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5조

env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보행자 하중을 이용한 압축 쓰레기통 설계

영문 : Compressed Trash-Can Using Pedestrian Load

과제 팀명

Bi5

지도교수

박승부 교수님

개발기간

2023년 3월 ~ 2023년 6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8900** 윤**(팀장)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8900** 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8900** 문**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8900** 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20**8900** 김**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본 과제에서 우리 조는 보행자의 하중을 이용한 압전 발전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일반쓰레기 전용 압축 쓰레기통을 설계하고자 한다. 
한정된 공공 쓰레기통의 수에 따라 쓰레기가 범람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미압축으로 인한 수거 횟수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압축 쓰레기통을 제시할 수 있는데, 시중의 태양광을 이용한 압축 쓰레기통의 경우 날씨와 설치장소의 제약을 받는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과제는 보행자의 하중을 압전 소자를 이용해 에너지화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비교적 환경의 제약을 덜 받는 친환경적 에너지 발전을 도모한다. 또한 공공 쓰레기통의 쓰레기 범람으로 인한 악취 발생 및 도시미관 저해를 예방하며, 수거 횟수 및 비용의 저감으로 경제적인 쓰레기 수거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 개발 과제의 배경

- 쓰레기 압축의 필요성: 한정된 공공 쓰레기통의 수, 미압축으로 인한 수거 횟수 및 비용 증가, 쓰레기 범람으로 인한 악취 발생 및 도시 미관 저해
- 에너지 하베스팅의 한 종류인 압전 방식을 통한 친환경적 에너지 발전의 실현 가능성
- 압전 방식을 통한 압축 쓰레기통 설계로 쓰레기 압축 문제 해결 

◇ 설계 상세 배경

● 설치장소

우리 조는 설계물의 설치장소를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으로 설정했다.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보행자만 다니기 때문에 달리는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압전소자의 과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서울시내의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경우 차선의 폭으로 인해 규격과 형태가 대체로 통일되어 있기에 설계물을 정류장마다 일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지붕과 외벽 등을 활용해 날씨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2)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의 인구밀도는 매우 높다.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은 차선 사이에 만들어진 도보인 만큼 면적이 최소화 되어 있고, 여러 노선의 버스가 정차하는 곳이기 때문에 이용 승객의 수가 많고 이에 따른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다.
3) 버스정류장에 쓰레기통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설치된 경우에 비해 무단투기가 더 자주 발생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또한 일부 설치된 쓰레기통의 경우도 미흡한 관리 등으로 범람하거나 외부에 추가적으로 종량제 봉투가 부착되어 있어 심미적 요인이 침해되는 등의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 
4) 마지막으로 쓰레기통 추가 설치를 요구하는 민원이 있다. 몇 년 전부터 서울시는 길거리에 쓰레기통이 없어서 불편하다는 민원이 거세지자 자치구에 보조금을 주고 쓰레기통을 늘리거나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 직접 쓰레기통을 설치하고 있지만, 아직도 멀었다는 반응이 많다.
따라서 우리 조는 압전 발전을 진행하기에 적합하고, 기존의 쓰레기통을 대체해 더 효과적인 관리 및 심미적 요인 개선을 실현할 수 있고, 추가 설치가 필요할 곳에는 그 수요에 맞게 경제적으로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을 설계 장소로 설정하였다.

● 버스정류장 승객수 통계

설계 장소인 서울 시내 중앙차로 버스정류장과 이용객 수를 조사하였다. 이용객이 많은 편에 속하는 정류소들 중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청량리역환승센터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선정하였다. 통계 결과 2023년 3월 1-26일 기준 구로디지털단지역(3개소), 청량리역환승센터(5개소), 서울역버스환승센터(4개소) 정류장의 이용객 수는 각각 약 130만 명, 79만 명, 75만 명이었으며, 세 정류장의 1일 평균 이용객 수는 (2,879,302명/26일)/12개소 = 9,228.53, 약 9,230명이다. 본 통계자료는 대략적인 쓰레기 발생량 추정, 압전 발전을 통한 필요 전력 생산량 예측, 추후 상용화를 위한 실제 제품의 크기 선정 등에 참고할 예정이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5image01.png

