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 댄스

2019 CE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연료전지에서 촉매를 올린 카본전극에 질소를 도핑하여 전류밀도 향상

영문 : The higher current density with ceria on N-doped carbon for fuel cell

과제 팀명

라스트댄스

지도교수

이두환 교수님

개발기간

2023년 9월 ~ 2023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340049 홍승희(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6340045 조형창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340040 전해진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340050 홍현수

서울시립대학교 화학공학과 2019340036 이세형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 수소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기술의 성숙도가 높고 자동차 산업용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수소 인프라 확대, 고분자 전해질막 내구성, 백금(Pt)촉매의 비싼 가격 등이 해결 과제로 남아있다.

◇ 수소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기체인 산소와 수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하기 때문에 백금(Pt)촉매의 사용이 요구되고 PEMFC에 사용되는 백금(Pt)촉매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다른 촉매를 전극에 올리면 백금(Pt)촉매의 효율을 높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 Pt활성화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진 CeO2를 전극에 올리면 전도성이 감소하여 낮은 전류밀도를 얻는다는 단점이 있다.

◇ 수소연료전지 전극에 다른 촉매와 CeO2를 올려 백금촉매 활성과 전도성 증가 효과가 동시에 가능하다면 더 저렴한 가격으로 좋은 성능의 수소연료전지 보급이 가능할 것이다.

◇ VRFB와 PEMFC의 구조적 유사성을 이용하여 VRFB 전해질을 이용하여 촉매를 올린 카본전극의 전류밀도를 측정하고 실제 연료전지에 적용이 가능한지 연구해본다.

개발 과제의 배경

◇ 수소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기술의 성숙도가 높고 자동차 산업용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수소 인프라 확대, 고분자 전해질막 내구성, 백금(Pt)촉매의 비싼 가격 등이 해결 과제로 남아있다.

◇ 백금 사용량의 저감이나 백금 효율성 증가를 위해 비백금계 촉매 개발, 촉매의 나노 구조 조정을 통한 활성 증대 등 기술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 VRFB(Vanadium Redox Flow Battery)등 카본 전극을 사용하는 배터리에서 전극의 전기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질소, 산소 등의 다른 원소들을 도핑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된 상태이다.

◇ 수소연료전지 전극에 촉매를 올려 백금촉매 활성과 전도성 증가 효과가 동시에 가능하다면 더 저렴한 가격으로 좋은 성능의 수소연료전지 보급이 가능할 것이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 CeO2 촉매를 올린 카본 전극의 전류밀도 향상 연구

세부 목표

◇ VRFB와 PEMFC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들을 조사해보면서 전기화학반응의 원리에 대하여 분석한다.

◇ CeO2를 전극에 올릴 경우 카본전극에서의 전기화학적 반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련 연구들을 조사해 분석해본다.

◇ 카본 전극에 다른 원소를 도핑할 경우 전극의 전도성과 관련된 연구를 조사해보고 원리에 대하여 분석한다.

◇ VRFB와 PEMFC의 구조적 유사성을 이용하여 VRFB 전해질을 이용하여 카본의 전류밀도를 측정하고 실제 연료전지에 적용이 가능한지 연구해본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수소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백금 사용량의 저감이나 백금 효율성 증가를 위해 비백금계 촉매 개발, 촉매의 나노 구조 조정을 통한 활성 증대 등 기술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백금 나노입자의 크기를 줄여 활성 표면적을 크게 하는 기술 등은 나노입자 사이즈의 한계로 인해 더 발전이 불가능하고, 백금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백금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코발트(Co), 니켈(Ni) 같은 원소들도 가격이 꽤 나가는 편인데 비하여 백금촉매 자체 만큼의 성능을 보이지는 못하는 상황이였다.

