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조-매트랩

MIE capstone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젝트 개요

기술개발 과제

국문 : 수면 중 사용자의 열감에 따른 국부 자동 온도 제어 카본 전기 매트

영문 : Localized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carbon electric mat based on user's heat sensitivity during sleep

과제 팀명

매트랩

지도교수

이동찬 교수님

개발기간

2024년 9월 ~ 2024년 12월 (총 4개월)

구성원 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94300** 임*환(팀장)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94300** 구*모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94300** 이*서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194300** 하*규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20214300** 황*영

서론

개발 과제의 개요

개발 과제 요약

카본 전기 매트란 전기 매트의 일종으로, 열선의 소재에 탄소가 사용되는 매트이다. 일반적인 전기매트에서 열을 내는 열선은 ‘발열선+절연체+온도감지선+피복’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기존 전기매트의 경우 피복의 소재로 PVC 또는 실리콘이 사용되는데, 탄소 전기매트의 경우 피복에 탄소함유 소재가 사용된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는 카본 전기 매트의 경우 대부분 영역 분할이 되어 있지 않거나, 두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때를 상정해 좌우로 영역 분할이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별에 따른 선호 온도 차이도 존재하지만, 인체의 경우 수면 기간 동안 상체/몸통/하체 별로도 요구되는 최적 온도가 다르다. 따라서 전기매트를 신체 비율을 고려해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해 각 부위별 요구되는 열량을 가해 사용자가 느끼는 열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면 중 사람의 심부온도는 수면 단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깊은 수면 단계의 경우 잠들기 이전보다 온도가 약 2도 내려가게 된다. 매트의 온도를 잠들기 이전 따뜻하다 느낄 정도로 가열한 후 깊은 수면 단계에 들어서게 된다면 오히려 매트의 온도가 너무 높아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매트는 사용자의 신체 온도를 각 영역 독립적으로 측정하며 수면 중 변화하는 온도에 맞추어 가열량의 차등 제어가 가능하다. 압력 센서를 사용한 뒤척임 정도의 측정을 통해 수면 단계를 판단하여 가열량을 시간에 따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아침 기상이 깊은 수면에서 바로 잠에서 깨었다면, 이는 큰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깊은 수면은 심부온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의 목표 기상시간 이전 의도적으로 매트를 가열하여 심부온도를 임의로 상승하게 유도할 수 있다. 심부온도의 상승은 깊은 수면에서 얕은 수면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효과를 낳게 되며, 기상 시 더욱 상쾌한 아침을 맞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현된 기능을 통해 각 신체 부위별 최적의 열감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전반적인 건강 및 면역력/정신 건강 향상 효과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발 과제의 배경

기온이 낮은 지방은 겨울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전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앞으로도 난방 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사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존재할 것이며, 다양한 난방 시스템 중에서도 특히 수요가 높은 전기매트의 경우는 추후에도 높은 수요를 가질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전기매트를 개량한다면 높은 상품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게 되어 전기매트의 개량이라는 개발 목표를 갖게 되었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전기매트가 존재하며 그 중에서는 부위 별로 다른 온도를 갖도록 하는 전기매트 역시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위 별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기존 제품들은 자동이 아닌 수동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부위 별로 온도를 입력해주어야 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우리 조는 이러한 기존 제품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단순히 사용자가 부위 별로 온도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열감에 따라 자동으로 전기매트의 온도가 변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며, 해당 제품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수면 중 최적의 온도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주고자 한다.