우리 조는 설계물에 사람들이 발을 구를 때 나오는 순간의 힘을 압전 소자를 이용해 에너지화하는 ‘압전 하베스팅(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을 적용하려 한다. 이는 결정판에 일정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이나 압력 등의 힘에 비례해 양 또는 음의 전하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효과를 기본 원리로 한다. 본 과제에서는 압전 발전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에너지로 압축 시스템을 작동하여 부피가 큰 쓰레기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 쓰레기통 ‘Piezo-Can’을 설계하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목표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보행자의 하중을 압전 소자를 이용해 에너지화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적용
◆ 압전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활용한 일반쓰레기 전용 압축 쓰레기통 ‘Piezo-Can’ 설계, 프로토타입 제작 및 시연
◆ 압축 쓰레기통 설치 시 예상되는 기대효과 및 경제성 계산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 압전 하베스팅

압전 하베스팅은 압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이용해 물리적인 에너지를 모으는 기술이다. 소자가 가진 양자의 특성으로 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전기장이 형성되어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압전 하베스팅은 진동 발전과 원리가 비슷하지만 적응하기 쉽고 응용 분야가 더 넓은 것으로 평가되어 상용화에 가장 가까운 에너지 하베스팅의 형태로 여겨진다.

◇ 압전 하베스팅 이용현황

1) 국외 사례

- 일본에서 발판형 발전기 '발전마루' 개발
- 이스라엘의 기업 ‘이노와텍’은 고속도로 아래에 자동차의 무게와 도로 진동을 모두 전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도로 압전 발전기 설치
- 영국의 기업 ‘페이브젠(Pavegen)’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빈민가에 압전 하베스팅을 이용한 축구장 건설

2) 국내 사례

- 부산항만공사에서 ‘항만게이트용 스마트 압전발전 시스템 개발 실증’ 사업이 중소벤처기업부의 구매 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 과제에 선정(2021년)
- 부산 서면역과 서울숲 공원에 압전 패드 설치로 전기 생산
특허조사

Bi5조그림4.PNG

특허 전략 분석

● 압전 발전 장치

간단한 구성으로 사람의 보행에너지를 활용하여 발전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환경오염이나 기타 에너지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 쓰레기 압축

한정된 쓰레기통의 부피 내에서 쓰레기의 수거량을 양을 최대로 확보한다. 평상시에는 쓰레기를 압축하면서 덮은 상태를 유지하고, 쓰레기를 버릴 경우에만 압축과 덮은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의 팽창을 방지하는 한편,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확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는다.

● 쓰레기 적재량 파악

초음파센서로 쓰레기통 내 현재 쓰레기 적재량을 파악할 수 있다. 쓰레기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압축이 진행되어 보행자들이 쓰레기를 배출할 수 없도록 한다.
기술 로드맵

◇ 압전발전

에너지 하베스팅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압전발전은 신재생에너지 기술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유용한 전력으로 바꾸는 기술을 말한다. 압전효과는 크게 정압전효과와 역압전효과로 나뉜다. 정압전효과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압전소자에 진동, 압력 등을 주면 그 출력 부분에서 전기 신호가 발생하는 현상이며, 역압전효과는 압전 소자의 외부에서 전압을 걸어주면 소자가 기계적인 변형을 일으키는 효과를 말한다.

Bi5조그림2.PNG

◇ 압축 쓰레기통

Bi5조그림3.PNG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경쟁제품 조사 비교

Bi5조그림5.PNG

마케팅 전략 제시

◇ SWOT 분석

Bi5조그림6.PNG Bi5조그림7.PNG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 친환경 에너지인 압전 하베스팅을 활용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 주변에 존재하는 미활용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기술의 상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 다른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과 연계 가능한 형태의 쓰레기통으로 개발이 가능하다.
- 압축 쓰레기통이 상용화되고 개발됨에 따라 쓰레기 종류별로 특화된 압축 쓰레기통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 경제적 파급효과

- 쓰레기 부피 압축으로 인한 처리 빈도 감소 및 수거·운반 체계의 간소화와 이로 인한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 미활용되는 에너지를 회수해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로 낭비되는 에너지 활용이 가능하다.
- 광고 기능을 추가로 투자비 회수의 가능성이 있다.