◇ 이후 철-질소-탄소를 이용한 촉매를 개발하는데 성공하였어도 높은 전력밀도를 나타내지는 못하여 백금으로 대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철-질소-탄소 혼합물을 이용한 촉매가 44% 향상된 성능을 보여 백금 촉매 대체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최근에는 수소연료전지의 고분자 전해질막 파괴의 원인으로 전극에서 반응할 때 생기는 라디칼을 제거하는 용도로 CeO2 사용가능성이 언급되고 있고, 전극에 CeO2와 다른 원소를 함께 올려 촉매활성화와 전력밀도 향상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특허조사

◇ 비백금 촉매 및 그래핀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비백금 촉매 및 그래핀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탄소지지체, 질소 및 비백금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비백금 촉매복합체와 전도성 고분자를 함께 포함하는 촉매층을 그래핀층과 교대로 적층하여 백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전이금속을 통하여 우수한 전극 효율을 구현한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수소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백금을 대체하기 위하여 다양한 비백금촉매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층으로 둘러싸인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에서 백금과 같은 귀금속의 사용량을 줄이고 촉매의 내구성이 향상시키기 위해서, 금속 입자, 상기 금속 입자 표면을 둘러싸며 질소(N), 황(S), 인(P)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층, 및 상기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층의 표면과 접하여 금속 입자를 수용하는 탄소 지지체를 포함하는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층으로 둘러싸인 연료전지용 전극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탄소전극에 다른 질소 등과 같은 원소와 촉매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원소들을 이용하여 촉매활성화 및 촉매 내구성 증가를 통해 기존 백금 사용량을 감소시켜 연료전지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라디칼 스캐빈저 입자 층을 포함하는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라디칼 스캐빈저 입자 층을 포함하는 복합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전해질막은 매우 얇은 라디칼 스캐빈저 입자 층이 전해질막의 양단에 전사되어 전해질막을 보호할 수 있으며, 라디칼 스캐빈저 입자가 전해질막 표면에 매우 얇게 잘 분산된 특성을 활용하여 이종입자 첨가에 의한 수소 이온 전도도 감소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CeO2가 라디칼 스캐빈저로 활용이 가능하고 연료전지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eO2를 사용하여 수소연료전지 전극에서 발생하는 라디칼을 제거할 경우 고분자 전해질막의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수소연료전지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 특허전략

◇ 전 세계 연료전지 시장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5%이상 성장할 것으로전망되며, 주로 수송용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기준, 수송용이 전체 시장의 68.1%, 고정형이 31.8%, 휴대용이 0.1% 순이다. 수소전기차로 확장된 연료전지 시장은 선박,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중대형 발전용 연료전지 등 다양한 활용을 통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프설1.png

Fig.1 연료전지 시장 규모 및 전망

◇ 주요 시장은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일본, 미국, 한국 3국의 기업들이 주로 점유하며 경쟁하고 있다. 그 중 2019년 세계 수소차 시장은 우리나라의 현대자동차(60.5%)와 일본의 Toyota(33.7%)가 90% 이상을 점유하며 제한적인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라댄2.png

파일:Fig.2 2019년 수소차(승용) 점유현황(대)

◇ 수소 연료전지 기술은 1971년부터 출원되기 시작해서 1987년에는 50건 이상 출원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01년부터 2012년 구간에서는 한 해 1,500건 이상으로 특허 출원량이 크게 증가되었다가 2009년 이후 현재까지 연간 1,000건 정도의 특허는 꾸준히 출원되고 있다. 누적 건수로는 1982년부터 100건 이상 출원되었고, 1991년부터 500건 이상이 출원되었으며, 1994년에는 1,099건, 2002년에는 5,799건, 2018년에 25,630건으로 현재까지는 약 30,000건의 특허가 출원되었다. 앞으로 향후에도 당분간은 매년 약 1,000건 정도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댄3.png

Fig.3 연료전지 유효기술 특허 건수

◇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저장 장치(ESS)에 대한 특허출원도 늘어나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최근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가 셧다운(일시정지) 되고, 탈원전의 대책 중 하나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풍력, 태양광 등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의 특성상 안정적 전력 수급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에 에너지 저장 장치를 활용한 극복 방안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필수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용 리튬 이차전지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0년대부터 전기차 산업이 성장하면서 한국·중국·일본이 중대형 이차전지 산업을 이끌어가고 있으며, 2020년을 기준으로 3국이 이차전지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다. 전지 제조기술은 3국이 비슷한 수준을 가지고 있지만 생산성 및 품질관리 수준은 한국이 우위에, 가격은 중국이 우위에 있다. 앞으로 한국이 이차전지 수요 확대에 따른 이차전지 산업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현지 진출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소재·부품의 해외 의존도를 낮출 필요성이 있다.