개발 과제의 목표 및 내용

개발 과제의 목표
사용자의 신체의 부위 별 온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국부 자동 온도 제어 온수매트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사용자가 더 편하게 설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개발 과제의 내용
  • 구조 설계
크게는 머리, 가슴, 배 세 구역으로 나누어 온도의 조정을 달리하도록 설계하도록 한다. 나누어진 구역을 둘 혹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더욱 세부적인 분할을 도모할 수 있다. 총 3~9개 구역의 개별적인 조정을 위하여 온수를 구역별로 따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설계함을 목표로 한다. 하나의 펌프에서 여러 갈래의 유로를 통해 온수가 매트로 공급되며, 온수 유로는 매트 구역마다 독립적으로 펌프에서 공급되고 나갈 수 있도록 분리되어 설계된다. 난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구역에 맞추어 펌프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유로가 열리고 닫히며 국부적 난방의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할 계획이다.
매트의 내부를 지나는 유로는 사람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문제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안정되어야 하며, 이는 설계 단계에서 가능한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트 내부의 유로는 구역 내의 고른 온도 분포와 난방 효율을 고려하여 온수가 어떻게 유입되고 지나갈 지 감안하여 설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고려사항 또한 유동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작 이전 단계에서 가능한 검증을 거칠 예정이다.
  • 제어시스템 설계
적외선 온도 센서를 구역별로 설치하여 해당 구역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할 예정이며, 목표치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각 유로의 열리고 닫힘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도록 한다.
  • 어플리케이션 개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온도의 설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한다. 전체적인 시스템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목표이며 개발을 진행하면서 굳이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해당 개발 단계는 보류하도록 한다.
  • 결과 해석 및 보고
제작된 시제품을 통해 아래의 평가항목과 비중을 고려하여 완성 목표의 달성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설계과정 중 시행되었던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와 실제 제품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계 방식이 올바르게 고안되었는 지에 대한 평가를 자체적으로 실행하여 시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한다.

관련 기술의 현황

관련 기술의 현황 및 분석(State of art)

  • 전 세계적인 기술현황
1. 온열매트 종류
매트랩1.png
매트랩2.png
온열매트는 크게 전기매트와 온수매트, 카본 전기 매트로 나눌 수 있다.
흔히 개발된 순서대로 1세대 온열매트를 전기매트, 2세대 온열매트를 온수매트, 3세대 온열매트를 카본 전기매트라고 부른다. 그 중 전기매트는 전류가 흐를 때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따뜻해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온수매트는 전기 매트의 전자파 문제와 화재 위험성이 대두되어 개발된 온열매트로, 온수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하고 매트 내부의 온수 호수에 물을 순환시켜 난방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매트랩3.jpg
매트랩4.png
카본 전기 매트는 전기 매트의 일종이나, 열선의 소재에만 탄소 소재가 사용된다는 점에서 전기 매트와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전기매트에서 열을 내는 열선은 ‘발열선+절연체+온도감지선+피복’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기존 전기매트의 경우 피복의 소재로 PVC 또는 실리콘이 사용되는데, 탄소 전기매트의 경우 피복에 탄소함유 소재가 사용된다.


2. 전기매트 원리
카본매트의 원리는 전기매트의 작동 원리와 동일하다. 전기매트 내부에는 니크롬선과 같은 저항선이 포함되어 있는데, 전류가 이 저항선에 흐르면 저항선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한다. 이 현상을 줄의 법칙이라고 한다.
매트랩5.png매트랩6.png
줄의 법칙은 위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이 식에 따르면, 열에너지 Q는 전류 I의 제곱에 비례하고, 저항 R과 시간t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기매트의 저항선에 전류가 흐를 때 저항이 크고, 전류가 클수록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매트랩7.png매트랩8.png
전기저항 R은 위와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저항선의 재료에 따라 저항률이 다르며, 저항선의 길이가 길고 단면적이 작을수록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매트랩9.png매트랩10.png
전기매트가 사용하는 전력 P는 전압과 전류를 이용해 계산할 수 있다. 전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전기매트는 일정한 전압 V에서 전류 I가 흐를 때 일정한 전력을 소모하며, 이 전력이 줄의 법칙에 따라 열로 변환된다.


매트랩11.png매트랩12.png
전기매트에서 발생한 열은 전도와 복사를 통해서 주변 환경으로 전달된다. 전기매트의 표면에서 발생한 열은 사용자나 공기 중으로 전달되어 난방 역할을 한다. 전도는 물체 간 접촉을 통해 열이 전달되는 방식이다. 전기매트는 사용자의 몸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주로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된다. 전도율은 위와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이 식에 따르면, 열전도율이 높고 온도차가 클수록 열이 더 빠르게 전달된다.