◇ 사회적 파급효과

- 에너지 비용 없이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형태로 도심에서의 에너지 자립을 실현한다.
- 쓰레기 압축으로 인한 악취 저감 및 미관 개선으로 시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 시민들의 공공 쓰레기통에 대한 수요에 대처 가능하다.

경제성 분석

경제성 분석은 ‘편익-비용비(B/C ratio)’ 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편익-비용비 분석은 총편익과 총비용의 할인된 금액 비율인 편익/비용 비율이 1보다 크거나 같으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Bi5조그림8.PNG

먼저 Piezo-Can 사업의 편익과 비용을 항목화한 표는 다음과 같다.

Bi5조그림9.PNG

본 경제성 분석은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1개소에 Piezo-Can 1개를 설치할 때를 기준으로 한다. 분석년도는 10년이며, 사회적 할인율은 한국개발연구원(2008)에서 제시한 5.5%를 적용한다. 또한 압전 발전에 사용할 압전모듈과 이의 발전량 및 가격은 「건물 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설치 조건에 따른 보행에 의한 축전량 비교 분석(2014)」을 참고하였다. 설치할 압전 발판은 300×300×40(mm) 크기의 압전모듈을 연속으로 5개 이어 붙인 1645×300×43(mm) 크기의 프레임을 앞뒤 30cm 간격으로 3개 배치하여 총 15개의 압전모듈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압전발판의 그림은 다음과 같다.

Bi5조그림10.png

1) 편익

① 전력생산효과로 인한 편익

압전에너지 하베스터 설치로 발생되는 편익은 기본적으로 전력 수확량으로부터 기인한다. 전력생산효과로 인한 편익은 압전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논문의 실험 결과로 100명의 보행자가 30cm 간격으로 설치한 압전모듈 90개 위를 보행하였을 시 예상 발전량은 5,447.964mW였다. 이를 1명의 보행자가 압전모듈 15개 위를 보행할 때로 환산하면 9.08mW/인 = 0.009W/인을 나타내며, kWh(키로와트시)로 환산하면 0.009W × 3600s = 32.4Wh = 0.0324kWh/인의 발전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압전 변환 기술의 경우 에너지 효율이 25~60%이라는 자료를 바탕으로 약 40%의 전환 효율을 가진다고 가정, 1인당 0.013kWh의 발전량을 나타낸다.
설치 대상 버스정류장이었던 구로디지털단지역(3개소), 청량리역환승센터(5개소), 서울역버스환승센터(4개소) 세 정류장의 1일 평균 이용객 수는 약 9,230명이었다. 이를 연간 이용객수로 환산하면 3,368,950명이다. 
따라서 정류장 1개소에 설치한 Piezo-Can 압전발판의 연간 총 전력 생산량은 0.013(kWh/인) × 3,368,950인 = 43,796.35kWh이며, 2023년 1, 2월 한전 구입단가(165.59원/1kWh)를 단위전력당 전기가격으로 설정하면 연간 신에너지 생산편익은 43,796.35kWh × 165.59(원/1kWh) = 약 7,252,238원(7,252,237.60원)으로 계산된다.

② 전력활용효과(사회효과)로 인한 편익

전력활용효과는 수확되는 전력을 활용함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효과로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등이 이 항목에 해당한다. 사회효과는 금전적 가치로 나타낼 수 없는 비시장재효과이다. 이를 보완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신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정량화하기 위한 연구로써 조건부 가치측정법, 토빗모형 등을 사용하여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사용하기 위한 지불의사금액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를 Piezo-Can 사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업에 영향을 받는 인구인 버스정류장 이용객들에게 지불의사비용과 관련된 설문조사가 필요한데, 설계과정에서 이를 진행하기엔 시간적·금전적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미관 개선과 악취 절감으로 인한 효과 역시 다른 연구 결과를 참고하기엔 정확도가 떨어지며, 자체적으로 정량적인 평가를 내릴 수 없다고 판단하여 편익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최종적인 편익에는 전력활용효과로 인한 편익을 제외한 전력생산효과로 인한 편익만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전력생산효과로 인한 연간 총 편익은 약 725만 원이며, 사회적 할인율 5.5%를 고려하여 계산한 Piezo-Can의 10년간 총 편익은 57,640,000원이다. 

자세한 연도별 편익은 다음 표와 같다.

