복합화사업’, 그리고 진행중인 ‘서울아레나’는 공간적·기능적 연계에 대한 아이디어를 필요로 한다. 또한, 그 규모와 위상으로 보아 도시재생활화지역뿐만 아니라 동북권의 문화중심지로서의 상징이 되는 지역의 랜드마크로서도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내용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내용

  • 기술 로드맵

내용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내용

  • 마케팅 전략 제시

내용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내용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내용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내용

구성원 및 추진체계

내용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내용

설계 사양

내용

개념설계안

내용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내용

상세설계 내용

내용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내용 조감도.jpeg

포스터

내용

관련사업비 내역서

내용

완료작품의 평가

내용

향후계획

내용

특허 출원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