매트랩13.png매트랩14.png
복사는 물체가 전자기파를 통해 열을 방출하는 과정이다. 전기매트는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복사를 통해 열을 방출하게 된다. 복사에 의한 열전달은 위와 같은 스테판-볼츠만 법칙을 따른다.


종합하면, 전기매트의 작동 과정은 전기매트에 전류가 흐르면서 저항선에서 열이 발생되고, 발생된 열이 전도와 복사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온도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전기매트는 열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 조절기를 사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 특허조사 및 특허 전략 분석
1. 특허조사
(1) 전기매트의 열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특허(1).png


(2) 탄소 온열매트
특허(2).png


(3) 수면 질을 높인 온열매트용 컨트롤러
특허(3).png


(4) 발열 제품용 터치 타입 온도 제어 장치
특허(4).png


  • 기술 로드맵
매트랩15.png
매트랩16.png


  • 특허 전략
1. 가열 영역 분할
매트의 영역을 사용자 2인을 상정한 좌우 2분할 시 각 사용자별 전체 영역의 평균 온도는 다르게 조절할 수 있지만, 각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국부 온도 제어는 불가능하다. 여러 연구를 통해 수면 중 각 신체부위별 쾌적함을 느끼는 최적의 온도가 다르다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신체부위별 최적의 온도는 수면의 질 향상에 직결된다고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하체의 온도가 상체보다 높을 경우 잠에 들기까지의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깊은 수면 단계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신체부위별 쾌적함을 느끼는 최적의 온도는 성별에 따라서도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해, 사용자 1인을 고려했을 때 매트의 영역을 좌우 2분할이 아닌 상하로 3분할 하여 상체, 몸통, 하체 부분을 각각 다른 온도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수면 모드
연구를 통해 수면 도중 수면 직전보다 체온을 낮춰주면 수면의 질이 향상된다는 것이 밝혀졌다.기존 특허 (2)의 수면 모드의 경우 수면 기간 중 각 기간별로 온도를 다르게 제어한다는 점과 깊은 수면 단계에서 온도를 가장 낮게 제어한다는 점은 본 과제가 목표로 하는 것과 동일하나, 온도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개루프 제어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기존 특허의 경우는 영역 분할이 되어 있지 않아 각 영역별 수면 모드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를 각 신체부위별로 개별적으로 적용해 줄 수 있다면 추가적인 수면의 질 향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영역분할에 따른 각 신체부위별 수면 모드 온도 제어를 목표로 한다.


3. 온도 조절 장치
매트랩21.jpg
현재 시중의 온도 조절 장치는 대부분 위와 같은 다이얼 조절 방식이며, 기존 특허 (4)의 경우에도 터치 방식이기는 하나, 기능면에서는 기존 온도 조절 장치와 큰 차이가 없다. 본 과제에서 목표로 하는 기능은 (1)기본 온도 조절 기능, (2)최적 온도 조절 기능, (3)단계별 온도 조절 기능, (4)기상 보조 기능이다. 따라서 직관성을 유지하면서 화면 전환이 가능하며 많은 기능을 포함하는 GUI 터치패널을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가능하다면 스마트폰으로 전기매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동 어플까지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장상황에 대한 분석

  • 경쟁제품 조사 비교
경쟁(1).png
경쟁 제품 및 특징은 위와 같다. 시중에 개별 영역 분리 난방이 가능하며 각 영역별 수면 모드 적용이 가능한 제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두 가지 방법 중 한 가지 방법만 적용했을 경우에도 기존의 전기매트에 비해 수면의 질 향상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적용할 경우 추가적인 수면의 질 향상 및 이에 따른 부가적인 정신적, 신체적 건강 등의 향상 효과를 누릴 수 있기에 시장 경쟁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어플로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경우에도 아직 기본적으로 다이얼 온도 제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에, 터치 패널 조작 방식의 편리함 역시 경쟁력을 더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 마케팅 전략 제시
매트랩24.png

개발과제의 기대효과

기술적 기대효과

1. 정밀 온도 제어 기술

개별 난방 기능과 온도 센서를 통해 각 구역의 온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 맞춤형 수면 환경을 제공한다.