Bi5조그림11.PNG

2) 비용

① 초기 투자 비용

Piezo-Can 사업의 초기 투자 비용은 사업 초기년도에만 해당되는 비용으로 크게 제작 비용과 설치 비용으로 나뉜다.

● Piezo-Can 제작 비용

Piezo-Can 제작 비용에 고려할 부분은 크게 본체, 부품(압축기, 초음파센서, 배터리)가 있다. Piezo-Can 본체의 소재는 현재 가로쓰레기통에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인 아연도금강판과 스테인리스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한다. 「서울시 가로쓰레기통 설치 지원 사업 예산 내역(2022)」에 따르면 쓰레기통 1대당 사업비 20만 원을 할당하였다. 여기에 부품{압축기(12V 리니어 액추에이터, 15만 원) + 산업용 초음파 센서(20만 원) + 배터리(12V 18650 리튬배터리팩 5만 원)} × 1.1(예비비) = 44만 원을 합한 64만 원을 초기년도 제작비용으로 설정한다.

● Piezo-Can 설치 비용

Piezo-Can의 설치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압전발판 설치 비용이다. 앞서 언급한 논문에 따르면 300*300*40(mm)크기의 압전모듈은 개당 90만 원의 비용을 요구한다. 따라서 초기년도 설치 비용으로서 압전모듈 5개로 구성된 1645*385*43(mm)의 프레임을 30cm 간격으로 3개를 설치하는, 총 15개의 압전모듈을 설치하는 비용은 90만 원 × 15개 × 1.1(예비비) = 14,850,000원이다.

② 운영 비용

운영 비용으로서 Piezo-Can에 대한 연간 유지ㆍ관리 비용으로는 서울시 내 7개 구에 210개 설치된 IoT 쓰레기통의 경우 매달 구청마다 5~60만 원의 유지비가 들어간다는 기사를 참고해 매달 2만 원씩, 24만 원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초기 투자비용은 15,490,000원, 연간 운영 비용은 240,000원으로 산정되며, 사회적 할인율 5.5%를 고려하여 계산한 Piezo-Can의 10년간 총 비용은 17,400,000원이다.

자세한 연도별 비용은 다음 표와 같다. Bi5조그림12.PNG

3) 편익-비용비

따라서 10년간 Piezo-Can 사업의 총 편익인 57.64(백만원)과 총 비용인 17.40(백만원)으로 계산한 편익-비용비는 57.64 / 17.40 = 약 3.3의 값을 나타낸다. 분석값이 1이상이므로 Piezo-Can 사업은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Bi5조그림13.PNG

구성원 및 추진체계

◇ 개별분담

- 윤영조: 압축부 설계 및 제작, 경쟁력분석보고서, 포스터·최종설계보고서 발표
- 문건영: 센서부 설계 및 제작, 개념설계보고서 발표
- 김시원: 압축부 설계 및 제작, 상세설계보고서, 최종설계보고서 발표
- 김다원: 센서부 설계 및 제작, 상세설계보고서 발표
- 김채영: 압축부 설계 및 제작, 과제제안서 발표

◇ 공통분담

- 자료조사 및 기술현황 조사, 상세 설계 및 모형 제작, 환경적·경제적 가치 분석, 최종 모형 제작 및 검토, 보고서 작성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설계 제품의 요구를 D, 희망사항을 W로 두고, 목록별 중요도를 대·중·소로 판단한다.

Bi5조그림14.PNG

설계 사양

1. 발전부

- 압전소자를 통한 압전 발전으로 전력 생산 및 이를 설계물 가동에 활용

2. 센서부

- 초음파센서: 폐기물 적재 높이 인식 후 특정 거리 이하 도달 시 구동모터 가동 지시
- Led 센서, 투입구 개폐 센서: 시민들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시각적·직접적 안내 구현

3. 압축부

- 목표 폐기물 압축량에 맞는 사양으로 설계

목적 계통도

Bi5조그림15.png

개념설계안

본 설계에서 제작할 설계물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설계물 정보

- 이름: Piezo-Can(피에조캔)
- 규격: 20cm(가로)×30cm(세로)×40cm(높이)
- 추가 설명: 투입구는 Piezo-Can 전면, 위에서부터 높이 10cm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