◇ 위와 같이 연료전지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고 전극 연구를 통하여 성능 향상을 다루는 특허가 다수 존재하고 CeO2의 효과를 입증하는 특허가 존재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CeO2를 전극에 적용하여 CeO2의 촉매 활성화, 라디칼 스캐빈징 효과도 유지하며 전극의 전도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면 연료전지뿐만 아니라 카본 전극을 사용하는 다양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 CeO2와 질소 등을 같이 올린 카본 전극이 촉매 활성화 기능과 전도성 향상에 동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연료전지 이외에도 카본 전극을 사용하는 다양한 전지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전극에서 전기화학적 촉매 성능 향상은 곧 전지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지고 같은 크기의 전지를 만들어도 충방전 용량, 출력량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으므로 앞으로 ESS 기술 발전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CeO2를 사용할 경우 촉매 활성화 이외에도 라디칼 스캐빈징 효과도 있으므로 고분자 전해질 막 파괴의 주원인인 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다. 질소를 CeO2가 올라간 카본 전극에 도핑하는 과정에서 CeO2에도 질소가 함께 도핑된다면 이러한 라디칼 스캐빈징 효과가 증가하게 되고 이를 수소 연료 전지에 적용할 경우 연료전지의 수명이 증가하여 연료전지 보급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석유 등의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대체에너지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한 수소차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충전 인프라, 성능, 수명, 안정성 등과 같은 이유로 기존 화석연료 자동차를 대체할 만큼의 공급이나 수요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이에 다양한 기업들이 신에너지 자동차의 성능과 수명 향상을 위해 연구하고 있으며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차 등은 꾸준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카본 전극을 사용하는 다양한 전지들의 전력밀도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자동차의 속도, 주행거리 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러한 신에너지 자동차 기술이 발전이 곧 보급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고 인프라 문제가 함께 해결될 경우 가격 문제와 환경문제까지 동시에 해결이 가능할 것이다.

◇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의 계속되는 화재사고 및 원자재 가격인상과 공급 이슈로 인해 리튬계의 대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장의 흐름 속에서 대용량 장주기 ESS를 위한 대표적인 차세대 배터리 기술인 VRFB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연료전지에서 CeO2의 촉매활성화 성능을 통해 전력밀도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전도성은 떨어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다른 원소를 함께 사용하여 CeO2에 도핑함으로써 CeO2의 전도성 증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도성 증가가 확인될 경우 백금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VRFB전극에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VRFB의 성능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는 대용량 장주기 에너지 저장 장치 발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라댄4.PNG

추진체계

◇ 연료전지, VRFB 관련 논문 조사 및 원리 파악

◇ 연료전지, VRFB의 전극 분석 및 유사성 파악

◇ 카본 전극에 올리는 촉매 등 분석

◇ 현재 CeO2를 올린 전극 개발 현황 문제점 등 분석

◇ 카본 전극에 함께 사용 시에 성능 향상이 가능한 촉매 물질 등 분석

◇ 전극에 촉매 올리는 방법 분석

◇ VRFB 전극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극의 전류밀도 분석

◇ 분석 결과의 장단점 및 현실적인 적용 여부 확인

◇ 발표 피드백 반영 및 보완 연구 분석


설계

실험방법

방법 1.