2. 에너지 효율성

수면 도중 전기매트의 전체 영역을 동일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아닌, 각 구역별 필요한 만큼만 열량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3. 수면의 질 향상

각 신체부위별, 수면 단계별 최적의 온도가 유지됨으로써 수면 깊이 향상 및 불면증 또는 수면 장애 개선이 가능하다.


경제적, 사회적 기대 및 파급효과

1. 경제적 파급효과

매트랩25.png
슬리포노믹스란 수면(sleep)과 경제학(economics)의 합성어로, ‘숙면을 위한 소비’를 뜻한다. 한국수면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슬리포노믹스 시장은 2022년 3조원 규모로, 2011년 4800억원 규모에서 가파르게 성장했다. 이러한 성장세가 가파른 슬리포노믹스 시장에서 가치를 재조명 받는 제품 중 하나가 난방매트이다. 수면 시간 동안 피부에 직접 닿은 채로 오랜 시간을 사용하는 제품 특성과, 수면에 있어 온도가 가지는 중요성으로 인해 숙면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위 사진과 표로부터 국내 온열매트 시장 전체 규모 및 카본매트의 점유율은 매년 15~20%의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견 생활가전업체의 경쟁이 고급화 시장으로 확대되었다. 프리미엄 난방 매트 시장은 정확한 온도제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더욱 건강한 수면을 돕는 제품으로 포지셔닝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있는 매트는 시장에 출시하기에 경쟁력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사회적 파급효과

(1) 사용자 건강 증진
본 제품을 사용할 경우, 적절한 온도가 수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전반적인 건강 및 면역력/정신 건강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환경 보호
에너지 절약형 난방 방식은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적인 소비 문화를 촉진한다.
(3) 소비자 교육
소비자에게 적절한 난방 방법과 수면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고 전반적인 생활 수준을 향상시킨다.

기술개발 일정 및 추진체계

개발 일정

개발일정(1).png

구성원 및 추진체계

  • 구성원 및 역할
추진체계(1).png


  • 추진체계
추진체계(2).png

설계

설계사양

제품의 요구사항

  • 제품 요구사항
설계(1).png
  • 목적 계통도
설계(2).png

설계 사양

1. 안전기준

사용자의 화상 위험 방지를 위해 최대온도를 섭씨 40도로 설정해 그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전원을 차단한다.


2. 구역 분할

구역을 나눌 예정인 3가지 부분 중 어느 곳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지 판단해야 한다. 매트의 상단 구역이 사용자 신체부위의 어디까지 해당되도록 설계할지 기준을 갖고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매트 상단 구역을 사용자의 머리부터 날개뼈 부분까지 설정할 경우와 허리까지 설정할 경우 제어되는 온도의 범위가 바뀌게 되므로 사용 시 효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사람의 신체 크기에 잘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가져야 한다. 상단, 중단, 하단 구역에 해당하는 남자와 여자의 신체 부위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한다. 한국인 평균 키와 신체부위별 크기는 사이즈코리아에서 제공된 다음 그림에서 묘사된 바를 참고할 수 있다. 함께 제공되는 통계수치(ex. 남자 평균키 172.5cm, 여자 평균키 159.6cm)를 통해 고려하여 매트의 분할 구역을 설계할 수 있다.
설계(3).png
아래 그림과 같이 수면 중 하체의 온도가 다른 신체부위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나므로 다른 구역에 비하여 하단 구역의 온도를 약 1~2도 가량 높게 설정한다.
설계(4).png


3. 수면단계별 온도 제어

누워 있는 채로 깨어 있는 수면 이전의 구간(Sleep Onset Latency)은 사용자가 느끼는 온열감에 의해 그 시간이 짧아지므로 SOL 구간에서 온도를 높게 유지해야 한다. 구역 별 측정되는 온도의 +0~5도 사이의 목표온도를 설정하여 가열할 수 있다.
깊은 수면 중 심부온도는 깨어있을 때보다 하락하여 낮게 유지되므로 심부온도가 낮게 유지되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 SOL 구간 이후 매트의 온도를 약 2도 낮추도록 한다.