Bi5조그림16.png

Piezo-Can은 크게 발전부, 센서부, 압축부로 나뉜다. 각각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발전부

발전부에서는 압전 발전 원리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여 충전지에 저장하고, 이를 Piezo-Can 가동에 사용한다. 압전소자에 분당 일정 횟수의 압력을 가하며 생산되는 전력량을 확인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이후 생산된 전력량으로 압전 발전으로 Piezo-Can의 압축시스템이 충분히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센서부

센서부는 크게 초음파 센서, LED 센서, 투입부 개폐센서로 구성된다. 센서부의 전체 구성과 압축기 작동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표현한 그림 다음과 같다.

Bi5조그림17.png

- 초음파센서

Bi5조그림18.png

쓰레기 범람 방지 및 효율적인 수거공간 확보를 위해 수거부 내 쓰레기가 일정 높이 이상 쌓일 시, 압축기가 내려와 쌓인 쓰레기를 압축하도록 한다. 수거부의 천장 구석 끝에 거리 인식을 위한 초음파센서를 설치한다. 쓰레기가 투입구 높이 이상으로 적재될 경우, 쓰레기 투입에 어려움이 생기므로 기준 적재 높이를 투입구에서 10cm 하단으로 설정한다. 초음파 거리 측정 기준을 센서로부터 기준 적재 높이까지의 거리로 하며, 그 이상 적재되었을 때 메인보드로 신호를 보내 압축부가 작동하고, 램프가 점등되며, 투입구가 폐쇄되도록 설정한다.

- LED센서

Bi5조그림19.png

압축기 작동 시 쓰레기가 투입되는 경로를 방해하므로 시민들의 이용을 잠시 중단한다. 중단의 시각적인 안내를 위해 led 센서를 이용해 이용 가능 여부를 표현하고자 한다. 초음파 센서로부터 쓰레기 적재 높이까지의 거리가 10cm 이하일 때 압축부가 작동하며 투입구가 폐쇄되어 시민들의 이용 중단을 안내한다. 이때 LED 전구는 적색과 녹색으로 표현하며, 적색이 표시될 경우 쓰레기통 입구가 막혀있음을 안내하고, 녹색이 표시될 경우 정상작동되어 시민들에게 이용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 투입부 개폐센서

Bi5조그림20.png

투입부의 개폐방식은 일반 도어 형식의 투입부 안에 고리를 걸어서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 압축부

Bi5조그림21.png

 효율적인 공간 확보를 위해 일정한 높이 이상 쌓였을 시 압축기가 가동되도록 설계한다. 쓰레기가 일정 높이 이상 쌓이면 초음파센서가 감지해 압축기가 내려와 쓰레기를 압축한다. 위에서부터 10cm에서 쓰레기가 차면 압축기가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압축을 적절하게 하기 위해 Piezo-can 단면의 모든 부분이 압축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압축기가 상하로 가동하여 쓰레기를 위에서 아래로 압축시킨다. 압축판은 적재량을 파악하는 초음파센서가 방해받지 않고, 압축이 잘 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설계한다. 또한 쓰레기를 충분히 압축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을 선정한다.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압전소자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로 충전되는 배터리의 전력을 확인하기 위해, 압전소자와 배터리를 연결 후 압전소자를 누르기 전후의 전압, 전류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전압, 전류는 멀티테스터기에 직접 연결해서 측정하였고, 측정된 전압과 전류를 곱하여 전력을 구하였다.

-압전소자 전압, 전류 측정값 (각각 5회 측정)

Bi5조그림22.PNG

하지만 해당 방법으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어서 압전소자의 전압, 전류값만 측정하였다. 압전소자 4개를 손가락으로 누를 때마다 약 100~200uW (10-4~2*10-4W) 크기의 전력이 생산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시연물과 실제 설계물 ‘발전마루’의 성능 비교

Bi5조그림23.PNG

발전마루는 크기 30×60 cm (0.18m2)의 판이며, 발전마루 위를 체중 60kg인 사람이 걸을 때마다 평균 약 0.3W의 전력이 생성된다. 또한 발전마루는 지름 3cm 크기의 압전소자가 빼곡히 채워진 구조이며, 발전마루 하나 당 압전소자 200개로 구성되어 있다. 압전소자 개수,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축력, 진동판 유무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전력은 발전마루가 시연물의 약 1500~3000배 정도 된다.