◇ 수열반응을 통해 제조된 Graphene Oxide(GO) 전극


<CeO2-GO 합성>

- GO 50mg을 20mL de-ionized water에 넣고 ultrasonicator에 30분간 초음파 처리

- 0.217g 또는 0.434g 과 CTAB(계면활성제) 0.07g을 GO용액 위에 넣고 stirring

- 25% 암모니아 수용액 첨가 (PH~10으로 유지)

- 5시간 stirring 후 autoclave에서 24시간 처리

- 실온으로 냉각후 de-ionized water와 ethaol로 washing(감압여과)후 60로 밤새 진공건조


<NGO 합성>

- GO 50mg을 20mL de-ionized water에 넣고 ultrasonicator에 30분간 초음파 처리

- Urea 0.8g 또는 1.6g을 GO 용액에 넣고 stirring

- 5시간 stirring 후 autoclave엣서 24시간 처리

- 실온으로 냉각후 de-ionized water와 ethaol로 washing(감압여과)후 60로 밤새 진공건조

<CeO2-GO에 N도핑>

- CeO2-GO 합성 후 NGO 합성방법에 GO대신 CeO2-GO사용

<분석>

- RDE(Rotating disk electrode)를 이용한 삼전극 실험

- CV(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하여 전류밀도 측정

- GO, CeO2-GO, NGO, N-dopped CeO2-GO 비교 분석

- 질소, CeO2 질량 변화에 따른 전류밀도 분석


방법 2.

◇ 함침법을 통해 제조된 Carbon Paper 전극

<CeO2 함침>

- 3cm3cm carbon paper를 box furnace에 넣고 500 4시간 열처리 하여 defect형성

- 20mL de-ionized water와 20mL ethanol 용액을 섞고 0.217g 또는 0.434g 넣고 2시간 stirring

- 용액에 carbon paper 넣고 desiccator에서 2시간 진공처리하여 함침

- 건조 후 box furnace에 넣고 400 2시간 열처리


<질소 함침>

- 3cm3cm carbon paper를 box furnace에 넣고 500 4시간 열처리 하여 defect형성

- 10mL de-ionized water와 30mL ethanol 용액을 섞고 Urea 2.25g 또는 4.5g 넣고 2시간 stirring

- 용액에 carbon paper 넣고 desiccator에서 2시간 진공처리하여 함침

- 건조 후 tube furnace에 넣고 질소 기체 조건에서 600 1시간 처리

<CeO2-Carbon paper에 질소 함침>

- carbon paper에 CeO2 함침 후 질소 함침 방법으로 처리

<분석>

- VRFB 전해질 조건으로 삼전극 실험

- CV(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하여 전류밀도 측정

- pristine carbon paper, CeO2-carbon paper, n-dopped carbon paper, n-dopped CeO2-carbon paper 비교분석

- 질소, CeO2 질량 변화에 따른 전류밀도 분석


<CV 분석 방법>

라댄5.png

- i가 서로 비슷할수록 평형 → 가역 반응 (차이가 클 경우 평형이 아님)

- i가 클수록 전류가 크다, 전류가 클수록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난다.

- delta E 가 작을수록 과전압이 작다 → 산화환원반응이 바로 잘 일어난다.

- 전류가 크고 delta E가 클 경우 반응은 많이 일어나지만 산환환원이 바로 일어난 것은 아니다.



결과 및 평가

개발과제 실험 결과

◇ GO를 이용한 전극 합성은 수득률이 나오지 않아 합성 실패

◇ 함침법을 이용한 carbon paper 전극의 CV 분석

◇ Pristine carbon paper CV

라댄6.png

- scan rate 50mV/s 와 100mV/s 는 최대peak 값을 구분하기 어려워 10mV/s를 reference로 사용

◇ CeO2-carbon paper CV

라댄7.png

라댄8.PNG

- 전극에 Ce이 너무 많이 올라가면 전기전도도가 감소하여 전류가 감소한다. - Ce이 전극 위에 올라가면 OER 부반응을 억제한다. → 촉매 활성화 역할


◇ N dopped-carbon paper

라댄9.png

라댄10.PNG

- 질소가 도핑된 carbon paper 전극은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여 전류가 증가

◇ Urea 2.25g 함침 + Ce 변화 carbon paper 비교

라댄11.png

라댄12.PNG

- 질소를 카본 전극에 도핑할 경우 pristine 전극보다 높아진 전기전도성을 보인다. - CeO2가 카본 전극에 올라갈수록 전도성이 유지되다가 과량이 올라가게 되면 전도성이 감소한다. - CeO2가 OER 부반응을 억제해준다. - CeO2, N을 카본 전극에 올리는 과정에서 2번의 열처리를 거친 결과 전극 손상으로 과전압이 발생한다.