4. 온도 알람 기능

수면 이전 사용자가 설정한 기상시간 30분~1시간 이전 매트의 온도를 높이는 것으로 심부온도를 강제로 높여 깊은 수면에서 1차적으로 깰 수 있도록 한다. 얕은 수면에서 알람소리를 듣고 깬 사용자는 깊은 수면 상태에서 깼을 경우보다 상쾌한 기상을 경험할 수 있다. 기상시간 이전 가열 시점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개념설계안

가. 구조 설계
1. 구역 분할안
수정1.png


2. 온도센서 종류 선택
수정2.png


3. 구역 내 온도센서 배치 방안
수정3.png


나. 온도 제어
1. 목표온도 제어 방법
수정4.png


2. 사용자 입력 제어강도 설정
수정5.png


다. 수면 단계 판단
1. 수면 단계 판별법
수정6.png

평가기준 및 개념설계 결과

  • 평가기준
개념(9).png
  • 개념설계 결과를 반영한 전기매트 형상
개념(8).png

이론적 계산 및 시뮬레이션

가. 배경

계획했던 것과 같이 4방면 모서리와 중앙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도 큰 지장이 없을지, 열선 간격 배치에 따라서는 매트의 표면 온도가 어떻게 달라질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는 Star CCM+ 프로그램을 통해 열해석을 진행하였다.


나. 방법

상세1.png
상세2.png


다. 시뮬레이션 결과

상세3.png
상세4.png

상세설계 내용

가. 조립도

  • 전기매트의 정면 모습
상세5.png


  • 전기매트의 하단 모습
상세6.png


  • 전기매트의 측면 모습
상세7.png


  • 전기매트의 소조립체 목록
상세8.png


나. 조립순서

상세9.png


다. 부품도

  • 열선
상세10.png


  • 열선 부분 확대
수정7.png


  • 온도조절기 박스
상세12.png
-상단 모습
상세13.png


-측면 모습
상세14.png


라. 제어부 및 회로설계

  • 회로도
수정13.png


  • 제어부 흐름도 설명
1. AC 케이블에서 AC 220V를 받은 후, 이를 두 갈래로 나눠서 SMPS와 기존 제품의 보드로 보낸다.
2. 기존 제품 보드로 신호를 보낼 때, 릴레이 하나를 거쳐 연결한다.
3. SMPS에 스텝 다운 컨버터를 연결하여 DC 전압을 낮춘다.
4. 스텝 다운 컨버터 두 개 중 하나는 라즈베리파이 전원으로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서보모터 3개의 전원으로 연결한다.
5. 라즈베리파이에서 터치패널로 전원을 연결하고, 라즈베리파이에서 아두이노로는 USB 포트로 전원을 연결한다.
6. 아두이노 디지털 신호 핀을 통해 서보모터와 릴레이를 제어한다.
7. 아두이노 아날로그 핀으로 ntc 서미스터 온도센서 값과 압력센서 값을 받아온다.


마. 소프트웨어 설계

  • 알고리즘 설계(순차 다이어그램)
수정14.png


  • 알고리즘 흐름도 설명
1. 사용자가 매트에 누운 후, 터치패널을 통해 사용자 설정값을 전송한다.
2. 그 설정값은 라즈베리파이를 거쳐 아두이노에 제어값으로 입력된다.
3. 매트 내의 온도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한다.
4. 매트 내의 압력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 패턴을 파악하여 수면 여부를 판단한다.
5. 3,4번 과정에서 수집한 두 데이터 또한 아두이노로 입력된다.
6. 수집한 데이터값을 통해 정상온도가 입력되면 기존 제품 보드의 서보모터를 작동시킨다.
7. 서보모터를 통해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경시켜 열선을 가열한다.
8. 수집한 데이터값이 이상온도로 판단되면 릴레이를 작동시켜 기존 제품 보드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 터치패널 UI 및 온도조절기 시스템 상세설명
수정8.png
수정9.png
수정10.png