상세설계 내용

조립도

Bi5조그림24.PNG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몸체 내부 중앙 상단에 쓰레기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부착한다.
② 몸체 내부 우측 상단 모서리에 초음파 센서를 부착한다.
③ 몸체 겉면 중앙에는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구멍을 낸다.
④ 투입부 하단 뒷면에는 개폐장치를 설치한다.
⑤ 몸체 겉면 상단에는 제품의 이용 가능 여부를 표현하기 위한 LED센서등을 부착한다. 

부품도

-투입부

Bi5조그림25.PNG

투입부는 몸체 상단의 30mm 아래 위치에 100*50(mm)의 크기로 제작한다. 투입부 상단에는 제품의 이용 가능 여부를 표현하기 위한 LED 센서를 부착한다. 투입부 하단 뒷면에는 개폐장치를 설치한다. 

-압축부

Bi5조그림26.PNG

압축부는 압축봉(랙, 피니언 기어, 아크릴 봉)과 압축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압축봉은 지름 20mm, 압축판은 200*150(단위 mm)로 제작한다. 몸체 윗부분에 압축판 작동에 방해받지 않는 위치에 초음파센서를 부착한다.

제어부 및 회로설계

-발전부 회로도

Piezo-Can을 가동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고 충전지에 전력을 저장하기 위해 다음 그림과 같이 발전부를 설계한다. 압전소자의 양극, 음극에 전선을 설계도와 같이 연결한 후 다이오드에 연결한다. 밑에 있는 표와 같이 다이오드에서 건전지소켓까지 전선을 연결하여 회로도를 완성한다. 

Bi5조그림27.PNG

-압축부 및 센서부 회로도

Piezo-Can 설계 시 초음파센서, LED, 서보모터, 스텝모터를 작동하도록 한다. 필요한 설계에 대하여 아래 회로도와 같이 설명한다.

Bi5조그림28.PNG Bi5조그림29.PNG

초음파센서는 전원을 주는 VCC핀과 GND핀 외에 초음파를 발신하는 TRIG핀과 초음파가 다시 돌아오는 ECHO핀 등 4가지 핀으로 구성된다. 4가지 핀을 브레드보드를 통해 VCC는 아두이노 5V에, 그라운드핀은 GND, TRIG핀과 ECHO핀은 각각 아두이노의 디지털 7, 6번에 연결한다. 스텝모터를 작동하게 하는 모터드라이브의 IN1, IN2, IN3, IN4핀은 각각 아두이노의 디지털 11, 10, 9, 8번과 연결하여 회로도를 설계한다. 또한 적색과 녹색 전구는 각각 디지털 13, 12번에 연결하여 회로도를 설계한다. 서보모터(SG90)의 SIG핀은 아두이노의 디지털 4번과 연결하여 회로도를 설계한다.

소프트웨어 설계

Bi5조그림30.PNG

초음파센서가 Piezo-can의 쓰레기 단면과의 거리를 10cm 이하로 인식했을 때 시민들의 이용 중단을 안내하기 위해 적색 LED로 송출한다. 압축기가 원위치로 이동했을 때 녹색 LED를 송출하여 시민들에게 정상 작동됨을 알려 이용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압축기 가동을 위해 아두이노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쓰레기 단면까지의 거리가 10cm 이하일 때 작동하도록 설계한다. 압축기 작동 시 시민들의 이용 중단을 위해 투입부에 개폐장치를 설치한다. 이때 아두이노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압축기 가동 시 입구를 고리로 걸어 막는 방식으로 설계한다.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 Piezo-Can 설치 후 버스정류장 주변 조감도

Bi5조그림32.PNG

◇ 시연 작품 사진

Bi5조그림33.PNG

포스터

Bi5조그림34.png

관련사업비 내역서

◇ 자재소요서

Bi5조그림31.PNG

◇ 개발사업비 내역서

Bi5조그림35.PNG

완료작품의 평가

Bi5조그림36.PNG

향후계획

- 압축 과정에서 끼임 등의 오류로 압축기가 정상 작동이 되지 않을 때 대체할 수 있는 전원 버튼과 같은 스위치 및 비상 배출구의 설치를 할 수 있다.
- 태양광 발전 패널을 함께 설치하여 전력 생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적재량 데이터를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기술을 추가한다면 더 효율적인 수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활용해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 광고 패널 부착 등을 통해 투자 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