◇ Urea 4.5g 함침 + Ce 변화 carbon paper 비교

라댄13.png

라댄14.PNG

- Urea 2.25g을 함침하였을 때보다 질소가 더 많이 도핑되어 전도성이 증가 - CeO2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 감소 - CeO2가 들어가면 OER 부반응 억제


◇Cerium nitrate hexahydrate 0.217g 함침 + N 변화 carbon paper비교

라댄15.png

라댄16.PNG

- CeO2가 카본 전극에 올라가도 전도성 증가는 거의 없지만 질소 도핑량을 증가시킬수록 전도도 증가 - CeO2, N을 올리는 과정에서 두 번의 열처리로 전극이 손상


◇Cerium nitrate hexahydrate 0.434g 함침 + N 변화 carbon paper비교

라댄17.png

라댄18.PNG

- CeO2로 인하여 전극에 질소 도핑량이 늘어도 전도성 증가 효과가 거의 없다. - CeO2가 OER 부반응을 억제해 준다.


◇ 질소가 카본 전극에 도핑될수록 전도성이 증가하는 효과 덕분에 CeO2를 전극에 올려도 전도성이 감소하는 효과를 상쇄시킬 수는 있었고 CeO2가 OER 부반응을 억제해주는 것으로 보아 촉매활성화 기능도 유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CeO2를 올린 카본 전극위에 질소를 도핑함으로써 CeO2에 질소가 도핑 되었는지는 CV분석만으로 확인 할 수 없고 CeO2를 올린 전극이 질소 도핑효과로 전도성이 증가하기는 하였지만 CeO2에 질소가 도핑되어 CeO2의 결정구조가 변하여 전도성이 증가한 것인지 질소가 전극에 도핑된 효과로 전도성이 증가한 것인지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완료작품의 평가

라댄19.PNG

개발과제 향후 전망

◇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특히 이번 로드맵에는 그간 관련 지원제도 미비 등으로 산업성장에 제 속도를 내지못하고 있는 발전용 연료전지와 가정∙건물용 연료전지에 대한 야심찬 계획도 포함되었다. 발전용 연료전지의 경우 2022년까지 누적 1.5GW 보급, 2040년 15GW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고,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는 2022년까지 누적 50MW 보급, 2040년 2.1GW를 보급하여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다는 목표이다. 관련 업계는 그간 연료전지 산업이 더디게 성장해 온 상황에서 이 같은 정부의 중∙장기 보급계획 발표는 성장곡선을 그릴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료전지는 앞으로 수송용 외에도 발전용과 가전용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다. 수소연료전지가 넓은 범위에 보급되기 위해서는 전력 효율, 공급비용 낮추기, 안정성, 보장된 수명 등 다양한 해결과제가 남아있다. 본 연구 개발 과제는 카본 전극에 CeO2를 올려 전극에서 일어나는 촉매반응을 더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질소를 동시에 도핑하여 전극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려는 시도였다. 개발 과제 관련된 연구들은 연료전지 가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백금촉매의 사용량을 줄여줌과 동시에 전극의 전기화학 반응을 촉진시키고 전도성을 높여 전지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연료전지 보급 시 가격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으며 CeO2는 라디칼로부터 연료전지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보호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수명 문제도 해결해 줄 수 있다. 이 외에도 카본 전극의 전력밀도와 관련된 연구이므로 다른 카본 전극을 사용하는 ESS에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관련된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머지않아 석유 에너지를 대부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터

파일:2023-2 프로젝트 종합설계 포스터(라스트댄스).pdf

라댄2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