결과 및 평가

완료 작품의 소개

프로토타입 사진 혹은 작동 장면

최종9.png

포스터

최종3.png

관련사업비 내역서

최종7.png

완료작품의 평가

최종4.png

향후평가

본 과제는 신체비율을 고려하여 영역이 상하로 3분할된 카본 전기 매트를 설계하고,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온도 데이터와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밀한 개인 맞춤형 수면 모드 온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컨트롤 박스를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난방 시스템이 필요한 지역은 전 세계 어디에나 존재한다. 국내의 경우 온열 매트 시장 전체 규모 및 카본매트의 점유율은 매년 15~20%의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프리미엄 온열 매트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 프리미엄 난방 매트 시장에서는 정확한 온도제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더욱 건강한 수면을 돕는 제품으로 포지셔닝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있는 매트는 시장에 출시하기에 경쟁력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과제에서는 두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때, 두 사람의 평균 선호온도만을 고려해 영역이 좌우로 분할되어 있는 기존 시장의 전기 매트와 달리, 개인의 신체비율과 신체 별 수면 중 최적 온도를 고려해 영역이 상하로 3분할된 전기매트를 개발하였다. 또한 수면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체온을 직접 측정하지 않는 기존 전기 매트의 수면 모드 온도 제어 시스템과 달리, 압력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수면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고 온도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해 개인맞춤형 최적 수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온도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로부터 사용자의 수면 기간 동안 신체별, 수면 단계별로 최적의 온도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건강 증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계획으로 과제 개요에 보다 적합한 수준의 개발품으로 개선되기 위한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컨트롤 박스의 소형화가 필요하다. 본 과제에서는 시중의 기존 전기 매트 제품의 회로와 연결부 부품 등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영역이 3분할 됨에 따라 모든 부품이 3개씩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졌고 모든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다. 기존 전기 매트 제품의 부품들을 사용하지 않거나, 부품들을 한 개 씩만 사용하면서도 세 영역을 모두 컨트롤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사용되는 부품의 양과 컨트롤 박스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2) 사용자 별 특성에 따른 수면주기, 신체온도 등 패턴에 따른 최적 수면 프로토콜의 제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시제품에서 적용된 수면 온도 조절 모델은 소수의 팀원에 의한 것으로, 보다 다양하고 넓은 환경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적합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 설문 조사의 계획 등으로 많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해 수면 프로토콜의 완성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AI를 통한 데이터 분석으로 궁극적으로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 언제든 어느 상황에서든 최고의 수면의 질을 제공할 수 있음을 목표로 한다.

특허 출원 내용

최종22.png

부록

참고문헌

  • A-1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1] 국가기술표준원 > 정책 > 제품안전 > 안전기준열람 > 전기용품안전기준 (kats.go.kr)
[2] Togo F, Aizawa S, Arai J, Yoshikawa S, Ishiwata T, Shephard RJ, Aoyagi Y. Influence on human sleep patterns of lowering and delaying the minimum core body temperature by slow changes in the thermal environment. Sleep. 2007 Jun;30(6):797-802
[3] Hongyu Zhang, Liming Shen, Effect of gender and body part differences on skin temperature and bed micro-environment during sleep in a moderate temperature environment, Energy and Buildings,Volume 297, 2023, 113459
[4] Roy J.E.M. Raymann, Dick F. Swaab, Eus J.W. Van Someren, Skin temperature and sleep-onset latency: Changes with age and insomnia, Physiology & Behavior, Volume 90, Issues 2–3, 2007, Pages 257-266
[5] [마켓 in] 불붙는 프리미엄 난방매트 시장 < 특집 < 기획 < 기사본문 - 이투뉴스 (e2news.com)
[6] 큐리피아 프리미엄 전기매트 부위별 온도조절 두한족열 사계절용 싱글 : 큐리피아 (naver.com)
[7] 경동나비엔 (kdnavien.co.kr)
[8] 사이즈코리아
  • A-2 관련특허
[1] 전기매트의 열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공개전문 - 특허·실용신안 정보 (kipris.or.kr)
[2] 탄소 온열매트 < 공고전문 - 특허·실용신안 정보 (kipris.or.kr)
[3] 수면 질을 높인 온열매트용 컨트롤러 < 공고전문 - 특허·실용신안 정보 (kipris.or.kr)
[4] 발열 제품용 터치 타입 온도 제어장치 < 공고전문 - 특허·실용신안 정보 (kipris.or.kr)

설계 구성요소 및 제한요소

  • 설계구성요소
최종5.png
  • 설계제한요소
최종6.png