부록

[참고문헌]

1) 윤희일, 대학가 쓰레기통 없는 버스정류장, 쓰레기 무단 투기 3배 많아, 경향신문, 2022. 04. 10. https://www.khan.co.kr/local/Daejeon/article/202204101120001
2) 주현진, [데스크 시각] 강남구 뒷골목엔 쓰레기가 없다, 서울신문, 2019. 05. 21.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402030002&wlog_tag3=naver
3) 서울특별시, 서울시 중앙차로 버스정류소 리스트,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2023.03.27.http://data.seoul.go.kr/dataList/OA-21288/F/1/datasetView.do
4) 서울특별시, 서울시 버스노선별 정류장별 승하차 인원 정보,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2023.04.17.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2/S/1/datasetView.do
5) 이재준, 류승기, 문학룡, 권수안.「도로용 압전발전체 시험모듈 설계를 위한 기초 실험 연구」.한국도로학회논문집,13(4),159-166. (2011).
6) LG CNS 기술블로그 https://www.lgcns.com/blog/it-trend/25207/. 2023. 04. 07.
7) 김종화, [과학을 읽다]②에너지의 재사용-'에너지 하베스팅'의 미래, 아시아경제, 2018. 08. 0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4289246
8) 박창수, 부산항 컨테이너 차량 이용 전기 생산시스템 개발 추진, 연합뉴스, 2021. 11. 19. https://www.yna.co.kr/view/AKR20211119085300051
9) 김영대, [마이더스] 걸을 때마다 전기 생산? ‘에너지 하베스팅’, 연합뉴스, 2020. 01. 05.  https://www.yna.co.kr/view/AKR20200102163600980
10) Comsol blog, ‘압전효과’https://www.comsol.com/blogs/piezoelectric-materials-crystal-orientation-poling-direction/
11) 조민규.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발생 장치에 관한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4. 서울
12) 이상경, 압축장치를 갖는 쓰레기통 20-1993-0032077, 1993.12.30.
13) 채희목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쓰레기통, 20-2002-0029323, 2002.10.01.
14) 박관식, 누름판을 갖은 쓰레기통, 20-2003-0014553, 2003.05.12.
15) 이수연, 최영민. 「압전 에너지하베스팅의 원리 및 소재」, 고분자 과학과 기술 제31권6호, 2020년 12월.
16) 한국전기연구원, 보행자의 에너지를 이용한 압전 발전장치, 10-2008-0108735, (2008.11.04.)
17) 주식회사 알토스, 자동압축쓰레기통, 10-2011-0134192, (2011.12.14.)
18) 센서텍, 초음파센서, 10-2003-0044333,(2003.07.01.)
19) 이큐브랩 공식사이트, https://www.ecubelabs.com/ko/solar-powered-trash-compactor/, 2023. 04. 08.
20) 강병주 외 4인. 「건물 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설치 조건에 따른 보행에 의한 축전량 비교 분석」.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30권 제7호(통권309호), 2014년 7월.
21) 이현경, 이민기, 김홍배. 「압전에너지 하베스터 설치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제33권 3호, 2017.
22) 김신희.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Weekly KDB Report, 2021. 01. 04.
23) 서울시 가로쓰레기통 설치 지원 사업 예산. 2022년
24) 윤희탁, [서포터즈] 넘치는 쓰레기, ‘클린큐브’로 해결한다. 디지털투데이, 2019. 03. 03.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618

[소프트웨어 설계 참고자료]

- “아두이노 초음파센서에 대해” <https://3dplife.tistory.com/216?category=911327>
- “[아두이노] 초음파센서로 거리 측정하여 LED 제어하기”<https://blog.naver.com/codinglab_usdd/221867085364>
- “초음파 센서로 스텝모터 제어하여 회전문을 만들어보자!”<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cbanq&logNo=222350492223&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 ‘걷기만 하면 배터리가 충전된다고?! 무한동력 충전기를 만들어봤습니다.’<https://youtu.be/_EE4NFTaW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